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 vegetable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초

배추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 함량 변화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 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3-721
    • /
    • 2011
  • Korean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ssp.pekinensis) is one of the major cruciferous vegetables. Cruciferous vegetables contain a rare series of secondary metabolites of amino acids called glucosinolates, as well as carotenoids, tocopherol, vitamin C and fiber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mmon cooking methods (boiling, microwaving, steaming and frying) on the phytochemical content (lutein, ${\beta}$-carotene, ${\gamma}$-tocopherol, and ${\alpha}$-tocopherol),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cabbages, determined by DPPH assay and ABTS assay. Boiling caused a decrease in carotenoids, lutein and tocopherols. Microwaving and steaming were relatively good cooking methods for maintaining lutein, ${\beta}$-carotene, ${\gamma}$-tocopherol, and ${\alpha}$-tocopherol.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ome domestic cooking procedures, specifically microwave and steaming, increased the bioaccessibility of carotenoids and tocopherol, highlighting the positive role of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부종(浮腫)의 식요방법(食療方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etic therapy on the edema)

  • 백태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1-16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dietary therapy on the edema based on the literary findings, for clin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edema. Methods : This Research was examined on histories, compositions, applications, and effects of dietetic treatment about 100 cases of dietary therapy of the edema from Chinese literatures. Results : 1. Various vegetables and animals including herbs, grains, vegetables, fruits, food and drink were used for the dietary therapy. 2. Methods of the preparation for use as therapeutics were decoction, pulvis, gruel, cake, tea, paste, gelatin and etc. 3. Frequently used materials were Cyprinus carpio Linnaeus, Cucumis sativus L.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Zea mays, Maydis Stigma, Citrullus vulgaris, Zingiber officinale, Cinnamomum cassia Blume,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Camellia sinensis, Armeniacae amarum Semen, Phyllostachys bambusoides, Luffa cylindrica, Dioscorea batatas Decne, Panax ginseng, Brassica oleracea and Raphanus sativus. Conclusion : Though dietary therapy for the edema is not based on clinical or experimental data, but through experience. It is mostly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visceral manifestation, channels and their collateral channels and Oriental herbal medicine theories. If we use them properly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e method, it will be effective on treating and preventing the edema.

캐러웨이 Sulfhydryl Oxidase를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함황 불쾌취 억압 (Suppression of Undesirable Sulfurous Aromas of Cruciferous Vegetables with Caraway Sulfhydryl Oxidase)

  • 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5-561
    • /
    • 1990
  • 십자화과의 양배추와 브로콜리에서 함황 휘발성분 함량과 캐러웨이 종자의 sulfhydryl oxidase를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함황 불쾌취 억압을 FID와 FPD가 동시에 연결된 개스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조사하였다. 양배추와 브로콜리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유황화합물은 캐러웨이 종자의 첨가량과 항온처리 시간에 따라 함량 및 생성률에 차이가 있었는데, 양배추와 브로콜리에 캐러웨이 종자를 첨가한 것이 대조구보다 methanethiol과 dimethyl disulfide 생성량이 훨씬 적었다. 또한 thiol oxidase 활성을 가진 캐러웨이 종자의 액상 슬러리를 이용하여 methanethiol과 dimethyl disulfide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의 제거율은 캐러웨이 종자의 첨가량에 비례하였고, 특히 2.5% 캐러웨이 종자를 함유한 액상슬러리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재배조건에 따른 어린잎 채소 '다채'의 수확 후 품질변화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Postharvest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 이혜은;이정수;최지원;배도함;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99-704
    • /
    • 2009
  • 어린잎 채소는 조직이 연하고 부드러워 가공, 포장, 유통시에 물리적인 상해를 받기 쉬우며 수확 후 수분증발 및 성분 변화 등으로 품질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연구는 어린잎 채소 중에서 다채의 수확 후 생리특성을 구명하고 적정 포장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연구소 온실에서 2007년 1월 29일에 다채 종자를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여 30일 정도 키운 다채를 사용하였으며, 수확 후 $2^{\circ}C$에서 12시간 예냉 처리한 후 P-plus 필름, $50\;{\mu}m$ PP필름, PET용기에 각각 30 g씩 소포장하여 유통온도를 $8^{\circ}C$로 저장하면서 품질특성 변화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수확당시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생육은 무처리구에 비해 물리적 스트레스 처리구에서 초장과 초폭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의 경우 물리적 스트레스 처리한 시료를 P-plus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가 가장 적은 생체중 감소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50\;{\mu}m$ PP필름, PET용기 순이었다.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색도변화는 P-plus 필름과 $50\;{\mu}m$ PP필름에서 다소 완만하게 변화량을 나타내었으며 처리간 큰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PET용기에서 가장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서 황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린잎 채소 다채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처리한 경우가 무처리구에 비해 생육은 적었지만 중량감소나 색도변화에서 비교적 원만한 값을 나타내었고 세포조직학적으로 관찰해보면 세포의 치밀도가 증대되어 수확후 가공적성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하며, 다채에서는 P-plus 필름과 $50\;{\mu}m$ PP필름 포장이 선도유지에 적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etagenomic Approach to Identifying Foodborne Pathogens on Chinese Cabbage

  • Kim, Daeho;Hong, Sanghyun;Kim, You-Tae;Ryu, Sangryeol;Kim, Hyeun Bum;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227-235
    • /
    • 2018
  • Foodborne illness represent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and is frequently attributed to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fresh produce. Recurrent outbreaks often come from vegetables that are grown close to or within the ground. Therefore, the first step to understanding the public health risk of microorganisms on fresh vegetables is to identify and describe microbial communities. We investigated the phyllospheres o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 = 54).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targeting the V5-V6 region of 16S rRNA genes was conducted by employing the Illumina MiSeq system. Sequence quality was assessed, and phylogenet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RDP classifier implemented in QIIME with a bootstrap cutoff of 80%.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weighted Fast UniFrac matrix. The average number of sequence reads generated per sample was 34,584. At the phylum level, bacterial communities were composed primarily of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The most abundant genera on Chinese cabbages were Chryseobacterium, Aurantimonadaceae_g, Sphingomonas, and Pseudomonas. Diverse potential pathogens, such as Pantoea, Erwinia, Klebsiella, Yersinia, Bacillus, Staphylococcus, Salmonella, and Clostridium were also detected from the samples. Although further epidemiological studie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potential pathogens are associated with foodborne illness, our results imply that a metagenomic approach can be used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on fresh vegetables.

온라인 유통중인 과메기·야채세트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lolabis saira and Vegetables Distributed through Online Markets)

  • 김지윤;전은비;최만석;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94-698
    • /
    • 2020
  • The consumption of Gwamegi, a semi-dried saury Cololabis saira, and its vegetable sides has increased owing to its availability onlin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Gwamegi and its accompanying vegetable sides bought online by measuring total viable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fungi. The total viable bacteria ranged from 3-5 log CFU/g. The fungi in Gwamegi and garlic were 3.4 and 3.9 log CFU/g,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100% (2-3 log CFU/g) in Gwamegi,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and green chili Capsicum annuum, whereas the contamination positive rate was 80% and 60% (< 2 log CFU/g) in chives Allium ascalonicum L. and garlic A. sativum L.,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E. coli were 0%, 20%, 60%, and 40% in Gwamegi, green chili, cabbage, and chives,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E. coli were 1-2 log CFU/g. S. aureus was detected at < 1 log CFU/g in all raw materials. The data o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may be used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Gwamegi and vegetable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ecuring microbiological safety.

수직농장에서 자란 케일(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품종에 따른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의 변화 및 전사체 분석 (Glucosinolate Content Varies and Transcriptome Analysis in Different Kale Cultivar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Grown in a Vertical Farm)

  • 응웬티김로안;이가운;조정수;이준구;이신우;손기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2-342
    • /
    • 2022
  • 케일(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과 같은 수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특히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풍부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잎 채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케일 품종 간의 글루코시놀레이트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사체 및 대사체 분석을 사용하여 식물공장에서 재배된 녹색(만추 및 맛짱) 및 적색 케일 품종(적곱슬)을 포함한 3 가지 케일 품종에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조사하였다. 재배 후 6주된 녹색 케일 품종의 생육 및 발달이 적색 케일 품종에 비해 높았다.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에서 7가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분석하였다; 만추 품종에서는 5종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맛짱과 적곱슬 품종에서는 4종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분류되었다. Glucobrassicin은 3가지 케일 품종에서 가장 높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였다. 총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적곱슬 품종에서 가장 높았다. 전사체 분석에서는 8개의 유전자가 글루코시놀레이트 합성에 관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케일 품종에 따라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과 축적 패턴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Identification of Antimutagenic Compound from Kal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Lee, Seon-Mi;Rhee, Sook -Hee;Yoo, Jong-Shin;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34-338
    • /
    • 1998
  • Kale(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is one of Cruciferous vegetable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wild ancestral form of cabbabe. The ethanol extract of kale which contains the active compoundsss under Salmonella assay system was fractionated with chloroform to collect the nonpolar solvent soluble compounds, and then further fractionation was carried out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mong kale extracts separated by silical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fractions of 4, 5 and 6 exhibit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ies. The major active compounds from the fraction were identified as chlorophyll derivatives by the analysis with HPLC-fritp-MS. The molecular weights of each chlorophyll derivatives in the sample were acquired from the peaks of positive ion atomosphere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APCI) mas spectrometry.

  • PDF

돌산갓의 Carotenoids 및 Chlorophyll 함량 (Contents of Carotenoids and Chlorophylls in Dolsan Leaf Mustard(Brassica juncea))

  • 조영숙;하봉석;박석규;전순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57
    • /
    • 1993
  • To furnish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leaf mustard as a raw material of salted and fermented vegetable food, the contents of carotenoids and chlorophylls of Dolsan Leaf Mustard(DLM) were investigated. Total carotenoid content of DLM was 4.75 mg%, and the compositions were ${\beta}-carotene(80.91%)$, lutein(13.07%), lutein epoxide(3.93%).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 and b were 4.1 and 1.5 mg%, and leaf was 7.4- and 8.1-fold, respectively, higher than leaf stalk. The ratios of chlorophyll a/b in leaf (2.7:1) and leaf stalk(3.0:1)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vegetables.

  • PDF

어린잎 채소 다채의 포장방법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Postharvest Quality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f Vegetable)

  • 이정수;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2
  • 유통현장에서 다양한 포장형태로 이용되는 어린잎 채소의 포장 방법별 선도유지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소포장 형태별로 다채를 $16^{\circ}C$에 저장하면서 중량변화, 수분 함유량, 가스조성, 외관품위 등을 측정하였다. 포장형태에 따른 중량변화는 밀폐 정도가 큰 PET 용기 포장(밀폐형)과 OPP 무공필름 포장에서 적었으며, 외관의 변화 정도도 적어 비교적 높은 상품성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공의 OPP 필름으로 저장한 경우 색상변화 정도가 커서, 포장 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의 결과, 밀폐 정도가 크고, PET와 같은 경질 필름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 형태의 천공 정도가 큰 것은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잎 채소의 포장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유통현장에서 활용이 많이 미흡한 실정으로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어린잎 채소를 효과적으로 상품성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 검토시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