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ylti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TBTCl의 저질 및 체내 축적에 따른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소화선의 조직학적 반응 (Histological Response of Digestive Gland of Gomphina veneriformis with TBTCl Accumulation in Sediment and Soft Tissue)

  • 박정준;박정채;김성수;조현서;이연규;이정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4호
    • /
    • pp.341-350
    • /
    • 2009
  • This study involves a relationship between butyltins concentration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digestive gland in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exposed to TBTCl of 0.4, 0.6 and 0.8 ${\mu}g/L$ for 36 weeks. In the sediment, total butyltin (${\sum}BT$) concentration was detected ND~7.54 (0.4 ${\mu}g/L$), ND~9.76 (0.6 ${\mu}g/L$), 1.22~13.13 ${\mu}g/L$ (0.8 ${\mu}g/L$), respectively. Especially, TBT level in 0.8 ${\mu}g/L$ group was the highest for 36 weeks. In the soft tissue, total butyltin (${\sum}BT$) concentration of the exposure group was 10.14~12.75 (control), 479.29~1,286.56 (0.4 ${\mu}g/L$), 563.32~2,154.82 (0.6 ${\mu}g/L$) and 1,317.70~2,132.60 ${\mu}g/L$ (0.8 ${\mu}g/L$), respectively. Ratio of TBT to ${\sum}BT$ of the tissue of 0.8 ${\mu}g/L$ kept the lowest level for 36 weeks. The ${\sum}BT$ concentrations of sediment were correlated with ${\sum}BT$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In the exposure groups, necrosis and atrophy of columnar epithelial cell and collapse of epithelial layer in the digestive tubule. And there was a reduction in stain affinity of basophilic cell. Such histological degenerations was more severe in digestive tubule of 0.8 ${\mu}g/L$ group.

옥포만내 퇴적물, 해수 및 참굴 중의 유기주석 화합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Organotin Compounds in Sediments,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Okpo Bay)

  • 홍상희;심원준;이수형;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01
  • 대형조선소가 위치한 옥포만내 퇴적물, 해수, 참굴(Crassostrea gigas) 중의tributyltin(TBT)과 triphenyltin(TPhT), 그리고 분해산물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퇴적물과 참굴 내 TBT 농도는 각각 5~2,650 ng/g, 387~l,190ng/g dry wt.(as Sn)으로 검출되었다. 해수 중의 TBT 화합물은 19~84 ng/ $\ell$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조선소 내 dry-dock에 인접한 정점에서 최고값을 보이며, 조선소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농토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는 조선소가 옥포만내 주 오염원임을 의미한다. 퇴적물 중의 TBT 화합물의 구성비는 약 57%로 dibu-tyltin(DBT)와 monobutyltin(MBT)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을 가로지르는 방파제를 경계로 하여 부틸주석 화합물(butyltin)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방파제가 옥포만 내 유기주석 화합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페닐주석화합물은 참굴 중 nd-52 ng/g으로 검출되었으며, 퇴적물과 해수의 전 정점에서 검출한계 이하의 값을 보였다. 참굴 중의 TBT 농도는 대조구인 해금강의 시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생물농축계수(biological concentration factor, BCF)는 1.1$\times$$10^4$의 값을 보였다.

  • PDF

폴리카보네이트 용융중합 초기의 촉매기반 에스터 교환반응 동력학 (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Kinetics in Early Stage of Polycarbonate Melt Polymerization)

  • 정주연;이지목;홍성권;이진국;정현민;김용석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35-2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디올 단량체로서 바이오 유래 isosorbide 및 bisphenol A가 적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일 및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촉매로서 LiOH, $Cu(acac)_2$ 및 n-butyltin hydroxide oxide hydrate를 각각 적용하여 용융중합 초기 단계에서 에스터 교환반응의 동력학 분석을 실시하여 촉매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단일 중합의 경우, $Cu(acac)_2$가 가장 큰 촉매활성도를 나타내었으나, 서로 다른 두 가지 디올 단량체가 적용된 용융 공중합의 경우에는 촉매의 적용 메커니즘 및 단량체의 화학구조에 의존하여 LiOH의 촉매활성이 가장 큼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관심이 집중된 바이오 유래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용 촉매선정에 활용 가능함을 제시한다.

광양만의 유기주석화합물 오염과 생물농축

  • 심원준;김남숙;임운혁;홍상희;오재룡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25-32
    • /
    • 2002
  • 유기주석화합물은 선박방오도료에 살생물제로 쓰이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중의 농도를 정성 및 정량분석하였으며,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복족류의 임포섹스(암컷에서 수컷의 성기가 발현되는 현상)를 측정하였다.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체내에서 phenyltin은 일부 정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값을 보였으나, butyltin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검출되었다. 표층퇴적물, 참굴, 대수리 체내의 tributyltin (TBT)의 농도는 각각 미검출-29 ng/g, 178-2458 ng/g, 47-236 ng/g 범위를 보였다. TBT 화합물의 공간적인 분포는 선박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항구가 위치한 여수 인근을 제외하고는 광양내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대수리 중의 임포섹스는 11개 정점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상대성기길이 지수는 47.9-107.8%의 범위를 보였다.

  • PDF

부산 남항 해저퇴적물 중 유기오염물질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in Sediment Around Busan Southern Port)

  • 민병규;이종혁;주미조;조천래;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6-218
    • /
    • 2020
  • 부산 남항은 도심 속의 다기능 항만으로 공동어시장, 선박수리소, 연근해 및 원양어선 접안시설 등이 설치되어 산업 활동이 활발하다. 산업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유해화학물질이 해저퇴적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축적되면 수생생태계와 인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부산 남항에서 2013년 11월(1차), 2014년 11월(2차)에 8개 정점을 선정하여, 해저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폴리염화비페닐(PCBs), 부틸계유기주석화합물(BTs)를 분석하여 부산 남항의 농도분포 특성 및 유입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지역에서 PAH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4174.0 ng/g-d.w., 1919.0 ng/g-d.w., PCB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166.3 ng/g-d.w., 21 ng/g-d.w.를 보였으며, BT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50.9 ng/g-d.w., 30.8 ng/g-d.w.를 나타내었다. 유기오염물질의 검출농도는 1차에 비해 2차에서 해저퇴적물 수거로 인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본 조사에서 PAHs, PCBs, BTs 유입원은 각각 연소기원, 육상기원, 도시하수 또는 산업폐수에 의한 기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유기주석화합물이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의 약물대사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ialkyltin in vitro on the Microsomal Monooxygenase System of Digestive Gland in the Clam, Coelomactra antiquata)

  • 전중균;이미희;김도진;심원준;오재룡;이수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5-190
    • /
    • 2002
  • 강원 북부연안에 많이 서식하는 명주조개 (C. antiquafa)를 대상으로 중장선의 미크로좀을 in vitro로 유기주석화합물 (TBTO, TBTC, TPTC)과 배양하여 약물대사효소계의 cytochrome P450 (CYP)과 7-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은 모두 명주조개의 약물대사효소계를 짧은 시간 내에 저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미크로좀을 0.4 mM 농도의 TBTC, TBTO 및 TPTC와 20분간 배양한 후의 CYP 함량은 첨가하기 전에 비해 각각 $52\%$, $72\%$$40\%$로 줄었는데, 이것으로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저해 정도는 차이가 있었고 butyltin화합물보다는 phenyltin화합물의 저해 정도가 더 컸다. 그리고 EROD 활성의 경우도 0.4 mM의 TBTC, TBTO 및 TPTC와 20분 간 배양하였더니 각각 $100\%$, $92\%$$85\%$로 butyltin 화합물보다 는 phenyltin 화합물의 저해가 더 컸다. 한편, TBTC, TBTO 및 TPTC 모두는 패류 중장선의 CYP와 EROD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그리고 두 효소는 모두 오염물질에 노출된 패류의 좋은 생체지표 (bioindicator)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한국연안의 갯벌 중에 유기주석화합물 및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분석 (Analysis of Butyltin Compounds and New Antifouling Agents in the Southwestern Korean Tidal flats)

  • 이성언;유재범;박재홍;이용우;원호식;이동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8
  • 유기주석화합물의 사용금지와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사용으로 한국의 연안 환경은 매우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98년도에 측정된 서남해안 갯벌이 있는 동일한 지역을(8지역) 기준으로 하여 유기주석화합물 및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농도를 8지역에 주변까지 포함하여 총 39지점을 2006년도에 측정하였다. 2006년도의 TBT의 농도는 인천 (It1)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1998년에 비해 상당히 감소되었다. 제부도(Jt2),목포(MOt4)그리고 순천(SUt3)에서는 검출한계 이하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2003년 한국내에서 TBT화합물의 사용금지에 기인한 결과로 예측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대부분의 샘플링 지역에서 새로운 방오도료제인 Irgarol 1051, Dichlofluanid과 Chlorothalonil이 검출되었다. 이 중 특히 Irgarol 1051은 한국 연안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제부도 (Jt4)에서는 Irgarol 1051이 159.45 ng $g^{-1}$(dry wt)로 검출되어 측정지점 중 가장 높게 검출이 되었다. 이 결과로 볼 때 2003년을 기점으로 한국 연안에서의 TBT화합물은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고, 새로운 방오도료제가 쉽게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ributyltin Compound in Sediments and Tissues of Oysters and Rock Shell in Gwangyang Bay, Korea

  • Shim, Won-Joon;Yim, Un-Hyuk;Kim, Nam-Sook;Hong, Sang-Hee;Oh, Jae-Ryoung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63-70
    • /
    • 2004
  • Tributyltin (TBT)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dibutyltin (DBT) and monobutyltin (MBT)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in surface sediments and two molluscan species,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rock shell (Thais ctavigera), from Gwangyang Bay, Korea. Butyltin compounds were detectable in almost all sediment and biota samples. Tributyltin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 ranged<2∼33 ng g$\^$-1/, which is at a lower end of TBT concentrations in industrialized bays in Korea. However, TBT levels in sediments were related to boating activities around the bay. In biota samples, TBT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178∼2,458 ng g$\^$-1/ toy oyster and 47∼236 ng g$\^$-1/ for rock shell. Relatively high TBT concentrations in biota were found near wharves for fisherboats and harbor areas. About 90∼100% of the female T. clavigera displayed imposex, and relative penis length index of the imposexed-female was in the range of 20.9∼107.9%. Furthermore, TBT body resid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gree of imposex in T. clavigera. Overall, TBT concentrations in Gwanyang Bay were much lower than other major bays in Korea.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s from Deep-sea Basin near Dokdo, Korea

  • Yim, Un-Hyuk;Oh, Jae-Ryoung;Hong, Sang-Hee;Li, Dong-Hao;Shim, Won-Joon;Choi, Hye-Kyung;Kim, Eun-Soo;Shim, Jae-Hyu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91-398
    • /
    • 2002
  •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deep-sea sediments near Dokdo were analyzed. Total PAMs concentration ranged 14.8-314 ng/g dry weight and high molecular weight PAHs were dominant. The highest PAHs concentration was detected at A19 which located at Ulleung Basin. Most of organochlorines were under detection limit. Among the detected organochlorines, DDT compounds were dominant and followed by HCHs and HCB. Butyltin compounds and mos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Vertical distribution of PAHs showed typical sub-surface maximum and decreasing trends depending on depth. The highest PAHs concentration reached 454ng/g. Some organochlorines, DDT, HCH was detected and also showed decreasing trends. Other target organic pollutants were not detected in core sediments. Abnormally high level of PAHs concentration in A19 was discussed and the input sources were inferred to be the transport of sludge derived pollutant dumped at dumping site 'Byung' by deep current.

MOCVD로 제조한 SnO2 박막의 표면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Reaction of SnO2 Thin Films Prepared by MOCVD)

  • 박경희;서용진;홍광준;이우선;박진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09-312
    • /
    • 2003
  • Tin dioxide($_SnO2$)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alumina substrate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time. Thin films were fabricated from di-n-butyltin diacetate as a precursor and oxygen as an oxidation. The microstructure of deposited films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he thickness was linearly increased with deposition time and $SnO_2$structure was found from $375^{\circ}C$ for the deposition time of 32 min. The maximum sensitivity to 500ppm CO gas was observed for the specimens deposited at $375^{\circ}C$ for 2 min a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350^{\circ}C$. Gas sensitivity to CO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film thickness. The sensing properties of response time, recovery and sensitivity of CO were changed with variations of substrate temperature and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