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et bond strength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9초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o glazed full-contour zirconia

  • Kwak, Ji-Young;Jung, Hyo-Kyung;Choi, Il-Kyung;Kwon, Tae-Yub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2호
    • /
    • pp.106-11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urface conditioning methods on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to glazed full-zirconia surfaces. Materials and Methods: Glazed zirconia (except for the control, Zirkonzahn Prettau) disc surfaces were pre-treated: PO (control), polishing; BR, bur roughening; PP, cleaning with a prophy cup and pumice; HF, hydrofluoric acid etching; AA, air abrasion with aluminum oxide; CJ, CoJet-Sand. The surfaces were examined using profilo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dispersive spectroscopy. A zirconia primer (Z-Prime Plus, Z) or a silane primer (Monobond-S, S) was then applied to the surfaces, yielding 7 groups (PO-Z, BR-Z, PP-S, HF-S, AA-S, AA-Z, and CJ-S). Metal bracket-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for 24 hr at $37^{\circ}C$, and thermocycled for 1,000 cycles. Thei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using the wire loop method (n = 10). Results: Except for BR, the surface pre-treatments failed to expose the zirconia substructu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s was found between AA-Z ($4.60{\pm}1.08MPa$) and all other groups ($13.38{\pm}2.57-15.78{\pm}2.39MPa$, p < 0.05). For AA-Z, most of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bracket. Conclusions: For bracket bonding to glazed zirconia, a simple application of silane to the cleaned surface is recommended. A zirconia primer should be used only when the zirconia substructure is definitely exposed.

산부식 후 타액오염이 교정용 접착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IVARY CONTAMINATION OF ACID-ETCHED ENAMEL ON BRACKET BOND STRENGTH)

  • 김현덕;김종성;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9-316
    • /
    • 1996
  • 본 연구는 산부식 법랑질의 타액오염 효과를 오염 시간별 전단결합강도를 통해 알아보고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표면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타액오염 시간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38% 인산용액으로 15초와 60초 산부식한 후 타액으로 0초, 1초, 20초, 60초동안 오염시켜 세척과 건조 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부식면을 검경하였으며, 교정용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 접착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액에 오염시키지 않은 15초 산부식 군과 60초 산부식 군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60초 산부식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조금 낮았다. 2. 15초, 60초 산부식군에서 대조군, 1초, 20초, 60초의 타액오염 시간의 차이 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타액오염시간의 증가에 따라 전단결합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시 대조군에서는 특징적인 부식양상을 보였으나 타액오염 군에서는 유기물이 침착되어 있었다.

  • PDF

광중합형 레진시멘트를 사용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 사용 유무가 산 부식한 법랑질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ying adhesive after enamel etching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light curing resin cements)

  • 김응현;김진우;박세희;이윤;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209-216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접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수 있는 레진시멘트의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를 접착제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시편을 Transbond XT, GC Ortho Connect 및 Orthomite LC의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고, 노출된 법랑질 표면을 2분획으로 나누어 한 분획에는 37% 인산으로, 다른 한 분획에는 37% 인산 및 접착제 혹은 유니버셜 접착제로 표면 처리를 하였다.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3 종류의 시멘트를 각각 도포하고 접착을 한 뒤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Transbond XT와 Orthomite LC는 각각 접착제와 유니버셜 접착제를 적용한 후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Transbond XT와 Orthomite LC에서 산 부식 후 접착제의 적용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Flowable resin을 이용한 브라켓의 재접착 시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rebonded orthodontic bracket with flowable resin)

  • 김동우;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7-215
    • /
    • 2005
  • 본 연구는 교정 치료 중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 시 탈락 전과 유사한 위치로 재접착하기 위하여 브라켓 탈락 전 위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flowable resin을 이용하여 재접착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재접착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브라켓이 탈락된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산 부식 후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새로운 브라켓을 접착하는 통상적인 재접착 방법을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탈락된 브라켓과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치면을 산부식 후 탈락된 브라켓을 Transbond XT와 CharmFil Flow로 재접착한 군을 각각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군간 전단 결합강도를 비교하였으며 ARI score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였고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중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6.30\pm1.01MPa)$의 전단결합강도가 대조군$(6.51\pm1.21 MP3)$에 비하여 낮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34), CharmFil Flow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7.29\pm1.54MPa)$은 Transbond XT을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0.009). 탈락 양상을 관찰했을 때 대조군에서는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레진-치면 간의 파절 양상이 고르게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는 레진-치면간의 탈락 양상은 보이지 않았고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간의 탈락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재접착 방법과 flowable resin의 재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도재에 대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 레진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ONDING RESINS TO PORCELAIN; AN IN VITRO STUDY)

  • 고진환;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65
    • /
    • 1992
  • Bonding orthodontic adhesive resins to glazed porcelain surface is not attainable.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in vitro, the effect of three methods of porcelain surface pre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s, and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o porcelain surface by the best results that to human enamel. Porcelain disks ($Ceramco^{(TM)}$ and $Vita^{(TM)}$) baked in the laboratory were roughened by sandpapers, #320, #600, #800, #1000 and #1200, and were pretreated with silane and dried at the various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50^{\circ}C$, $70^{\circ}C$ and $90^{\circ}C$, and were etched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3, 5, 7, and 9 minutes, orthodontic adhesives (System $1+^{(TM)}$ and $Unite^{(TM)}$) were applied on them, and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The best results of pretreatment of each method were determined by the shear bond strengths. Again, porcelain disks were pretreated by the determined best results and human enamel were etched by 37% hydrofluoric acid solution,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on them by the orthodontic adhesives, an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m. 1. Roughening porcelain surfaces with coarse sandpaper (#300)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with finer sandpapers, but it $(22.44Kgf/cm^2)$ was distinguishab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144.11Kgf/cm^2)$. 2.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s upon the orthodontic resins, which was presumab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fillers in orthodontic adhesive resins. Also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 upon the porcelains which had different composition. 3. Silane enhanced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resins to porcelain surfaces ($25.20Kgf/cm^2$ at $50^{\circ}C$), which was marked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4. Etched porcelain surface with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to 9 minutes showed no difference in shear bonding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resins. Shear bond strength from etched porcelain $(97.43-120.72Kgf/cm^2)$ were as high as clinically available, but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5. Roughening with #300 sandpaper and etching by 3% hydrofluoric acid followed silane application on porcelain surface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etched human enamel, but were as high as clinically useful. 6. The results suggest that etching porcelain surface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might provide comparatively high shear bond strength as much as clinically favorable.

  • PDF

혈액 오염 처리 과정이 교정용 브라켓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ood Decontamination on Orthodontic Bracket Bonding)

  • 이재희;신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1-349
    • /
    • 2017
  • 혈액 오염 처리 과정은 교정용 브라켓 부착 성공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브라켓 접착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염 처리 과정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에 프라이머 광중합 전과 후에 혈액 오염이 되었을 때 세척 방법에 따라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 접착 파절 형태 및 표면 양상을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50개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I군은 대조군으로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으로 부착하였다. II군과 III군은 프라이머 광중합 전에, IV군과 V군은 프라이머 광중합 후에 혈액 오염이 일어난 군으로 나누었다. 또한 II군과 IV군은 코튼 펠렛만 이용하여, III군과 V군은 수세 후 코튼 펠렛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그 결과 평균 전단 결합 강도는 I군, V군, III군, 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상에서 수세 후 코튼 펠렛으로 닦은 군이 코튼 펠렛으로만 처리한 군에 비해 균일한 산부식 표면을 보였다. 접착제 잔류지수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레진시멘트의 보관 조건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 of resin cement on shear bond strength of the orthodontic bracket)

  • 이슬기;김진우;박세희;이윤;김응현;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189-195
    • /
    • 202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열교정용 레진시멘트의 보관 조건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소의 하악 절치 순면 법랑질에 37% 인산으로 산 부식 후 치열교정용 레진시멘트인 Ortho Connect와 Orthomite를 3개월간 4℃ 냉장 보관 후 즉시 적용, 3개월간 4℃ 냉장 보관 후 24시간 동안 실온 보관하고 적용, 3개월간 24℃ 실온 보관 후 적용하는 세 조건에 따라 각 조건별로 15개의 하악 절치용 치열교정용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광중합 한 뒤 24시간 후에 만능재료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실패 양상을 관찰하였다. 측정한 전단접착강도를 95% 유의수준에서 레진시멘트와 보관 조건에 대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레진시멘트에 보관 조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했다. 결과: Ortho Connect는 냉장 보관 후 즉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전단접착강도를 보였으며 다른 조건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Orthomite는 냉장 보관 후 즉시 사용했을 때 가장 낮은 전단접착강도를, 3개월 실온 보관했을 때 가장 높은 전단접착강도를 나타냈으며 이 두 조건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Ortho Connect는 냉장 보관 후 즉시 사용해도 적절한 접착이 가능하지만, Orthomite는 냉장 보관을 한다면 충분한 실온 보관을 하는 것이 접착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Debonding forces of three different customized bases of a lingual bracket system

  • Sung, Jang-Won;Kwon, Tae-Yub;Kyung, Hee-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35-241
    • /
    • 201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xtension of the custom base is necessary for enhancement of bond strength, by comparing the debonding forces and residual adhesives of 3 different lingual bracket systems. Methods: A total of 42 extracted upper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14 each for bonding with brackets having (1) a conventional limited resin custom base; (2) an extended gold alloy custom base: Incognito${TM}$; and (3) an extended resin custom base: KommonBase${TM}$. The bonding area was measured by scanning the bracket bases with a 3-dimensional digital scanner. The debonding force was measured with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hich applied an occlusogingival shear force. Results: The mean debonding forces were 60.83 N (standard deviation [SD] 10.12), 69.29 N (SD 9.59), and 104.35 N (SD17.84) for the limited resin custom base, extended gold alloy custom base, and extended resin custom base, respectively. The debonding force observed with the extended resin custom ba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bserved with the other bases. In addition, the adhesive remnant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extended gold alloy custom base. Conclusions: All 3 custom-base lingual brackets can withstand occlusal and orthodontic forces. We conclude that effective bonding of lingual brackets can be obtained without extension of the custom base.

폴리아크릴산과 인산으로 법랑질표면 처리후 전단결합강도의 비교 (A Comparison of shear Bonding Strength with Polyacrylic acid and Phosphoric acid Enamel Surface Conditioning)

  • 노정섭;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51-57
    • /
    • 2002
  • 이번 연구의 목적은 3가지의 서로 다른 법랑질 표면처리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각각의 경우 전단결합강도를 실험실에서 측정하고 비교해보는 것이다. (1)30% sulfated polyacrylic acid with 0.3M lithium sulfate (2)40% sulfated polyacrylic acid with 0.3M lithium sulfate (3)37% phosphoric acid. 105개의 사람의 소구치를 35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3가지의 준비된 용액을 분류된 각 군에 적용하고 동일한 자가 중합 레진을 사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각각의 치아마다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브라켓을 제거한후 법랑질표면과 브라켓 베이스의 파절양상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0%와 40% 폴리 아크릴산을 사용한 군에서 측정된 전단결합강도는 37% 인산을 사용한 그룹의 2/3수준으로 임상적응용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충분하지는 않았다. 2. 폴리아크릴산 그룹간의 전단결합강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3. 브라켓의 탈락양상을 관찰한 결과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 군에서는 브라켓과 접착제간의 파절보다 접착제와 법랑질간의 파절빈도가 높았다. 인산을 사용한 군에서는 폴리아크릴산의 군과 반대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폴리아크릴산을 임상에 사용하려면 전단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 접착제로 접착된 금속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BONDED WITH LIGHT-CURED ADHESIVE: AN IN VITRO COMPARATIVE STUDY)

  • 장영일;이승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89-29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s and failure sites of metal brackets bonded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and light-cured adhesive. 10 brackets were bonded on prepared enamel surfaces with $Transbond^{circledR}$ (Unitek/3M; U.S.A.) light-cured orthodontic adhesive and another 10 brackets were bonded with $Ortho-one^{\circledR}$ (Bisco:U.S.A.) chemically cured orthodontic adhesive. 24 hours after bonding,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s. The failure sites were examined under streoscopic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bonded with light-cured adhesive was lower than that of metal brackets bonded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2. Regardless of the type of adhesives, the brackets were failed primarily at the bracket base-adhesive interface. 3. Bonding of metal brackets with light-cured adhesive is considered to be clinically accept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