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7.25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Differentiation, Marit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Eco-Boomer Married Daughters  

Jeon, Sesong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parent-child differentiation, marit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382 eco-boomer married women (born in 1979-1992) whose mothers were born in 1955-1963. As a result,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contact frequency with the mother, the greater the intimacy (connectivity) with the mother. The higher the number of years of marriage, the lower the marriage stabilit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were related to the higher the self-acceptance. In addition, compared to women in single-income families, married women who receive help raising their children from their mothers did not form reliable relationships with others or show satisfaction compared to women who do not receive the assistance. Those who were well connected with their mother (or had high intimacy) had higher marriage stability, and those with higher marriage stability ha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ey also had better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when married women had a higher level of parent-child differentiation.
Keywords
Eco-Boomer Generation; Parent-Child Differentiation; Marital Sta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진주,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행동이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을 중심으로. 을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 김남진, 김영희,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97-225, 2010.
3 박지현, 이명조,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5권, 제2호, pp.1-19, 2012.
4 여대환, 김여원, 백성준, "베이비부머의 주택연금 가입에 대한 세대 간 인식차이 연구," 건설경제산업연구, 제 5권, 제1호, pp.35-63, 2014.
5 K. L. Fingerman, L.Pitzer, E. S. Lefkowitz, K. S. Birditt, and D. Mroczek, "Ambivalent relationship qualities between adults and their parents: Implications for the well-being of both part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3, No.6, pp.362-371, 2008.
6 L. R. Bangerter, Y. Liu, K. Kim, S. H. Zarit, K. S. Birditt, and K. L. Fingerman, "Everyday support to aging parents: Links to middle-aged children's diurnal cortisol and daily mood," The Gerontologist, Vol.58, No.4, pp.654-662, 2018.
7 윤예인, 이현민, 이욱진, "차별경험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에 미치는 영향: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1호, pp.205-222, 2019.
8 정경환, "베이비부머세대(baby-boomer generation) 특징에 관한 연구,"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제3권, 제2호, pp.5-11, 2013.
9 김희정, 천혜정,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비교," 여가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7-41, 2016.   DOI
10 송태민, "베이비붐 세대 및 에코 세대의 자살 특성분석," 보건 복지 Issue & Focus, 제180권, pp.1-8, 2013.
11 전세송, "장모-사위의 대인관계적 분화가 애정적 결속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557-569, 2021.   DOI
12 C. A. Colarusso, "The evolution of paternal identity in late adulthood,"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Vol.53, No.1, pp.51-81, 2005.   DOI
13 유연지, 조현주, 권정혜,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3권, 제4호, pp.433-451, 2008.
14 이영희, 이윤주, "부모의 부부갈등과 원가족분화, 부부친밀감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제12권, 제1호, pp.43-58, 2011.
15 이주리, 박현남,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와 부부의 결혼안정성,"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3권, pp.105-122, 2012.
16 김은주, 서영희,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75-192, 2007.
17 C. D. Ryf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Advances i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eudaimonia,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Vol.83, No.1, pp.10-28, 2014.   DOI
18 이여봉,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녀부양의식 및 가족 관계망 그리고 성인자녀와의 경제적 자원교환이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30권, 제2호, pp.249-264, 2019.
19 K. S. Birditt and K. L. Fingerman, "Parent/child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cross adulthood," In M. A. Fine & F. D. Fincham (Eds.), Family theories: A content-based approach (pp.71-86), New York, Routledge, 2012.
20 G. Trommsdorff and B. Schwarz, "The Intergenerational Stake Hypothesis' in Indonesia and Germany: Adult Daughters' and their Mothers' Perception of their Relationship," Current sociology, Vol.55, No.4, pp.599-620, 2007.   DOI
2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15, 통계청, 2015.
22 남기찬, 박정호, "서울 지역의 베이붐세대 유출과 에코세대 유입의 동태적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 도시연구, 제14권, 제3호, pp.73-85, 2013.
23 전세송, 유재언, "장모-사위 쌍 비교를 통한 모녀분화와 장모-사위 결속도 및 관계만족도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55권, 제3호, pp.233-247, 2017.
24 K. E. Bojczyk, T. J. Lehan, L. M. McWey, G. F. Melson, and D. R. Kaufman, "Mothers' and their adult daughters'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Issues, Vol.32, No.4, pp.452-481, 2011.   DOI
25 박선아, 정효미, 차명화,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530-541, 2018.   DOI
26 D. Carr and K. W. Springer, "Advances in families and health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72, No.3, pp.743-761, 2010.   DOI
27 이현정, "1.2차 베이비부머 및 에코부머의 세대 간 주택자1산효과 차이 비교," 도시 행정 학보, 제29권, 제2호, pp.105-130, 2016.
28 문덕수, 청소년과 부모의 분리개별화 과정에서 동시적 개별화 개념 도입 및 적용,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9 이문정, 남정휘, "에코부머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21권, 제 2호, pp.89-111, 2017.   DOI
30 박민정, "우리나라 에코세대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2012년도 한국의료패녈 자료를 이용하여," 가정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4-44, 2016.   DOI
31 김혜림, 생애 전이 경험과 경제 자립도가 성인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2 S. A. Anderson and R. M. Sabatelli, "The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 (DIF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0, No.1, pp.77-89, 1992.   DOI
33 C. Manzi, V. L. Vignoles, C. Regalia, and E. Scabini, "Cohesion and enmeshment revisited: differentiation, identity, and well-being in two European cultur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8, No.3, pp.673-689, 2006.   DOI
34 송지은, Marks,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581-599, 2006.
35 A. Besser and B. Priel, "The apple does not fall far from the tree: Attachment styles and personality vulnerabilities to depression in three generations of wome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1, No.8, pp.1052-1073, 2005.   DOI
36 신현지, 서수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분리-개별화 및 기본 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청소년 상담연구, 제25권, 제2호, pp.23-43, 2017.
37 C. A. Polenick, N. DePasquale, D. J. Eggebeen, S. H. Zarit, and K. L. Fingerma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older fathers and middle-aged children: Associations with both parties' subjective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Vol.73, No.7, pp.1203-1213, 2018.
38 한민아, 한경혜, "세대 간 지원 교환 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제9호, 제1권, pp.135-152, 2004.
39 이상문, "빈곤계층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3년간 패널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2권, 제3호, pp.119-152, 2008.
40 라채린, 이현경, "에코세대의 취업변화와 자살생각," 보건행정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69-375, 2013.   DOI
41 S. M. Gavazzi, "The relation between family differentiation levels in families with adolescents and the severity of presenting problems," Family Relations, Vol.42, No.4, pp.463-468, 1993.   DOI
42 M. E. Hughes and L. J. Waite, "Marital biography and health at mid-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50, No.3, pp.344-358, 2009.   DOI
43 R. Walker, L. Isherwood, C. Burton, K. Kitwe-Magambo, and M. Luszcz,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The role of satisfaction with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76, No.2, pp.123-139, 2013.   DOI
44 전영주, "삼세대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과 성인자녀의 우울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3권, 제1호, pp.22-45, 1998.
45 A. Booth, D. Johnson, and J. N. Edwards,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5, No.2, pp.387-394, 1983.   DOI
46 F. Cline, and J. Fay, Parenting with love and logic: Teaching children responsibility, NavPress Publishing Group, 2020.
47 M. D. Kretchmar and D. B. Jacobvitz, "Observ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Boundary patterns, attachment, and the transmission of caregiving," Family process, Vol.41, No.3, pp.351-374, 2002.   DOI
48 손정민, 김현수, 이은희, "에코붐 세대의 심리사회적 기능궤적과 예측요인-사회적 스트레스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3호, pp.27-53, 2015.
49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