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laying hens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of δ-Aminolevulinic Acid on Serum Iron Status, Blood Characteristics, Egg Performance and Quality in Laying Hens

  • Chen, Y.J.;Cho, J.H.;Yoo, J.S.;Wang, Y.;Huang, Y.;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55-1360
    • /
    • 2008
  • Effects of dietary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supplementation on serum iron status, blood characteristics, egg production and quality were examined in laying hens in an 8-week feeding trail. Two hundred and forty (Hy-line brown, 40-week-old)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ten replications (six layers in adjacent three cage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ALA1 (CON+ALA 5 ppm), 3) ALA2 (CON+ALA 10 ppm) and 4) ALA3 (CON+ALA 15 ppm). All nutrient levels of diets were formulated to meet or exceed NRC (1994) recommendations for laying hen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differences of serum iron concentration and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A1 supplemented treatment (quadratic effect, p<0.05). The difference of total protein between 8 and 0 wee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A2 treatment than CON treatment (quadratic effect, p<0.05). No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on hemoglobin, WBC, RBC, lymphocyte and albumin concentrations.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ere not influenced by the ALA supplementation. Egg yolk index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ALA3 treatment than CON treatment at the end of 4 and 8 weeks (linear effect, p<0.05). Haugh unit was increased in ALA3 treatment compared to CON and ALA1 treatments at the end of 8 weeks (linear effect, p<0.05). However, egg shell thickness, breaking strength and yolk color unit were not affected by the ALA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dietary ALA supplementation at a level of 5 ppm can affect iron concentration in serum while higher levels (10 or 15 ppm) have some beneficial influences on blood profiles and egg quality.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의 급여가 산란 노계의 도체와 난황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Supplementation on Pigmentation in Muscle, Skin, and Egg Yolk of Old Layers)

  • 나재천;장병귀;이진건;하정기;송재연;이봉덕;안길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3-78
    • /
    • 2004
  •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ACA)를 0~300mg/kg을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산란노계의 피부 및 계육에 미치는 착색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노계에서 황색도($b^*$ )는 모든 부위의 피부에 있어서 ACA를 5~100mg/kg 이상 첨가시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날개육, 가슴육 및 다리육에서 유의적 수준의(P < 0.05) 황색도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100-200 mg/kg 이상의 ACA 첨가가 필요하며 피부에 비하여 첨가수준이 약간 더 높았다. ACA의 첨가수준에 따른 일령별 난황색의 변화는 급여 1일에서는 무첨가구와 첨가구간에 유의차가(P < 0.05)가 300 mg/kg에서만 보였으나, 2일째부터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1-5주간 급여시 모든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첨가수준이나 급여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1~5주간 급여시 모든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첨가수준이나 급여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Feeding Value of Sesame Oil Meal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 임호중;안승민;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5-263
    • /
    • 2004
  •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Comparison of amino acid digestibility of soybean meal, cottonseed meal, and low-gossypol cottonseed meal between broilers and laying hens

  • Kai Qiu;Xiao-cui Wang;Jing Wang;Hao Wang;Guang-hai Qi;Hai-jun Zhang;Shu-geng Wu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4호
    • /
    • pp.619-628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soybean meal (SBM), cottonseed meal (CSM), and low-gossypol cottonseed meal (LCSM) fed to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Methods: Three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the identical crude protein concentration at 20% were formulated to contain SBM, CSM, or LCSM as the sole source of N. A N-free diet was also formulated to estimate the basal ileal endogenous losses of AA for broilers and hens. A total of 300 male Ross 308 chicks at one-day-old and 144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0-week-old with initial egg production rate of 88.3%±1.0%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 of 4 dietary treatments, respectively. Results: CSM and LCSM showed more Arg and Cys+Met while less Lys, Ile, Leu, and Thr relative to SBM. Significant interactions existed between species and experimental diets for AID (except for Arg, Asp, Glu, Gly, and Pro) and SID (except for Arg, His, and Phe) of most AA. Most AA in diets showed higher AID (except for Lys) and SID (except for Lys, Met, and Ser) in broilers relative to laying hens. The AID and SID of all A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diets. In broilers, the AID and SID of most indispensable AA except for Arg in SBM and LCSM was higher than CSM. In laying hens, the AID and SID of most indispensable AA except for Arg, Met+Cys, and Phe in SBM was higher than CSM and LCSM. Conclusion: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AID and SID of AA in CSM and LCSM for broilers and layers benefits the application of CSM and LCSM in chicken diets. The cottonseed by-products CSM or LCSM showed the species-specific AA digestibility values for broilers and layers.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ine Cone Meal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Serum Cholesterol and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이정호;김규식;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07
  • 본 연구는 잣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51주령 Hy-line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실시하였다. 1) T1(기초 사료 + 미루나무톱밥 1%), 2) T2(기초 사료 + 잣 부산물 0.5% + 미루나무톱밥 0.5%) 및 3) T3(기초 사료 + 잣 부산물 1%)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난중 및 계란 품질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HDL, LDL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의 함량 및 변화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난황 내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alpha}$-linoleic acid은 T1처리구가 T3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Total SFA, total PUFA, total MUFA 및 total UFA/SFA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alpha}$-linoleic acid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태인이 산란계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ine on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박재홍;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6
    • /
    • 2007
  • 비태인이 산란계의 면역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와 in vivo 시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당 18수씩 총 72수를 공시하였고, 비태인 0, 300, 600, 1,200 ppm 수준으로 산란계 사료에 첨가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in vitro 시험에서 비장 림프구 증식은 비태인 만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증식 반응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Con A와 PWM을 처리하였을 때 증식 반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Con A만을 처리했을 때보다 Con A와 비태인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 반응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WM과 비태인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는 PWM만을 처리했을 때와 비교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에 비태인을 첨가 급여한 in vivo시험에서 Con A의 자극에 대한 비장 림프구 증식반응은 비태인의 첨가 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200 ppm 급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Con A와 함께 비태인(0.1 mM)을 처리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PWM의 자극에 대한 반응은 Con A에 비하여 약하게 나타났으며 비태인 급여 수준에 따른 차이도 적게 나타났다. 비태인을 급여한 산란계 비장의 무게에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비태인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비태인 300 ppm 첨가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비태인을 수준별로 급여하여 SRBC 항체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 비태인의 처리는 in vivo 상에서 Con A로 비장 림프구의 증식을 유도한 경우 유의하게 비장 림프구의 증식을 증가시켰다.

케이지 사육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the Feather Condition, Egg Quality, Blood Parameters and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of Laying Hens in Conventional Cage)

  • 손지선;김찬호;강환구;김현수;전진주;홍의철;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3-93
    • /
    • 2020
  • 본 연구는 케이지 사육 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 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란계(Hy-Line Brown) 700수를 공시하여 배터리 케이지에 750 ㎠/수 및 500 ㎠/수 사육밀도 처리구로 50 반복을 두어 32주부터 60주까지 총 28주간 실시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 하였다.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령이 증가할수록 깃털손상도가 증가하였으며, 등과 꼬리 부위의 손상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품질(난중, Haugh unit, 난각 강도 등)은 사육밀도에 따른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구 성분 및 혈액 생화학 지표는 사육밀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종료 시점의 혈액과 깃털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ne 농도를 분석한 결과, 500 ㎠/수 사육밀도에서 사육 시 750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케이지에서 500 ㎠/수 사육밀도 사육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산란계의 행동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roduction performanc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aying hens fed Aspergillus oryzae and phytase co-fermented wheat bran

  • Huang, Chung Ming;Chuang, Wen Yang;Lin, Wei Chih;Lin, Li Jen;Chang, Sheng Chang;Lee, Tzu Ta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3_spc호
    • /
    • pp.371-384
    • /
    • 2021
  • Objective: Wheat bran (WB) was co-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phytase (Phy) to determine whether co-fermentation improve WB phosphorus and fiber utilization in Isa-brown layers. Methods: A total of 112 Isa brown layer were randomly divided into 7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per a treatment and 2 hens per a replicate. The treatments included basal diet (control),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250 unit/kg Phy (control+Phy), diet with 10% WB (10% WB), diet with 5% WB and 250 unit/kg Phy (5% WB+Phy) diet with 10% WB and 250 unit/kg Phy (10% WB+Phy), diet with 5% fermented WB supplemented with molasses and phy (PCFWH) and 125 unit/kg Phy (5% PCFWH), and diet with 10% PCFWH (10% PCFWH). Th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intestinal morphology, serum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excreta phosphorus content were assessed. Results: In PCFWH, spore counts, protease activity, xylanase activity, and ferulic acid were 8.50 log/g dry matter (DM), 190 unit/g DM, 120 unit/g DM, and 127 ㎍/g, respectively. Xylobiose and xylotriose were released in PCFWH, while they were not detectable in WB. Antioxidant capacity was also enhanced in PCFWH compared to WB. The 10% WB+Phy and 10% PCFWH groups produced higher egg mass, but hens fed 5% WB+Phy had the lowest amount of feed intake. Eggs from 10% PCFWH had better eggshell weight, eggshell strength, and eggshell thickness. Birds fed with 10% PCFWH also had higher serum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Compare to control, 10% PCFWH significantly reduced excreta phosphorus content. Conclusion: Diet inclusion of 10% PCFWH improved egg quality, antioxidant status, and excreta phosphorus content of laying hens.

일라이트(illite)를 산란계 사료에 첨가 시 계란 신선도와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 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807-811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One hundred and twenty laying hens (48-week-old Hy-line Brow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treatments: control or 2% illite powder. At 2 and 4 weeks, the Haugh unit values between the control and 2% illite powde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addition, individual fatty acid content at 2 and 4 week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atments (p>0.05), except for palmitic (C16:0) and palmitoleic acid (C16:1) content. The addition of 2% illite powder caus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aturate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t 2 and 4 weeks (p>0.05).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dietary illite at a rate of 2% did not improve the Haugh unit values or fatty acid profiles of eggs.

케이지 산란계의 적정 사육밀도 구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cision of Suitable Housing Density in Caged Laying Hens)

  • 김종문;이덕수;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8-326
    • /
    • 1990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경제적인 케이지 사육밀도를 구명하여 계사 및 케이지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고 백색계로는 ISA Babcock 산란계 600수와 유색계로는 ISA Brown 산란계 450수를 공시계로 하여 수당 사육밀도에 따라 백색계, 6처리, 유색계 5처리 4반복 시험을 1987년 5월 11일부터 1988년 6월 27일(14~72주령)까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밀도에 따를 육성기간(14-20주령) 동안의 증체고은 백색곡에서는 사육밀도가 272$\textrm{cm}^2$, 수당 급이기 길이 8m에서 381g으로 가장 적었고,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 306$\textrm{cm}^2$에서 554g으로 가장 적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육계기간(14~20주) 동안에 사육밀도간의 육성율은 백색곡와 유색계 모두 97.63%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3. 산란기간(21-72주) 동안의 사육밀도별 성계생존율은 백색계는 453$\textrm{cm}^2$ 구에서만 89.31%로 통계적유의차(P<.05)가 인정되었고, 유색계에서는 306$\textrm{cm}^2$의 고밀도 구에서만 80.94%로 유의차(P<.05)가 인정되었다. .4. 전 산란기간(21-72주령) 동안의 산란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인 272$\textrm{cm}^2$/수당 구에서 62.11%로 가장 낮았으며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산란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색계에서도 고밀도인 306$\textrm{cm}^2$/수당구에서 65.01%로 가장 낮았고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산란율도 증가하는 순향을 나타내었다. 5. 사육밀도가 평균난중에 미치는 영향은 백색석와 유색계 모두 전 산란기간 동안 처리간의 특별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인정되지 않았다. 6. 1일 산란양은 백색계의 경우 산란말기(63~72주령)에 고밀도 사육구(272~306$\textrm{cm}^2$/수)에서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유상무에서는 산란 전기간(21~72주령)동안 사육밀도에 따라 산란양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7. 산란전기간 동안(21-72주)의 사료섭취양은 백색계에서는 사육밀도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와 수당 급이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의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8. 사료요구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272$\textrm{cm}^2$/수)에서 2.94로 가장 많았으나 다를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유색계에서도 306$\textrm{cm}^2$/수의 고밀도 구에서 2.87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 사이에서는 일정한 경향치가 없었고 통계적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적정 밀도는 백색계의 경우 초고밀도인 272$\textrm{cm}^2$/수를 제외한 수당면적 306~453$\textrm{cm}^2$,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textrm{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