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mea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1초

심층수의 급여가 닭고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ep Sea Water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Meat)

  • 강선문;이익선;오상집;김거유;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2-99
    • /
    • 2011
  • 본 연구는 육계에게 심층수를 급여했을 때 도축 후 닭고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일령 육용 병아리(Ross 308)를 음용수의 종류에 따라 세 처리구로 나누어 각각 식수(대조구)와1:40 및 1:20(심층수:증류수)의 비율로 희석한 심층수들을 28일 동안 급여하였으며, 대조구의 경우 0.18% 소금이 첨가된 기초사료를 급여하였다. 육성 완료 후 각 처리구마다 5수씩 도살하여 가슴육을 채취한 후 $4^{\circ}C$에서 9일 동안 저장하였다. 그 결과, 1:40 및 1:20 심층수의 급여 모두 닭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1:40으로 희석한 심층수를 급여시 지방 함량, 보수력, 나트륨과 칼륨 함량이 감소하였으나(p<0.05), 불포화지방산 함량과 명도는 증가하였다(p<0.05). 1:20으로 희석한 심층수의 경우 적색도가 증가하였으나(p<0.05), 명도와 황색도(p<0.05), TBARS 억제력은 감소하였다. 반면에 보수력, 지방산 조성과 무기질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심층수의 급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닭고기의 육색이 더 붉어졌으나, 지방산화 안정성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다른 육질 항목들에 대한 급여 효과를 명확히 알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omparison of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flora, blood profiles,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Korean native chickens and white semi broilers under an identical breeding environment

  • Oh, Han Jin;Kim, Kwon Jung;Bae, In Kyu;Yun, Won;Lee, Ji Hwan;Lee, Chang Hee;Kwak, Woo Gi;Liu, Shudong;An, Ji Seon;Yang, Seung Hun;Kim, Gok Mi;Choi, Yang il;Cho, J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351-3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flora, blood profiles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Korean native chickens and white semi broilers under identical feeding conditions. Sixty 1-d chicks of each type were randomly placed into 12 pens per cage (5 chicks per cage) and fed commercial diets for 28, 49, and 28 days, respectively. The broiler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 < 0.05) growth performance from 0 to 4 weeks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Korean native chicken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 < 0.05)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nitrogen than that of the other species. The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orean native chickens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and the blood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The Lactobacillus content in Korean native chickens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and the E. coli content in the broilers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in the Korean native chickens and white semi broilers. In terms of meat quality, the breast meat of the broilers had a high water content and pH level. The breast meat of the white semi broilers had a significantly lower (p < 0.05) shear force than that of the other species. In conclusion, there was an interspecific physiological difference due to the age and body weight of the chickens. The broilers had a higher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ompared to the Korean native chickens and white semi broilers.

육계의 사료내 황토 첨가가 계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Yellow Clay on Sensory Evaluation of Meat in Broiler Chicks)

  • 최옥자;양철주;김정빈;문승태;정현숙;심기훈;채영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1-117
    • /
    • 2007
  • 육계 사료내 황토의 첨가가 계육의 조리시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동물은 Ross Broiler 216수로 6처리 6반복 반복당 6수씩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대조구, 2) 황토 0.5% 첨가구, 3) 황토 1.0% 첨가구, 4) 황토 2.0% 첨가구, 5) 황토 4.0% 첨가구, 6) 황토 8.0% 첨가구로 총 6처리로 나누어 급여한 후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황토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조리 전에는 L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리 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조리 전보다 조리 후에 L값이 더 높았다. a값은 조리 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는 더 낮게 나타난 반면, 조리 후에는 대조구보다 황토 첨가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b값은 조리 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4.0 및 8.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리 전보다 조리 후 b값은 높게 나타났다.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조리 전과 후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다(P<0.05). 조리 후 육수의 탁도는 사료내 황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 평가에서 육질과 육수의 색, 향미, 맛, 질감 등은 대조구보다 황토 첨가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며(P<0.05), 전체적인 선호도는 4.0% 황토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육계의 사료 황토를 첨가하여 생산한 계육은 관능 평가 결과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맥섬석과 한방제재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acsumsuk and Herb Resources on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 김병기;정대진;황은경;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2-519
    • /
    • 2012
  • 본 시험은 육계에게 맥섬석 또는 한방제재를 첨가하여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브로일러 600수를 공시하여 4처리구당 50수씩${\times}$3반복으로 나누어, 대조구(0%), T1구(맥섬석 0.3%), T2구(한방소재0.3%), T3구(맥섬석0.3%+한방소재0.3%)를 5주 동안 첨가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2구가 가장 높았고(p<0.05), 폐사율은 대조구(8%)가 처리구보다 크게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혈중 콜레스테롤은 대조구(111.8 mg/dL)가 처리구(102.5-107.7 mg/dL)보다 더 높았으나, 혈중 IgG는 처리구(5.23-6.71 mg/dL)가 대조구(4.5 mg/d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계육의 가열감량과 전단력은 처리구(각각 15.25-16.55%, 1.47-1.55 $kg/cm^2$)가 대조구(17.08%, 1.91 $kg/cm^2$)보다 더 낮았으나, 보수성은 오히려 처리구(55.97-56.01%)가 대조구(54.40%)보다 더 높았다(p<0.05). 가슴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80.81-83.59 mg/100 g)가 더 낮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에게 맥섬석과 한방제재 참가급여는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오골계, 오골계교잡종 및 육용계육의 이 $\cdot$ 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Ogol Chicken, the Cross-Bred Ogol Chicken and Broiler Meat)

  • 채현석;안종남;박범영;유영모;조수현;이종문;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5-194
    • /
    • 2002
  • 본 연구는 오골계, 오골계교잡종(3원교잡) 및 육용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품종별 3점(점당 3수)을 공시하여 화학적인 특성으로써 일반성분, 무기물, 아미노산,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으며 물리적인 특성으로써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육색 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원교잡으로 생산된 오골계교잡종과 순종오골계 및 육용계육의 육질특성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수컷과 암컷에서 각각 23.67%와 23.575으로 순종 오골계육의 22.84%와22.205%보다 오히려 약간 높았고 특히 육용계육의 21.735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조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순종오골계육에 비해 약간 많았지만 육용계육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아 좋은 성분조성을 나타내었다(P<0.05). 특히 오골계교잡종육이 무기물 중에서 Ca이 순종 오골계육과는 비슷하였으나 육용계육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아(P<0.05), Ca 공급의 좋은 소재로 여겨진다. 아미노산 함량은 serine, leucine, phenylalanine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이 육용계육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맛과 관련이 많은 glutamic acid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오골계교잡종육이 오골계 및 육용계육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오골계교잡종육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arachidonic acid(C2O:4, n6)의 함량에서 육용계육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순종오골계육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DHA 함량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은 수컷과 암컷이 각각 5.475%와 2.895%로, 순종 오골계육의 2.92%, 1.00% 보다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육용계육에서는 DHA의 함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오골계교잡종육의 지방산 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골계교잡종육의 CIE L* 값은 순종 오골계육보다는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오골계의 특징인 검은색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Comparison of Meat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

  • Muhlisin, Muhlisin;Kim, Dong Soo;Song, Yeong Rae;Kim, Hong Rae;Kwon, Hyung Joo;An, Byoung Ki;Kang, Chang Won;Kim, Hak Kyu;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9-95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t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The Korean native ducks and imported commercial ducks (broiler duck: Grimaud) were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s for 8 wk and 6 w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rearing period, ten ducks from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nd breast and leg meat were obtained 24 h after slaughtering for analyses of mea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lower moisture and fat, and higher protein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p<0.05).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also had higher CIE $a^*$ and lower CIE $L^*$ (p<0.05). After cooking,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had higher shear-force, sensory attributes of texture, taste and overall likeness (p<0.05). Also,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palmitic acid ($C_{16:0}$) and arachidonic acid ($C_{20:4}$) (p<0.05)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Furthermore, the leg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higher percentages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and lower percentage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especially breast meat, had better quality parameters and contained higher amou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육계사료와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Mixture of Commercial Broiler Feed with Spent Bleaching Clay from Vegetable Oil Refinery on Broiler Performance)

  • 전해열;손장호;이길왕;김선구;강한석;신택순;조병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0
    • /
    • 2005
  • 본 연구는 Spent Bleaching Clay(SBC)를 육계사료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부화 직후의 120수의 병아리(한협 3호)를4처리 3반복, 반복당 10수(암수 각각 5수씩)를 Control(T1) 사료에 SBC를 $2.0\%(T2),\;4.0\%(T3)$$6.0\%(T4)$ 첨가한 4처리로 배치하였다. 시험사료 급여전 1주일은 시판사료를 급여하였다. 4주간의 시험 기간동안 증체중 및 사료 섭취량은 T3 및 T4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사료효율은 T3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가슴살 및 다리살에서 치방산 조성을 사료의 처리에 따른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육계 초기 및 후기 사료 급여시 모두, 사료중의 건물, 조단백질 및 조지방 이용율은 T4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대사에너지가도 T4 처리구가 다른 3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저하하였다(p<0.05). 사료중의 조회분의 이용율은 사료의 처리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사료에 $2\~4\%$의 SBC첨가는 육계의 성장 및 사료효율 개선의 가능성이 있음이 사료된다.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근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uscular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 김영직;김병기;윤용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1-456
    • /
    • 2008
  • 본 연구는 CLA를 육계사료에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0, 0.5, 1.0, 1.5, 및 2.0%)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과 CLA를 급여한 계육의 도체특성, 혈청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육계 200수(Arbor Acre Broiler, male)를 5주 동안 공시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CLA급여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도체특성중 도체율뿐만 아니라 도체중에 대한 간, 대퇴부위, 흉심 및 북채의 비율은 CLA를 급여함으로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복강지방 비율은 CLA 급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한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혈청콜레스테롤은 CLA급여량이 증가할 수록 총콜레스테롤과 LDL-C은 감소하고, HDL-C은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지방산 조성 변화는 CLA를 급여함에 따라 palmit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는 감소하여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CLA의 이성체함량도 CLA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계육에 CLA 축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2%까지 급여도 가능하지만. 지방산조성의 변화가 심하므로 CLA도 축적시키고 지방산 변화도 최소화할 수 있는 1%의 급여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Genome re-sequencing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muscle color traits in broiler chickens

  • Kong, H.R.;Anthony, N.B.;Rowland, K.C.;Khatri, B.;Kong, B.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13-18
    • /
    • 2018
  • Objective: Meat quality including muscle color in chickens is an important trait and continuous selective pressures for fast growth and high yield have negatively impacted this trai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tic variations responsible for regulating muscle color. Methods: Whole genome re-sequencing analysis using Illumina HiSeq paired end read method was performed with pooled DNA samples isolated from two broiler chicken lines divergently selected for muscle color (high muscle color [HMC] and low muscle color [LMC]) along with their random bred control line (RAN). Sequencing read data was aligned to the chicken reference genome sequence for Red Jungle Fowl (Galgal4) using reference based genome alignment with NGen program of the Lasergene software package. The potential caus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showing non-synonymous changes in coding DNA sequence regions were chosen in each line. Bioinformatic analyses to interpret functions of genes retaining SNPs were performed using the ingenuity pathways analysis (IPA). Results: Millions of SNPs were identified and totally 2,884 SNPs (1,307 for HMC and 1,577 for LMC) showing >75% SNP rates could induce non-synonymous mutations in amino acid sequences. Of those, SNPs showing over 10 read depths yielded 15 more reliable SNPs including 1 for HMC and 14 for LMC. The IPA analyses suggested that meat color in chickens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chromosomal DNA stability, the functions of ubiquitylation (UBC) and quality and quantity of various subtypes of collagens. Conclusion: In this study, various potential genetic markers showing amino acid changes were identified in differential meat color lines, that can be used for further animal selection strategy.

Quality parameters of chicken breast meat affected by carcass scalding conditions

  • Silva-Buzanello, Rosana Aparecida da;Schuch, Alexia Francielli;Gasparin, Andre Wilhan;Torquato, Alex Sanches;Scremin, Fernando Reinoldo;Canan, Cristiane;Soares, Adriana Lourenc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186-1194
    • /
    • 2019
  • Objective: The influence of broiler carcass scalding conditions on chicken breast meat quality parameters was investigated. Methods: Two hundred and seventy Cobb broiler chickens from 42 to 48 days old were slaughte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industry practice and scalded in five temperature/time combinations-$T_1$, $54^{\circ}C/210s$; $T_2$, $55^{\circ}C/180s$; $T_3$, $56^{\circ}C/150s$; $T_4$, $57^{\circ}C/120s$; $T_5$, $58^{\circ}C/90s$. Results: Scalding temperature increase resulted in higher values of external and ventral lightness and in protein functionality reduction-determined by emulsification capacity and protein denaturation-in chicken breast fillets 24 h post-mortem. Protein secondary structures had conformational changes, with a decrease of the ${\alpha}$-helix and an increase of the ${\beta}$-sheet and ${\beta}$-turn proportions, mainly in $T_1$ and $T_5$ samples, determin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n an attenuated reflectance mode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 pH, water holding capacity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In the fatty acid profile, the 18:1n-9 was lower in $T_5$, which suggested that the high scalding-temperature could have caused the lipid oxidation. The values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such as 22:2, 20:4n-6, and 22:6n-3, were highest in the $T_5$, thus being related to the phospholipid cellular membrane collapse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and subsequent release of these PUFA. Conclusion: Intermediate scalding-parameters avoided the negative changes in the chicken mea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