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rice varieties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2초

Diverse mechanism on cadmium uptake among rice varieties

  • Lee, Sang Beom;Kim, Kyu Won;Kim, Gyeong Jin;Choi, Buung;Yoo, Ji Hyok;Oh, Kyeong Seok;Moon, Byeong Churl;Park, Yong-jin;Park, Sang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57-157
    • /
    • 2017
  • In last study,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was conducted for cadmium content of 295 rice varieties including 137 rice core set and 157 Korea breeding varieties collected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at 9 varieties had SNP allele and amino acid substitution in exon of chromosome 1. This study was aim to understanding mechanism of cadmium uptake to confirm correlation of cadmium and other mineral nutrients (Cu, Mn, Fe) among 9 rice varieties. Nine varieties were planted on polluted soil of mine in Korea and cadmium content in root, stem, leaf and it's brown rice was analyzed by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Agilent 7700E, U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chanism for cadmium uptake and accumulation was diversity among varieties. Chin-nong and Ho-nong contained higher levels of cadmium in root, but contained relatively lower levels cadmium in brown rice than other varieties. Cheong-nam, Nam-pyeong, Gan-cheok, Suan absorbed high levels of cadmium through root and then accumulated high cadmium to brown rice. Meanwhile, Yeong-deok and Su-kwang absorbed lower cadmium in root, but high cadmium was accumulated in brown rice. Correlations between cadmium and other mineral nutrients (Cu, Mn, F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The contents of iron in leaf had minus correlation (p<0.05) with cooper and cadmium in root, cadmium in brown rice. Therefore understanding of cadmium uptake mechanism among varieties will be used to basic data for further breeding and phytoremediation.

  • PDF

품종별 현미밥의 조직감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extural Properties in Various Types of Brown Rice)

  • 윤미라;이점식;이정희;곽지은;천아름;원용재;김보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4-301
    • /
    • 2014
  • Rice (Oryz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ple foods in Korea and the consumption of brown rice is increasing annu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hydration and textural properties related to eating quality of cooked brown rice by using glutinous, semi-glutinous, four non-glutinous and four colored varieties. The moisture, protein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of brown rice are shown in the range of 11.1~12.6%, 6.6~8.7% and 6.28~12.40%, respectively. The amount of water uptakes for brown rice during the hydration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lutinous variety of Boseogchal indicate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levels by reaching $0.38gH_2O/g$. The hardness of hydration for Seolgaeng is distinc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brown rice varieties. According to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brown rice when using the Tensipresser, the hardness of Boseogchal, Baegjinju and Seolgaeng all exhibit the lowest values out of ten varieties and the highest levels of adhesiveness.

백미와 현미 쌀빵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 강미영;최영희;최해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69
    • /
    • 1997
  • 벼 8품종의 현미와 백미로 쌀빵을 제조하여 쌀빵가공성에 대한 벼 품종간 및 현 백미간 비교를 실시하고 관련특성간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벼 품종간에는 제빵성의 차이가 있으나 현미와 백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품종에 따라서는 현미와 백미간에 쌀빵특성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찰벼 품종인 한강찰벼는 백미로는 쌀빵의 제조가 불가능하였으나 현미로는 다른 어떤 품종 보다도 제빵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메벼 품종들 중에서는 AC 27, IR 44, 수원조가 백미의 제빵성이 우수하였고, 이 세 품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백미보다 현미로 쌀빵을 만들 경우 가공특성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쌀의 일반성분 및 쌀빵의 제 특성 간의 상관성을 현미와 백미에 대해 별도로 살펴보면, 현미의 경우에는 부피 증가율이 큰 쌀빵 반죽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빵 제조가 가능하였고, 촉촉한 쌀빵일수록 부드럽고 응집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백미의 경우에는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촉촉한 느낌의 쌀빵이 되는 경향이었으며, 지질함량이 높을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며 탄력성이 적은 쌀빵이 제조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쌀빵 성형이 양호할수록 경도 및 씹힘성이 낮은 부드러운 빵이되는 경향이었으며, 기공의 크기가 균일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으면서 푹신한 감이나 탄력성이 낮은 빵이 되는 경향이었다.

  • PDF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품종별 가공 처리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Effect of Processing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 이종구;임무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13-618
    • /
    • 2013
  • 아밀로오스 함량의 차이가 있는 품종별 현미를 대상으로 frying 처리와 파보일링 처리를 통해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현미의 용융 흡열 곡선을 관찰한 결과 amylose 함량이 증가할수록 호화 엔탈피가 감소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amylograph 측정결과 현미 중 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해 $HgCl_2$ 처리와 전분입자의 팽윤정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latinization temperature는 Ilpumbyeo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oami가 maximum viscosity와 breakdown 값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X-선 회절도 분석 결과 일품벼 백미의 경우 결정형이 소실된 V형, 일품벼 현미의 경우 B형의 결정체에 가까운 것이 관찰되었다. 가공처리에 따른 주사전자현미경 측정결과 파보일링 처리 후 튀긴 경우 amylose 함량이 높을수록 표면이 둥근 형태를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침 후 파보일링 처리 후 튀긴 경우가 수침처리만 한 후 튀긴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강도와 경도 측정결과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유색미의 품종별 호화 특성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Pigmented Rice Varieties)

  • 하태열;박성희;이상효;김동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64-567
    • /
    • 1999
  • 유색미의 호화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색미를 품종별로 수집하여 아밀로오스 함량, 아밀로그래프 특성, gel consistency 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유색미가 일반현미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도 상해향혈나는 5.5%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el consistency는 적미, 일반현미에 비하여 흑미에서 현저하게 높았고 특히 상해향혈아가 가장 높았다. WAI는 각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WSI는 적미<일반현미<흑미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밀로그래프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고 점도는 적미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일반현미였으며 흑미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도 상해향혈나가 가장 낮았다.

  • PDF

유색미의 품종별 화학성분의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 하태열;박성희;이창호;이상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6-341
    • /
    • 1999
  • 유색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색미를 품종별로 수집하여 색도, 일반성분, 지방산,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주요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색도는 L값은 일반현미>적미>흑미의 순으로 낮았고 a값은 적미>일반현미>흑미의 순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8.4{\sim}11.0%$의 범위를 나타내어 시료에 따른 차이가 컸고 그중 수원 415 흑미가 가장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2.7{\sim}3.3%$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_{1},\;B_{2}$의 함량도 일반현미에 비하여 유색미가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이섬유의 함량도 유색미가 일반현미에 비하여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추청과 동진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조성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흑미는 oleic acid보다는 linoleic acid의 비율이 높았고 적미는 반대로 linoleic acid보다 oleic acid의 조성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Fe, Zn, Mn을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유색미가 일반현미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흑미가 가장 높았다.

  • PDF

벼 종실의 휴면 관련 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과의 관계 (Chemical Components Related with Seed Dormancy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3-119
    • /
    • 1995
  • 본 실험은 벼종실의 휴면성 관련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후 20일과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 중 Sucrose 함량은 모두 자포니카형 품종이 샤레형, 통일형 및 인디카형 품종들보다 높았고, 자포니카형 품종에서는 모두 시기간에 그 함량의 변이도 작았다. 출수후 20일 및 40일의 현미 Sucrose의 함량과 수발아율은 정의 상관이 확정었다. 2. 출수 후 20일 및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에 함유한 지방산 조성은 자포니카 형이나 샤레형 품종들 보다 통일형 및 인티카형 품종들에서 Oleic acid의 비율이 높은 반면 Linoleic acid의 비율이 낮았으며, 종실의 수발아성은 Oleic acid의 조성비와 부의 상관, 그리고 Linoleic acid 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출수 후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주야 25/15$^{\circ}C$ 변온 조건과 4$^{\circ}C$의 저온 조건에 각각 30일간 저장한 후 왕겨에 함유된 ABA함 량을 조사한 것보다 그 함량이 낮았으며, 수발아성성이 높은 자포니카형 품종들이 수발아성이 낮은 통일형이나 인디카형 품종들 보다 ABA 함량이 크게 낮았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Allantoin in Various Rice Varieties

  • Han, Sang-Jun;Ryu, Su-No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53-457
    • /
    • 2007
  •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llantoin in rice grain of selected varieties were investigated. Allantoin was isolated from Jeokjinjubyeo, and its structure has been elucidat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Allantoin was extracted with a 70% acetone and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s without a previous chemical derivatization. The concentration of allantoin in selected rice varieties was in a narrow range from 2 to 18 mg per 100 g of brown rice. The highest content was detected in Heugkwang with 18.6 mg per 100 g brown rice, while the lowest was 2.59 mg in Yeomyung.

Extraction and Electrophoretic Characterization of Rice Proteins

  • Kim, Mee-sook;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37-441
    • /
    • 2002
  • Rice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brown and milled rice of five varieties: Kwanganbyeo, Daeanbyeo, Daejinbyeo, Surabyeo, Hwaseongbyeo; and their electrophoretic patterns were analyzed by SDS-PAGE. Albumin was extracted with water, globulin with 5% NaCl, prolamin with 70% ethanol, and glutelin with 0.2 M sodium borate buffer (pH 10.0) containing 0.5% SDS, 0.6% $\beta$-mercaptoethanol. The ratios of albumin : globulin : prolamin : glutelin in the brown rice were 10.8~14.1 : 12.4~16.4 : 3.6~5.3 : 68.6~72.8, and in milled rice were 4.4~5.6 : 10.6~12.0 : 3.9~5.4 : 75.7~79.8. In albumin seven major bands were observed with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14.g~96.8 kDa, in globulin four bands with molecular weights in the range of 14.4~56.9 kDa, prolamin had only one ban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4.4 kDa, and glutelin had four bands with molecular weights of 14.4 ~ 57.4 kD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lectrophoretic patterns between rice varieties or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한국 주요 수도품종의 부진자류 저항성에 관하여 (Studies on Resistance of Rice to the Leaf and Planthoppers)

  • 김규진
    • 기술사
    • /
    • 제10권3호
    • /
    • pp.8-16
    • /
    • 1977
  • The pbjective of this study to clarify the varietal resistance to green leaf-and planthopper and the evaluate the nature of the resistance to the insects in connection with the Antibiosi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action of the varieties to insects with 46 rice varieties including recommended varieties of korea, At seedling stage they were in fested with second of third inster nymp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ice vari eties tested showed highly susceptible reaction to Brown planthopper except Mudgo, KR 108-143- and HR529-41-3-2 as resistance, and Akamoch, Satominori, IR 24 and IR 8 asmoderately suscptible. 2. In the test of varietal resistance to white backed planthopper Mudgo, KR 108-243-1, KR 109-154-2 and HR 529-45-3-2 were resistance, and Suweon 82, Tongil, IR 8 palkeum, Iri 309, Hokwa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3. Most of the varieties tested were observed highly resistance to green leafhopper, but Tongil, Suweon 82, IR 24, Milsu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4. the new bred lines HR 108-243-1 are multiple resistance of Brown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and white babked planthopper, and some others showed moderatly susceptible as. IR 8: Brown planthopper, white backed planthopper. IR 24: Brown poanthopper, green leafhopper. Tongil: suweon #82, Chukoku #31, whist backed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