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diene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31초

고분자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저분자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혼합물의 가황과 기계적 물성 (Vulcaniz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Molecular Weight Slyrene-Butadiene Rubber/Low Molecular weight Styrene-Butadiene Rubber Mixtures)

  • 이화우;김병철;홍석표;이대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2호
    • /
    • pp.121-127
    • /
    • 1999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의 가공성과 기계적 물성을 조절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고분자량 SBR(high molecular weight SBR : HM-SBR)과 저분자량 SBR (low molecular weight SBR : LM-SBR)의 혼합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HM-SBR/LM-SBR의 LM-SB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화전 혼합물의 Mooney 점도와 경화에 따른 토오크 증가치는 감소하고 가황 후 혼합물들의 Shore A 경도와 반발탄성율은 감소를 보였다. 또한 LM-SBR 함량의 증가에 따라 혼합물들의 가황 후 유리전이온도는 일정하지만 고무상태에서 tan ${\delta}$는 증가를 보였다. LM-SBR 함량에 따른 가황 전 혼합물들의 Mooney 점도 감소는 LM-SBR의 가소화 효과와 분자량 분포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가황 HM-SBR/LM-SBR 혼합물의 기계적 물성 변화는 고무 혼합물의 가교밀도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용매 어닐링에 의한 박막에서 Polystyrene-Poly(1,4-butadiene) 블록공중합체의 모폴로지 전이 (Morphological Transitions of Symmetric Polystyrene-block-Poly(1,4-butadiene) Copolymers in Thin Films upon Solvent-Annealing)

  • 이동은;김응건;이동현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542-5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용매 증기 하에서 박막으로 제조된 polystyrene-poly(1,4-butadiene) 블록공중합체(PS-b-PBD)의 모폴로지 형성과 특성이 원자주사현미경(AFM)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사이클로헥산으로만 용매 어닐링된 박막의 경우 폴리스티렌의 매트릭스 내부에 PBD가 미세상을 형성하는 perforated lamellae가 형성되었지만, n-헥산만으로 용매 어닐링 된 박막은 불규칙한 패턴만이 관측되었다. 그러나 사이클로헥산과 n-헥산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 어닐링할 경우 기질에 수직으로 배향된 라멜라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모폴로지 전이는 혼합 용매의 혼합비에 의해 조절되며 n-헥산의 양이 증가하면서 라멜라의 형성이 뚜렷이 관측되었다. 그러나 용매 어닐링에 사용된 혼합 용매 중 n-헥산의 주요 성분이 될 경우 n-헥산의 PBD로의 용매 친화력에 의해 모폴로지 형성이 오히려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이클로헥산과 n-헥산의 혼합비에 따른 모폴로지 전이는 블록공중합체에 대한 두 용매들의 친화력과 관련 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들의 용해도 상수 및 Flory 상호인력 인자들이 고려되었다. 또한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두 가지 모폴로지를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 패턴의 제조를 위한 템플레이트로 활용하였다.

실라에텐 $Cl_2Si=CHCH_{2}^{t}Bu$의 생성과 반응성 (Generation and Reactivities of Silaethene $Cl_2Si=CHCH_{2}^{t}Bu$-Unsaturated Compounds of 14 group Elements (Ⅸ))

  • 김정균;박은미;구미영;박경래;손병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0-227
    • /
    • 1993
  • Lithiated 화합물인 $Cl_3$Si=$CHCH_2^tBu$로부터 LiCl의 제거반응에 의해 생성된 준안정 반응중간체인 Silaethene, $Cl_2$Si=$CHCH_2^tBu$은 propene, 2-methylpropene, 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anthracene과 반응하여 엔반응 생성물, 2 + 2-, 2 + 4- 고리화부가생성물을 생성한다. 이들을 분별진공증류법에 의해 분리하였고 분광학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1,3-Butadiene diepoxide로 가교된 히아루론산 막의 응용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Membrane Cross-linked with 1,3-Butadiene Diepoxide)

  • 정성일;한광선;배정은;김인섭
    • 멤브레인
    • /
    • 제18권2호
    • /
    • pp.124-131
    • /
    • 2008
  • 조직공학용 생체 물질로 사용하고자 가교제 1,3-butadiene diepoxide (BD)를 사용하여 락타이드와 가교시킨 히아루론산 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락타이드 및 BD 반응도는 핵자기 공명 분광볍으로 결정하였다. BD 농도가 높을 경우 6%이하의 성장저해 현상이 나타났으나 그 값은 세포 성장에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았다. 가교온도가 낮을수록 탄성 율은 증가하고 팽윤도는 감소하였다. 막의 생분해속도는 가교온도가 낮을수록 감소하였다. 약물방출 실험 결과 가교 온도가 낮을수록 막을 통한 약물 투과는 감소하였다.

이축 압출기를 이용한 혼련에서 삼성분계 블렌드의 상구조 형성과정 (Evolution of Phase Morphology During Compounding of Ternary Blends in a Twin Screw Extruder)

  • Kim, Hyungsu;Lee, Shi-Choon;D .Y. Yu;C. G. Gogos
    • 유변학
    • /
    • 제10권4호
    • /
    • pp.247-255
    • /
    • 1998
  • 이축 압출기에서 삼성분계 블렌드가 용융 혼련될 때 상구조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삼성분계 블렌드의 연속상은 polycarbonate(PC)로 고정하였고 나머지 분산상을 이루는 성분으로는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methyl methacrylate-butadiene-ethyl acrylate(MBE), styrene-acrylonitrile(SAM) 공중합체, 그리고 poly(methyl methacrylate)(PMMA)를 사용하였다. 블렌드의 여러 가지 조성에 따라 최종 상구조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MBE와 PMMA의 경우는 각각 PC-SAN의 계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였다. 삼성분계 고분자 블렌드의 상구조 형성과정은 성분간의 계면장력과 합체 현상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지배되었으며 합체의 정도는 계면에서의 점도에 의하여 민감하게 변화되었다.

  • PDF

응력과 온도에 따른 ABS의 크리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reep Characteristics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for Different Stress Levels and Temperatures)

  • 강석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37-1143
    • /
    • 2012
  • Creep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ilure mechanism when evaluating engineering materials that are soft material as polymers or used as mechanical elements at high temperatures. One of the popular thermo-plastic polymer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which is used broadly for machine elements material, as it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toughness and stiffness compared to other polymers, was studied for creep characteristic at different levels of stress and temperatur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reep limit of ABS at room temperature is 80 % of tensile strength which is higher than PE and lower than PC or PMMA. Also the creep limits decreased to linearly as the temperatures increased, up to $80^{\circ}C$ which is the softening temperature of Butadiene ($82^{\circ}C$). Also the secondary stage of creep among the three creep stages for different levels of stress and temperature was non-existent which occurred for many metals by strain hardening effect.

부타디엔 고무로 결합된 탄소반죽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과산화수소의 전기화학적 정량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using carbon paste biosensor bound with butadiene rubber)

  • 윤길중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505-510
    • /
    • 2010
  • 톨루엔에 녹인 폴리부타디엔을 탄소가루의 결합재로 사용하였을 때, 탄소반죽은 전극 제작 후 용매 증발에 의하여 기계적 물성을 보였으며, 이 성질은 탄소반죽전극 실용화의 선행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부타디엔 고무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새로운 효소전극을 제작하고, 그것이 정량적인 전기화학적 행동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전기화학 속도론적 파라메터 즉 대칭인자, 교환전류밀도, 이중층의 축전용량, 시간상수, 최대전류, Michaelis 상수 등을 구하였다. 이 결과들은 부타디엔 고무가 탄소반죽전극 실용화에 추천할 만한 위한 결합재임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Emulsification of Asphalt Modified with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nd Styrene Butadiene Styrene (SBS); 1) Phase Stability Behavior and 2) Physical Properties

  • Lee, Eun-K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4호
    • /
    • pp.335-344
    • /
    • 2019
  • In this work,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nd styrene butadiene styrene (SBS) were used to modify asphalt, resulting in SBR- and SBS-modified asphalt, respectively. The two modified asphalts were emulsified with a nonionic emulsifier (Span 60) and cationic emulsifiers (ID, DDA) and their phase stabilization was investigated via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and flow behavior analysis. With increasing amount of the mixed emulsifier, the particle size decreased, leading to an increase in viscosity. The shear thinning behaviors and Zeta potential values ranging from 35-65 mV were determined and remained considerably stable. In addition, the adhesion strength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SBR-and SBS-modified asphalt emulsion were evaluated via surface free energy examination. The remarkable adhesion and compression strengths were estimated when 5 phr ID and 6 phr DDA were added to the emulsified asphalt modified with SBR and SBS. Therefore ID and DDA, the two cationic surfactant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improving the dispersion and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resulting in the improved adhesion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emulsified asphalts modified with SBR and SBS.

Effects of Coupling and Dispersion Agents on the Properties of Styrene-Butadiene Rubber/Butadiene Rubber Compounds Reinforced with Different Silica Contents

  • Yang, Jae-Kyoung;Park, Wonhyeong;Ryu, Changseok;Kim, Sun Jung;Kim, Doil;Kim, Jong-Ho;Seo, G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3권3호
    • /
    • pp.109-123
    • /
    • 2018
  • The effect of the silica content on the state and properties of silica-filled styrene-butadiene rubber/butadiene rubber (SBR/BR) compounds containing coupling and dispersion agents was evaluated by varying the content of silica from 50 to 120 phr. Bis-[(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TESPT) and zinc 2-ethylhexanoate (ZEH) were used as the coupling and dispersion agents, respectively. The maximum silica content in the pristine material was 80 phr, which increased to 120 phr upon the addition of TESPT and ZEH. The incorporation of TESPT considerably improved most of the rubber properties due to its coupling action and the suppression of silica flocculation, while further addition of ZEH resulted in additional improvements. The properties of the rubber compounds with different silica contents can be fully explained either by an enhancement of the rubber-silica interactions or by their deterioration due to an excessive amount of silica aggregates.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Rubber/Polypyrrole 전도성 복합체의 제조와 전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BR/Polypyrrole Conducting Composite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정미옥;허양일;이완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3호
    • /
    • pp.188-195
    • /
    • 2000
  • Host Polymer인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NBR)과 전도성 고분자인 Polypyrrole (PPY)과의 복합체를 유화 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의 유화제 중에서 dodecyl sodium sulfate (DSS)를 사용하여 중합하였을 때 복합체의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합체 필름은 압축성형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전도성고분자의 함량과 온도에 따라 4단자법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PPY 함량이 25wt%일 때 1.17S/cm까지 증가되었으며 percolation threshold는 PPY의 함량 l5wt% 근처에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