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ing index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4초

오미자 색소 추출물의 가열 변색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 조성빈;김현정;윤종일;전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27
    • /
    • 2003
  •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써 각광을 받고 있는 오미자의 특징적인 붉은 색소인 anthocyanin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성을 연구하고자 오미자 조추출물(crude pigment extracts from Schizandra fructus)을 색소원으로 하여 가열 변색에 대한 지표로서 browning index(BI)를 이용하여 $80{\sim}100^{\circ}C$에서 kinetic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 2.0, 3.0, 4.0, 5.0 범위에서 pH가 높을수록 가열 변색 인자인 BI값이 감소하여 높은 pH에서 가열에 의한 변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시사하였다. 지표인자인 BI와 가열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열변색 반응은 2차 반응을 따랐으며 qinoidal base가 우세해지는 pH 5.0 구간을 제외하고는 pH가 높아짐에 따라 반응 속도상수(k)는 증가하여 높은 pH에서 가열 변색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Arrhenius식에 의해 계산된 오미자 anthocyanin 색소의 활성화 에너지(Ea)는 $24.87{\sim}42.54\;kJ/mol$이었으며, pH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화 에너지(Ea)값이 증가하여 온도 의존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pH조건에서의 지수앞인자($k_0$)와 활성화 에너지(Ea)가 직선 상관관계를 보여 시험한 pH 범위에서 오미자 anthocyanin 색소의 가열 변색 기작은 모두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Dependency of COD on ground motion intensity and stiffness distribution

  • Aschheim, Mark;Maurer, Edwin;Browning, JoAn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7권4호
    • /
    • pp.425-438
    • /
    • 2007
  • Large changes in stiffness associated with cracking and yielding of reinforced concrete sections may be expected to occur during the dynamic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s to earthquake ground shaking. These changes in stiffness in stories that experience cracking might be expected to cause relatively large peak interstory drift ratios. If so, accounting for such changes would add complexity to seismic design procedures. This study evaluates changes in an index parameter to establish whether this effect is significant. The index, known as the coefficient of distortion (COD), is defined as the ratio of peak interstory drift ratio and peak roof drift ratio. The sensitivity of the COD is evaluated statistically for five- and nine-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s having either uniform story heights or a tall first story. A suite of ten ground motion records was used; this suite was scaled to five intensity levels to cause varied degrees of damage to the concrete frame elements. Ground motion intensity was found to cause relatively small changes in mean CODs; the changes were most pronounced for changes in suite scale factor from 0.5 to 1 and from 1 to 4. While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veral cases, the magnitude of the change was sufficiently small that values of COD may be suggested for use in preliminary design that are independent of shaking intensity. Consequently, design limits on interstory drift ratio may be implemented by limiting the peak roof drift in preliminary design.

붕어육의 단백질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혈청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과 IGF-Binding Protein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assius carassius Hot-Water Extracts on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IGF-Binding Proteins in Rats)

  • 남택정;권미진;류홍수;김경숙;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85-690
    • /
    • 1999
  • The insulin like growth factors(IGFs) are bound to several binding proteins(IGFBPs) that appear to regulate IGF transfort, receptor binding, and its action. The concentrations of these peptides are regulated by quantity and nutritional quality of dietary prote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diets, which differed in their protein source, Carassius carassius(CC), Carassius carassius hot water extract(CCHE), for 4 weeks.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C group(74.14$\pm$12.00 to 266.31$\pm$36.62g; p<0.01). Likewise, IGF I concentration of CC group(101.76$\pm$15.90 n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CHE group(38.50$\pm$ 11.20ng/ml; p<0.05).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especially IGFBP 1, 2 levels are increased, whereas IGFBP 3 level was de creased in CCHE group. After extraction of browning material from each samples, the extractive was filtered and absorbance at 420nm was measured. The absorbance of CCH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 I can be employed as an index of protein metabolism, particulary as a simple index in the assessing the status of protein nutrition.

  • PDF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between Sous-Vide Cooked Pork Loin Patties with Different Searing Treatments

  • Cho, Dong Kook;Lee, Boin;Kim, Song Ki;O, Hyeonbin;Kim, Young Soon;Choi, Young M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4-223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cooking, textural, and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ous-vide (SV) cooked pork loin patties with different searing treatments (ST). Before SV cooking, STs were conducted on each side of the pork loin patties for 0 (control) to 120 s (ST120), and all patties were then cooked using an SV cooker at 75℃ for 120 min. Notice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quality properties between the groups. The seared SV loin patties exhibited lower lightness and higher browning index values compared to the unseared SV loin patties (p<0.001). Cooking loss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T times, and the control group had a lower percentage compared to the ST60 group (19.5 vs. 25.7%, p<0.001). Changes in cooking proper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extent of ST, and the ST groups exhibited a higher hardness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1). Regarding palatability, loin patties from the control group scored lower in appearance acceptability compared to patties from the ST groups (p<0.05) due to extent of browning on the surface. Moreover, the ST groups did exhibit a higher flavor intens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nderness and juiciness scores between the control and ST60 groups. Due to these results, the ST60 group exhibited a greater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except for the ST90 group. Therefore, an additional ST before SV cooking can achieve a more appealing appearance and palatability as well as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pork loin.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한 초음파와 저온 블랜칭의 병용처리 조건이 신선편이 양상추의 갈변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timized Co-treatment Conditions with Ultrasound and Low-temperature Blanching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Fresh-cut Lettuce)

  • 김도희;김수민;김한빛;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0-476
    • /
    • 2012
  • 신선편이 양상추는 유통 중 갈변과 이취 및 무름현상이 발생되고,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안전성이 위협받는 등 원재료보다 품질 저하현상이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강지향적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선도 유지를 위한 화학적 처리를 거친 식품은 기피하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적인 블랜칭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저온블랜칭과, 다른 기술과 병용처리 시 synergy effect를 기대할 수 있는 초음파를 병용처리함으로써 신선편이 양상추의 품질특성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적 병용처리조건은 예비실험을 토대로 확립하였으며, central composite design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즉, 독립변수를 ultrasonication time ($x_1$), blanching temperature ($x_2$) 및 blanching time ($x_3$), 종속변수를 ${\Delta}E$ value (y)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90초간 ultrasonication한 후 $45^{\circ}C$에서 90초간 blanching (US+LB)하는 것이 색도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병용처리구와 각각의 단일처리구 및 무처리구를 $1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US+LB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L^*$값이 나타났으며, $a^*$, $b^*$, ${\Delta}E$ value, browning index, PPO 및 POD 활성, 총균수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appearance, color, aroma, freshness, texture, overall acceptibility의 6가지 항목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US+LB 처리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화학적 실험결과와도 일치하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초음파와 저온블랜칭의 병용처리는 신선편이 양상추의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량머루주의 감산에 관한 연구 (Deacidification of New Wild Grape Wine)

  • 김승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5-270
    • /
    • 1996
  • When new told grape with high acidity Is used wine, their sensory scores are decreased. Using three available methods reducing excess acidify In winemaking, they were malo-lactic fermentation, addition of apple pomace and malo-alcohol fermentation. The chemical mon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wine were determined. They were found in pink wine added apple pomace that tatal acidity and malic acid content were 0.76 and 0.484%. Color Intensity (A520+A420) in pink wanes, their valuse were in the range 8.21~9.42, while the value of red wine was 20.92. Browning index and total phenol contents in pink wine, their values were In the range of 1.36∼1.42 and 3,300∼3,800mg 11.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pink wine added apple pomace(10%) was highest in taste and total scores (P<0.05), and the taste of wine has improved.

  • PDF

열처리에 따른 야콘의 항산화 활성 변화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 황인국;김하윤;박보람;한혜민;유선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7-8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가 야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100 및 $121^{\circ}C$)와 시간(15, 30 및 60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함량, 유리형 및 결합형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다. 야콘의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2배 및 1.1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야콘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7배 및 2.0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였다. 야콘의 갈변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열처리 방법을 통해 야콘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화방지제의 첨가가 참다래 동결건조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aking Ag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Kiwifruit Powders)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8-188
    • /
    • 2014
  • 제주에서 육성된 참다래(한라골드)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방안으로 과육에 고화방지제를 첨가한 분말형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즉,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100%(대조구),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polydextrose 5%,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dextrin 5% 등 3개 시료를 제조한 다음, 동결건조 후 분말화한 각 시제품에 대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분말 수율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 산도, 총페놀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비타민C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고화방지제 첨가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total sugar) 및 유기산(oxalic acid, lactic acid, total organic acid)의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색도는 모든 시험군에서 높은 L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고화방지제 종류에 따른 갈변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 분말의 용해도(59.57~64.84%)및 팽윤력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른 흡습성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음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고화방지제 첨가(5% 수준) 과육 분말은 무첨가 과육분말에 비하여 비타민C의 유지율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흡습성이 낮아 우수한 분말 품질 특성을 보였다.

고로쇠 수액의 유출시기별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Goroshoe (Acer mono Max.) Sap with Collection Periods)

  • 정수정;이창현;김현영;이상훈;황인국;신창섭;박의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82-1487
    • /
    • 2011
  • 고로쇠수액의 채취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고로쇠수액의 갈변도 및 탁도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및 총산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malic acid는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sucrose와 fructose 및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한 반면, fructose는 증가하였고 glucose는 채취시기 후반기에만 검출되었다.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채취초중반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후반기에 많은 증가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Ca, Cu, Fe, K, Mg 및 Mn 등이 검출되었으며, K, Mg 및 Fe는 채취기시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채취시기 후반기에 채취되는 고로쇠수액은 탁도의 증가로 인하여 음용하기 어렵지만, 조단백질, 유기산, 무기성분 등의 증가로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적절한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탁도를 제어한다면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쌈채소의 신선편의 가공적성 및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and minim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Ssam' vegetables during storage)

  • 황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32-637
    • /
    • 2017
  • 쌈채소 4종(적겨자, 케일, 적근대, 적상추)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선편의 가공 적성을 조사하였다. 쌈채소를 1/2로 절단하고 세척한 후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18{\times}21cm$)백에 포장하고 $10^{\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각종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쌈채소의 조직감, 신선편의 가공 후 중량 감소율, 갈변도, pH, 산소 및 이산화탄소 변화, 미생물적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적근대의 외형적 차이로 인해 절단강도는 6,750.67에서 $6,778.67g/cm^2$로 다른 채소와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초기 탄력성은 적겨자(0.98%) 가 가장 낮았고 적상추(1.6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율은 0.24-4.77%로 적상추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pH는 6.00-6.95, 갈변도는 저장 중 0.95까지 증가하였다. 저장 중 산소는 감소하였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절단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일반세균, 효모와 곰팡이 및 대장균군은 각각 4.9-8.0 log CFU/g, ND-3.5 log CFU/g, 3.5-8.0 log CFU/g로 나타났다. 전반기호도를 기준으로 케일과 적근대가 신선편의 가공 시 저장 7일까지 상업적 품질을 유지하여, 적절한 가공처리 및 품질 관리가 적용될 경우 신선편의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