• 제목/요약/키워드: campanulacea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Isolation of Triterpenoid and Phenylpropanoid from Codonopsis ussuriensis

  • Lee, Ihn-Rhan;Ko, Jeo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89-291
    • /
    • 1992
  •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ussuriensis (Rupr. et Maxim) Hemsley (Campanulaceae), taraxerol (mp 280-$282^\circ$), syringin (mp.$192^\circ$) and a new phenylpropanoid, ussurienoside I (syringin-3'-hydroxy-3'-methyl glutarate, mp. 102-$104^\circ$) were isolated.

  • PDF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민속식물, 화학성분, 약리작용에 대한 종합적 고찰 (Ethnobotan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of the Korean Campanulaceae: A Comprehensive Review)

  • 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0-264
    • /
    • 2017
  • 한국산 초롱꽃과 식물의 전통지식을 확인하고, 이들의 화학성분, 약리효과에 관한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민속식물은 총 18분류군으로 식용, 약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약용으로는 도라지, 잔대, 더덕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용 전통지식은 감기, 천식, 산후조리 등 49개의 질병 및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산 초롱꽃과 잔대속, 더덕속, 도라지속, 초롱꽃속, 영아자속에서 총 211개의 화학성분이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들은 triterpenes 109종류, sterols 8종류, polyacetylens 4종류, alkaloids 21종류, flavonoids 14종류, phenolic acids 14종류, phenolic glycosides 11종류, phenylpropanoids 8종류, 그 밖의 성분으로 organic acid 계열 등 22종류이다. 약리효과로는 면역활성, 항염증, 항천식 및 점액분비촉진, 항알레르기, 항산화, 에스트로겐 활성, 항당뇨, 간 보호, 신경 보호, 항종양, 항진통, 순환계, 항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전통지식과 화학성분, 약리효과에 대한 자료를 종합해 본 결과, 한국산 초롱꽃과 식물을 호흡기 계통, 임신 출산 산후조리, 생식 배설 계통, 순환 계통, 근골격계 계통 등의 질병 및 질환에 사용된 전통지식은 해당 식물체 조추출물 및 화학성분을 이용한 약리 실험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Medicinal Plants of Campanulaceae

  • 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94-9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Codonopsis lanceolata, Platycodon glandiflorum, Which belongs to Campanulaceae and useful for on oriental medicine materials. Seed shape of Codonopsis lanceolata is Elliptic. Platycodon glandiflorum is Oblong.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1.37mm in length, 0.69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258mg. Seed size of Codonopsis lanceolata is 4.45mm in length, 2.11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Codonopsis lanoceolata is 1,278mg. Seed size of Platycodon glandiflorum is 2.31mm in length, 1.10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Platycodon glandiflorum is 988mg.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 from 20 to $25^{\circ}C$.

  • PDF

몇가지 종자처리에 따른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발아율 2. $GA_{3}$와 광질에 따른 발아률의 변화 및 만삼의 발아율 저조원인 (Effect of Several Seed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Campanulaceae Seed 2. Germination of Campanulaceae Seed as Affected by $GA_{3}$ and Light Quality, and Cause of Poor Germination of Codonopsis pilosula Seed)

  • 강진호;박진서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5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52-53
    • /
    • 1995
  • PDF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plants for antitumor activity

  • Chang, Il-Moo;Woo, Won-Sic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75-78
    • /
    • 1980
  • Potential antinumor activity of sixteen Korean medicinal plants was tested against leukemia SN 36, murine tomor model. Survival studies by measuring life span indicated that Morus alba (Moraceae), Verbascum phlomoides (Scrophulariaceae), Curcuma longa (Zingbieraceae), Torilis japonica (Umbelliferae), Bupleurum falcatum (Umbelliferae) and Codonopsis pilosula (Campanulaceae) exhibit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with the dose-schedule employed in the experiment. Methanol (70%) extracts of Platycodon gradiflorum (Campanulaceae), Bupleurum longeradiatum (Umbelliferae) and Asiasarum sieboldii (Aristolochiaceae) showed rather potent toxicity.

  • PDF

엽록체 D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계통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campanul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 김경아;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2-293
    • /
    • 2012
  • 한국산 초롱꽃과 8속 28분류군과 외군 2분류군 등 총 30분류군에 대한 계통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엽록체 DNA의 atpB, atpB-rbcL, atpF-H, matK, rbcL, rpl16, rpoC1 그리고 trnL-F 지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8개 유전자 지역의 염기서열 자료를 융합하여 분석한 결과 도라지속과 더덕속이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애기도라지속과 초롱꽃속은 각각 독립적으로 유집되었다. 홍노도라지속과 영아자속은 잔대속-금강초롱꽃속 분계조를 위한 자매군을 형성하였으며, 금강초롱꽃속은 잔대속의 모시대절과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잔대속은 크게 하나의 군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엽록체 DNA 8개 지역의 염기서열 자료에 기초한 한국산 초롱꽃과의 계통분석 결과, 속 수준에서의 구분은 가능하였으나 절 또는 계열 등 잔대속 내에서의 일부 분류계급은 형태 형질에 의한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미기록 비너스거울속(초롱꽃과) (Triodanis Raf. ex Greene (Campanulaceae), first report for Korea)

  • 이창숙;정미숙;정영순;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3-236
    • /
    • 2009
  • 북미에 자생하는 초롱꽃과의 비너스거울속 (Triodanis Raf. ex Greene) 식물이 제주도 서귀포시 상효동 돈네코 계곡 하류일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이 속(Triodanis Raf. ex Greene)에 대한 국명은 '비너스거울속', 종(Triodanis perfoliata (L.) Nieuwl.)의 국명은 '비너스도라지'로 신칭하였다. 속과 종의 형태적 특징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다.

PCR-RFLP와 ITS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계통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Campanulaceae Based on PCR-RFLP and ITS Sequences)

  • 김경아;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9-129
    • /
    • 2011
  • 한국산 초롱꽃과 8속 25분류군과 군외군 2분류군 등 총 27분류군에 대한 계통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CR-RFLP와 ITS 지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엽록체 DNA의 11개 지역을 이용한 PCR-RFLP 분석에서는 증폭된 DNA 각각에 대하여 15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총 244개의 제한효소 절편을 얻었으며, 그 중 59개는 분류군간 차이가 있어 24%의 다형화를 보였다. ITS 지역의 길이는 588-707 bp이었으며, 염기변이는 0-39.36%로 나타났다. 계통 분석 결과, PCR-RFLP와 ITS 지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모두에서 초롱꽃과는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도라지속과 더덕속은 독립적인 분계조로 유집되었고, 홍노도라지속과 영아자속은 잔대속-금강초롱꽃속을 위한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초롱꽃속도 단계통으로 나타났고, 애기도라 지속은 ITS분석에서는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지만 PCR-RFLP결과에서는 초롱꽃속과 더덕속-도라지속분계조 사이에 위치하여 차이를 보였다. 금강초롱꽃속은 잔대속과 함께 유집되었으며, 잔대속은 병계원으로 분계조를 형성하여 형태형질에 의한 속내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다룬 2가지 자료에 기초한 한국산 초롱꽃과의 계통분석 결과, 속 수준에서는 대부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애기도라지속과 금강초롱꽃속의 계통학적 위치와 잔대속의 속내 분류계급의 유집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한약 만삼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Chinese Crude Drug 'Man Sam')

  • 권성재;오종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6권1호통권140호
    • /
    • pp.21-25
    • /
    • 2005
  • The Chinese crude drug, 'Man Sam(蔓蔘)', which is derived from the root of Codonopsis plants of the family Campanulaceae, has been used as a tonic. In China, the same crude drug derived from Codonopsis plants, called 'Dang Same(?蔘)', has been used as remedies for anorexia, fatigue, cough, etc. Although Codonopsis roots have been widely used for medicinal purposes in Korea,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Man Sam', the root morphology and anatomy were examined for the Korean species of Codonopsis species, such as C. lanceolata (Sieb. et Zucc.) Trautv., C. pilosula (Franch.) Nannf. and C. ussuriensis (Rupr. et Maxim.) Hemsl. The study shows that 'Man Sam' is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