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mer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베이비붐세대의 남녀 간 의료비 지출 및 의료이용 차이: 우울을 매개변수로 (Analysis of the Health Expenditure and Medical Usage Difference of the Baby Boomers between Male and Female: Depression as a Mediators)

  • 정지윤;정재연;차선정;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0-171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n medical utilization and health expenditure of baby boomer generation by depression between gender. Methods: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16,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research, we used the two-part model, yes or no of use (part 1), and frequency of use (part 2) for medical utiliz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whether or not to use of hospitalization services, outpatient services, length of stay, outpatient service visits, and health expenditur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used as the predisposing (education, spouse presence), enabling (insurance type, private insurance, economic activity, income), and need (chronic disease, self-rated health, disability) factors in the Andersen behavior model. Depression was used as interveni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group analysis by gender were used.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dical care usage and cost between men and women in baby boomer. For me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were present at the hospitalization (yes/no), length of stay, and health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for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only at the outpatient visits. Specially, depression was working at the medical services by the different way between gender. The size of effect (multiple group analysis) was affect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s increased medical usage and health expenditure and the effect factors are different by gen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dical care policy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에코부머 세대의 부모-자녀 분화, 결혼안정성 및 심리적 복지의 구조적 관계: 기혼 딸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Differentiation, Marit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Eco-Boomer Married Daughters)

  • 전세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53-263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어머니(1955-1963년생)를 둔 에코부머 기혼 여성(1979-1992년생) 382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 부모-자녀 분화, 결혼안정성,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친정 어머니와의 월 평균 접촉 빈도가 많을수록 어머니와의 친밀감(연결성)이 높았다. 결혼지속년수가 높을수록 결혼안정성은 낮았고, 교육수준이 높고,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자기수용성이 높았다. 또한 맞벌이 가정의 여성이 외벌이 가정의 여성에 비해, 친정 어머니로부터 자녀 양육 도움을 받는 기혼 여성이 도움을 받지 않는 여성에 비해 타인과 신뢰할만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만족감을 나타내지 못했다. 어머니와 잘 연결되어 있거나 친밀감이 높은 사람은 결혼안정성이 높았고, 결혼안정성이 높은 사람은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부모-자녀 분화 수준이 높은 기혼 여성은 자기수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또한 긍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확장된 TPB 모형을 활용한 베이비부머의 재취업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Baby Boomer's Reemployment Intention Using Extended TPB Model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 윤병화;이상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7-126
    • /
    • 2021
  • 베이비 부머의 은퇴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 부머들이 은퇴이후 재취업하고자하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extended TPB)을 연구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의 독립변수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변인에 결과기대와 경제적 준비도를 추가하였다. 종속변수는 재취업 의도로 설정하였다. 이들 간의 조절변수로 개인 특성을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베이비 부머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SPSS24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 결과기대는 베이버 부머의 재취업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경제적 준비도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유의한 변인중 경제적 준비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친화력과 성실성 모두 태도와 재취업 의도, 결과기대와 재취업 의도간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버 부머의 재취업과 관련하여 학술적인 시사점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온라인을 통한 외식정보채널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of Selecting Channels through the On-Line about Restaurant Information by Baby Boomer Consumers)

  • 최수지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711-726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외식소비자가 온라인을 활용한 외식정보를 탐색 시 1)군집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 2)군집별 온라인 채널 선택유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개월 내 온라인 채널을 활용해 외식정보를 탐색한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외식소비자 총 28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온라인 활용속성은 3개의 요인, 정보 유용성 몰입, 온라인 주도활동과 습관이 도출되었다.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를 군집분석 하였다. 4개의 군집으로 온라인 적극활용형, 습관형, 온라인 주도 활동형과 소극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과 월평균소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형 온라인 채널에서 4개의 군집 모두 개인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순으로 선택하였다. 기업형 온라인 채널에서는 온라인 적극활용형과 습관형은 외식업체 공식홈페이지. 공식블로그, 공식페이스북, 공식트위터 순으로 선택하였다. 온라인 주도 활동형과 소극활용형은 외식업체 공식홈페이지. 공식블로그, 공식트위터, 공식페이스북 순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시사점과 향후도 논의하였다.

AHP 분석방법을 통한 감성심리 기반의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결정 (Study of the Priority of Baby Boomer Policy: Emotional Psychology through Analytic Hierarchy)

  • 강주리;이충렬;황두경
    • 감성과학
    • /
    • 제22권1호
    • /
    • pp.77-88
    • /
    • 2019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성심리 기반의 자기계발, 자아실현과 같은 삶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베이비부머 평생교육 요구 및 평생학습 지원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지원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의 최적 탐색을 위해 제1계층(상위기준) 2가지, 제2계층(세부기준) 6가지, 평가대안을 각각 5가지로 설정하였다. 제1계층에서는 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의 문제인 '소망성'과 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의 문제인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고, 제2계층에서 '소망성'의 세부기준은 형평성, 대응성, 효율성으로 '실현가능성'의 세부기준은 재정적, 법 윤리적, 정치 행정적 실현가능성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은 '소망성(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 보다 '실현가능성(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에 더 큰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기준 6가지 중에서는 '평생실천활동'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으며, '평생학습활동'에 대한 5개 평가대안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직업능력교육(0.377)', '시민참여교육(0.181)' 순으로, '평생실천활동'에 대해서는 '사회관계활동(0.200)', '사회봉사활동(0.161)'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요구를 구체화, 세분화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본격적인 노년기 진입을 앞둔 베이비 부머 세대 평생학습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 인식의 연구 (Using Photovoic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eath Readiness in Babyboomer Retirees)

  • 정주영;이미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1-177
    • /
    • 2022
  •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는 대량의 인구가 중년층에서 벗어나 노년층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고령화 사회의 주요인이 되었다. 또한 30년 이상 구조화된 직장에서 바쁘게 일을 하다 은퇴 후 비구조화 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우울감을 가지며 자살의 위험 등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및 예방적 차원의 정책적 검토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준비된 삶을 살고자 하는 은퇴자들의 죽음준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심층 탐구하였고, 은퇴자들의 노년기 죽음준비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베이비부머 은퇴자 7명이며, 자료는 2개월 동안 수집하였고, 직접 촬영한 사진과 설명과 심층면담 내용을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출된 인식은 순리로 받아들이는 죽음을 맞이하며 준비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었다. 본 연구의 논의에서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며, 프로그램을 담당할 지역 기관의 협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의 인식을 통한 은퇴 이후 노년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베이비부머의 자산이 우울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Baby Boomer's Asse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through Depression)

  • 이형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95-196
    • /
    • 2019
  • 본 연구는 5차국민노후보장패널 데이터(KReIS)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1955년생부터 1963년생)의 자산(총자산-총부채=순자산)이 우울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늘 규명하고자 한다.

  • PDF

Gastrointestinal Absorption of Phenytoin from on Oil-in-water Microemulsion

  • Kwon, Kwang-Il;Bourne, David-W.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480-485
    • /
    • 1997
  • The absorption profile of phenytoin Na emulsion were examined compared to that of phenytoin suspension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the rat. The corn oil-in-water emulsion, particle size of $184{\pm}$57.8 nm, was prepared using a microfludizer, and phenytoin Na added by shaft homogenizer. The phenytoin emulsion or suspension, 100 mg/kg, were intubated intragastrically using oral dosing needle and blood samples were withdrawn via an indwelling cannula from the conscious rat. Plasma concentrations of phenytoin were measured with HPLC using phenacetin as an internal standard. The plasma concentration versus time data were fitted to a one compartment open model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the computer program, Boomer. The phenytoin plasma concentrations from the emulsion at each observed time were about 1.5-2 times higher than those from the suspension, significantly at time of 5, 6 and 7 hr after administration. The absorption $(k_a)$ and elimination rate constant $(k_e)$ were not altered significantly, however the AUC increased from 65.6 to $106.7{\mu}ghr/ml$ after phenytoin suspension or emulsion oral administration, respectively. From an equilibrium dialysis study, the diffusion rate constant $(k_{IE})$ was considerably higher from the phenytoin Na emulsion $(0.0439 hr{-1})$ than phenytoin suspension $(0.0014 hr{-1})$.

  • PDF

베이비부머의 주택연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의사 (A Study on the Attitudes about Reverse-Mortgage among Baby Boomers)

  • 박누리;홍형옥;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0-2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on the attitudes about Reverse-Mortgage among Baby Boomers to offer the basis for revitalization of Reverse-Mortgage. Social survey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the babyboomer's living in Seoul area from September $30^{th}$ to October $14^{th}$. The data from 102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PASW 18.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1) although 64% of the respondents prefered to type which could withdraw temporary cash, but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use was a stability in one's old age 2) 72% of respondents thought adequate age for application was over 66. So lowering the qualification of age looked not need for revitalization 3) babyboomer's said that they would use reverse-mortgage if they couldn't get benefit from other pension inspite of getting lower recognition on house inheritance. It was be cause they regarded Reverse-Mortgage as a final step. In conclusion, current qualification and limit for withdraw looks adequate but it need public relations about its merit unlike other pension. And it has to emphasize its stability so that baby boomer can feel easy from holding a mortgage on their house.

  • PDF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근무환경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le Baby boomers)

  • 박민정;김형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in male baby boomers using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2011.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3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2011, which was conducted from June to November 2011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340 male employee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Chi-squar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the SAS ver 9.3 program. Results: Approximately 54.5% of the male babyboomer employees did not have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weekend-shift and occupational stress including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Night-shift and long working hours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attempt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form an analysis of associated factors in male baby boomer employees using nationwide survey data. We suggest a complex institutional supplement in terms of national and employers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baby bo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