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d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19초

우유단백질과 다당류 혼합물을 첨가한 냉동반죽의 제빵특성 (Quality Attributes of Bread Made of Frozen Dough Added with Milk Protein-Polysaccharide Mixtures)

  • 손진한;정정일;정동식;이홍열;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5-2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냉동반죽의 동결장해와 동결손상으로 제빵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단백질-다당류 혼합물(protein-polysaccharide mixtures, 1:1)을 냉동반죽에 첨가하여 빵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CA 첨가 빵이 총 부피와 비용적에서 가장 높았고 냉동-해동 cycle별 비용적은 첨가 빵이 대조 빵보다 감소율이 작았다. 빵의 저장중 수분함량의 변화는 첨가 빵이 대조 빵보다 감소율이 작아 수분 보유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rumb 색도는 첨가 빵이 대조 빵보다 $L^{\ast}$값은 높았으나 $a^{\ast}$$b^{\ast}$값은 낮았다. Crust 색도는 CA와 CK 첨가 빵은 $L^{\ast}$, $a^{\ast}$, $^{\ast}b$값 모두 대조 빵보다 낮았지만 WK 첨가 빵은 $^{\ast}L$값이 높았다. 저장 기간중 텍스쳐는 대조 빵과 첨가 빵 모두 견고성과 탄력성이 저장중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저장에 따라 WK 첨가 빵이 대조 빵보다 높았고 씹힘성은 $20^{\circ}C$에서 4일간 저장에서만 대조 빵이 CA, CK, WA 첨가 빵보다는 높았다. 관능 평가 결과, 단백질-다당류 혼합물 첨가 빵이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단백질-다당류 혼합물을 첨가할 경우 제빵 적성을 향상시켜주며 CA와 WA를 냉동반죽 제조 시 첨가하면 동결손상으로 인한 제빵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빵의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화학 첨가제와 밀가루의 열처리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emical additives and heat treatment on the b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이지은;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04
  • Mixograph를 이용하여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화학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ammonium ferric citrate와 ferric sulfate는 0.1% 수준에서는 밀가루 반죽의 탄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MgSO$_4$, CaCl$_2$ 및 ZnO는 반죽의 탄성을 증가시키며 최적반죽시간을 연장시켜 반죽 시간이 길어졌다. 그러나 Ca과 Mg을 각각 갖는 calcium citrate와 MgCl$_2$는 반죽 시간이나 탄성에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빵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은 0.1% MgSO$_4$와 CaCl$_2$가 브롬산 칼륨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부피 팽창이 더 커져서 브롬산 칼륨과 같은 팽창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첨가한 빵의 속과 겉껍질의 색은 모두 대조구보다 더 밝아서 첨가한 화학첨가제들이 빵의 색을 밝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가루의 내재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볶음처리와 UV 및 microwave 조사된 밀가루는 최적 반죽시간을 초과하여 계속 반죽하여도 최적반죽시간 후 반죽의 탄성저하현상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되어 반죽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나, 열처리한 밀가루로 제조한 빵은 부피가 대조구에 비하여 적었으므로 열처리는 반죽의 안정성은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빵의 부피 증가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늙은 호박 동결건조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added with freeze dried old pummkin powders)

  • 문혜경;한진희;김준한;김종국;강우원;김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6-132
    • /
    • 2004
  • 늙은 호박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을 개발하기 위해 밀가루(강력분)에 100 mesh체로 분리한 늙은 호박분말을 1%, 2%, 4%, 8%의 비율로 혼합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늙은 호박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6.47%, 조회분 5.49%, 조단백질 9.38%의 비율이었고, 늙은 호박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수분함량은 42.22∼44.39% 수준으로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0.528∼0.576) 역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비용적은 늙은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1%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비용적은 감소하였으나, 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보수력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기계적 색도 중 명도 L값과 적색도 a값이 늙은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감소하였고, 황색도인 b값은 무첨가군 +12.65보다 호박분말 첨가군이 +29.44∼+45.58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조직감 중 굳기는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첨가군에 보다 단단하였고, 호박분말 8% 첨가군이 561g으로 무첨가군 248g보다 단단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색은 4% 호박분말첨가군이 3.91로, 단맛은 4%와 8% 호박분말첨가군이 각각 4.55로 조직감은 무첨가군과 1% 호박분말첨가군에서 각각 3.36으로,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는 4% 호박분말첨가군이 3.64로 가장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빵의 제조에 있어 늙은 호박분말의 첨가량은 4%으로 수준으로 첨가함이 호박분말 특유의 색과 맛을 가미한 새로운 호박분말이 적절하게 첨가된 식빵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산수유 분말의 첨가 농도에 따른 식빵의 품질 변화 (Quality of White Pan Bread as Affected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Corni fructus Powder)

  • 신지웅;신길만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07-1013
    • /
    • 2008
  • 전라남도 구례지방 특산물인 산수유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산수유 분말의 농도에 따른 식빵의 가공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식빵의 수분 함량 및 pH는 각각 $37.5{\sim}41.1%$$4.7{\sim}5.2$ 범위로 산수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식빵의 색도는 산수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식빵의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부피, 높이, 비용적과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산수유 분말을 3% 첨가한 식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하여 산수유 분말 첨가 식빵은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ness)의 경우 감소하였고, 부착성(adhesiveness)과 점착성(cohesiveness)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산수유 분말 1%첨가 식빵이 맛과 향미, 조직 감에서 가장 우수하였고(p<0.05), 색은 3%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산수유 분말 첨가 식빵의 제조를 위한 최적 산수유 분말 첨가량은 1%로 판단된다.

  • PDF

대두혼합식빵 제조시 대두첨가량에 따른 반죽과 식빵의 물성 변화 (Rheological Changes of Dough and Breadmaking Qualities of Wheat Flour with Additions of Soy Flour)

  • 김인호;하상철;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8-424
    • /
    • 2002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급원이며 isoflavone계의 우수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를 첨가해서 소비자의 기호성 및 기능성을 갖춘 대두 혼합 식빵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두는 증자하여 열풍 건조하고 분쇄한 후 분말로 만들어서 소맥분에 0, 5, 10, 20, 30% 되게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여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빵 실험 결과에서 대두분을 10% 까지 첨가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리노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증가하고 반죽 형성 시간이 길어졌으며 안정도가 낮아지고 약화도가 커졌다. 익스텐소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저항도 및 신장도가 감소하고 소맥분만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서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저하되는 반죽 물성을 보였다. 아밀로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가 높아졌으며 최고 점도와 최고 점도온도는 감소하였다. 빵 단면의 색도에 있어서는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b(yellowness)값이 뚜렷하게 증가 했고 L(lightness)값은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redness)값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관능 검사에서는 대두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외관, 내관 및 식감 특성이 전체적으로 점차 열등하였다.

우유단백질-검류 복합체 첨가가 제빵용 반죽의 물리적 특성과 식빵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tein-Gum Conjugat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and Staling of Bread Made of Frozen Dough During Freeze-Thaw Cycles)

  • 윤영;김영호;김영수;최성희;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2006
  • 우유단백질과 검류 복합체의 첨가가 제조한 빵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amylography, farinography, extensography를 통해 반죽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고 냉동-해동을 3번 반복한 반죽으로 제조한 식빵의 수분함량과 경도를 만든 당일과 $5^{\circ}C$에서 4일간 저장 후 측정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우유단백질과 검류 복합체가 식빵의 노화정도를 분석하였다.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할 경우 밀가루의 호화 개시온도가 증가하였고 밀가루의 수분흡수율과 반죽 형성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빵의 수분함량의 경우 4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그 함량이 감소하는데 우유단백질과 검류의 첨가가 이 수분 감소 현상을 어느 정도 늦추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노화의 척도가 되는 빵의 경도에 있어서도 이 복합체가 빵의 경도 증가현상을 늦추는 효과를 보여 빵의 노화 억제제로서 우유 단백질과 검류 복합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e Bakery Products at Small Scale Bakeries)

  • 엄애선;권성희;정덕화;오상석;이헌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소규모 베이커리 2곳을 대상으로 제빵류(단팥빵, 크림빵, 케익류)의 원료 및 공정별, 제빵기구$.$용기, 제빵종사자와 작업장환경에 대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급식소에서 위해세균으로 정의되어 있는 E. coli, Salmonella, Yersinia, Staphylococcus와 같은 식중독균에 대한 미생물 검색을 실시함으로써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채취한 시료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안전성 수준을 초과하였다. 2. 대장균은 A점포의 혼합기, 수도꼭지, 쓰레기통, 작업장 바닥과 손잡이, 단팥빵 및 크림 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3. 살모넬라균은 A점포의 원재료인 마가린과 단팥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4. 황색포도상구균은 A점포의 계란과 빵자르는 기계 및 B점포의 크림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독소형은 enterotoxin 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5. PCR분석 결과 E. coli O157은 음성인 반면, Salmonella균은 양성임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의 전반적인 면을 대표할 수 없는 연구의 제한성을 가지고는 있으나 이연구를 기초로 더욱더 체계적인 연구들이 실시되리라 기대한다.

보리가루 혼합 식빵의 질과 기호에 관한 연구 (Effects of Barley Flour on the Quality and Acceptability of Home Baked Yeast Breads)

  • 장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9-211
    • /
    • 1981
  • 본 연구는 각각 다른 비율의 보리가루가 (0,20,30,40%) 섞여진 Home Made Yeast Breads의 질과 기호에 대한 조사로 Penetrometer과 Volumeter를 사용한 객관적 평가와, korean과 Caucasian의 Panelists에 의한 주관적 평가가 이루어졌다. 결과로 보리가루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Objective와 Subjective Score의 평균치가 감소하였지만 20% 이상의 보리가루가 혼합된 식빵이라도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받아들여 질수 있고 전반적으로 Korean이 Caucasian 보다 보리가루 섞인 식빵을 더 좋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빵의 관능적 특성 평가를 위한 묘사분석 절차 개발 (Development of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Yeast Leavened Breads)

  • 이소연;서동순;이명구;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식빵의 표준 묘사분석 절차를 확립하였으며, 그 결과, 식빵에서 23가지의 특성 묘사 용어를 선정하고 개발하였으며 평가 절차를 확립하였다. 개발된 표준 묘사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숙성온도와 배합비가 다른 4종류의 식빵에 대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4종류의 식빵 간에는 23개의 관능적 특성에서 모두 유의전인 차이(p<0.05)가 있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개발된 식빵의 특성 용어와 그 정의 및 평가 기술이 종류가 다른 식빵의 관능적 특성의 차이를 잘 설명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식빵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원료와 제조 방법에 따른 식빵의 품질평가에 묘사 분석이 적용되고, 이 결과와 소비자 기호도 검사 또는 기계적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어린이기호식품 중 당류 및 당알코올류 함량분석 (A Study on Contents of Sugars and Sugar Alcohol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 금진영;홍미선;장미라;최부철;이경아;김일영;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1-247
    • /
    • 2014
  • In this study, HPLC-RI was used to determine sugars and sugar alcohols contents in 102 different kinds of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The average amount of sugars per 100 g of candies was 70.25 g, of processed cocoa products was 65.34 g, of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was 47.53 g, of breads was 25.66 g, of cookies was 22.28 g, of ices was 12.47 g, of snacks was 9.74 g. Processed cocoa product items had relatively higher sucrose contents (56.80 g/100 g) than any other items. The average amount of sucrose per 100 g of candies was 44.20 g, of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was 32.89 g, of breads was 23.11 g. When the contents of sugar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per on serving size were compared to WHO guidelines, the percentages were 5.84~28.52 about recommended daily intake of total sugar of 50 g. The result for the analysis of confectioneries showed that 13 samples of 102 were detected and the sugar alcohols content of samples investigated varied between 0.01~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