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ing effect

검색결과 904건 처리시간 0.035초

난지도 매립장의 안정화에 따른 지질환경 변화 조사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Geophysical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geological environment of the Nanjido Landfill due to the Stabilization Process)

  • 이기화;권병두;임형래;양준모
    • 지구물리
    • /
    • 제3권2호
    • /
    • pp.113-126
    • /
    • 2000
  • 난지도 매립장의 안정화에 따른 지질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탐사가 가능한 제 2 매립장 상부와 한강변에 연한 매립지의 기저지역에서 중력, 자력, 쌍극자-쌍극자, 자연전위 탐사를 수행하였다. 제 2 매립장 상부에서 수행한 중력과 자력 탐사 결과를 4 년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매립장 중앙 부분에서 밀도구배가 작아지고 복잡한 양상을 보였던 자력이상 분포가 많이 단순해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매립지의 안정화과정에서 침하와 복토작업이 반복되면서 매립물의 다짐작용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 1 매립장 차수벽 밖에서 실시한 쌍극자-쌍극자 전기탐사와 자연전위탐사 결과에는 제 1 매립장 주위의 불량한 탐사환경에 의한 영향이 많이 나타난다. 제 2 매립장의 차수벽 안과 밖에서 실시한 쌍극자-쌍극자 전기탐사 결과를 비교하면 차수벽이 침출수를 어느 정도 차단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제 2 매립장의 상부와 사면에서 수행한 자연전위탐사에서는 특별한 자연전위 이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하부의 차수벽 내부에서 수행한 자연전위 탐사 결과에는 침출수를 모으는 집수정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 PDF

골내낭 처치시 치조골 재생에 관한 연구;I. e-PTFE 차단막의 효과 (FACTORS INFLUENCING THE WOUND HEALING IN THE PERIODONTAL INTRABONY LESION IN HUMAN;I : EFFECT OF THE e-PTFE BARRIER MEMBRANE)

  • 김종관;조규성;채중규;최은정;문익상;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359-373
    • /
    • 1993
  • The ultimate objective of periodontal therapy is not only stopping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 but also promoting the regeneration of lost periodontal tissue. Guided Tissue Regeneration,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goal of periodontal regeneration can be achieved by preventing apical migration of gingival epithelium and blocking cells originating from connective tissu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as a clinical procedure, and although it has shown excellent results in connective tissue healing,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showing its effect on the regeneration of alveolar bone loss due to periodontal disea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sult of 12 months-long treatment follow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expanded polytetrafluoroehylene membrane, and to observe the presence of regenerated alveolar bone. Forty-one teeth from 28 patients with clinical diagnosis of periodontitis has been selected. In fifteen of those interproximal intrabony defects, only flap operation had been carried out, and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Twenty-six intrabony defects received e-PTFE membrane following flap operation, and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Eleven teeth whose membrane had been exposed were excluded from the experiment. Various measurements including probing depth, loss of attachment, probing bone level and gingival recession have been recorded at 6th month and 12th month,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obing depth at 6th and 12th month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p<0.01), but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at the month(p<0.05). 2. Loss of attachment at 6th and 12th month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but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3. Probing bone level at 6th and 12th month has shown a in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1).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in probing bone level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5). 4. Gingival recession at 6th and 12th month h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higher increas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lthoug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s these results have shown, the use of e-PTFE membrane in intrabony pockets results in marked decrease in the loss of attachment and probing bone level. This seems to indicate that e-PTFE membrane may play a role in alveolar bone regeneration in intrabony defects.

  • PDF

막오염에 미치는 유기물 분자량 분포특성 및 화학적 구조특성 (Effect of Organic Melecular Weight and Functional Group on Membrane Fouling)

  • 정철우;손희종;신현준;손인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69-676
    • /
    • 2007
  • 낙동강 매리지역 원수에 대해 유기물 성상분석을 한 결과, 소수성 물질이 43%, 친수성 물질이 39%, 반친수성 물질이 1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유기물질에 대한 분자량 크기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소수성 > 반친수성 > 친수성 물질의 순으로 분자량 분포특성을 보였다. 막 공극 크기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결과 막 공극 크기가 증가할수록 공극 내에서 공극 막힘현상과 공극 흡착현상이 막오염의 주된 메카니즘으로 작용하여 투과 flux 감소율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막의 재질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수성 막의 경우 친수성 막에 비하여 소수성 상호반응(hydrophobic interaction)에 의하여 유기물에 의한 막 오염 현상이 발생하여 투과 flux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나고 초기 투과 flux 감소율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원수에 대한 막의 재질과 막의 공극크기에 따른 막오염 메카니즘 분석결과 소수성 재질의 막에서 막표면 오염을 나타내는 Kc, 막의 공극흡착현상을 나타내는 Ks, 막의 공극 막힘현상을 나타내는 Ki 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막의 공극 크기에 따른 막 오염 메카니즘 분석결과 막의 100 kDa 이상의 공극이 큰막의 경우에는 소수성 계열의 유기물이 막의 공극 내부에서 막 오염을 유발하였으며, 10 kDa 정도로 공극이 작은 막의 경우 소수성과 친수성 계열 유기물이 막 표면에서 막 오염을 유발하는 메카니즘이 주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보일의 법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비유의 부연 수준이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 및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Level of Enrichment for Analogies upon Students' Mapping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Concept Learning about Boyle's Law)

  • 김유정;김경순;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8-25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보일의 법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비유의 부연 수준이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 및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들이 범하는 대응 오류 유형을 조사하였다. 본 수업 이전에 비유 추론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점수를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비유의 부연 수준에 따른 단순, 부연, 확장의 세 가지 유형의 비유 학습 활동지를 무선 배포하여 학습하도록 한 직후에, 대응 관계 이해도와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두 검사에 대한 파지 검사를 4주 후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응 관계 이해도의 직후 검사에서는 비유의 부연 수준에 따른 주효과는 없었지만, 비유 추론 능력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개념 이해도 파지 검사에서는 부연 집단의 점수가 단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세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전체 대응 오류의 빈도는 단순 집단이 가장 높았고, 대응 오류 유형별 빈도에서도 대부분 단순 집단의 빈도가 부연 집단과 확장 집단의 빈도보다 높았다. 또한, 대응 오류 유형별 빈도는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과학교사들이 체계적인 비유 사용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 연구 (Study on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Test Method for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 문경진;김소운;문주희;김수진;김아영;문태기;김남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66
    • /
    • 2008
  • 자외선 차단제는 해변 및 실외수영장에서 물놀이 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기존의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은 내수성 시험방법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그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에 관하여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시험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외국과 우리나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을 비교하였고, 우리나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을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 선별 시험을 통해 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의 변수를 설정, 확인 시험을 하였다. 물 온도 $23{\sim}32^{\circ}C$에서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비교 시험을 한 결과, 이 범위 안에서 온도는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에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물의 흐름 변화에 따른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는 $43.61{\pm}1.96,\;43.92{\pm}1.62$ 그리고 $42.65{\pm}2.41$로 결과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피험자의 적절한 활동을 대신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속적인 20 min 물 순환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에 의한 치수미세순환 조절 (REGULATION OF PULPAL MICROCIRCULATION BY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 김성교;김영경;진명욱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70-4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각성 neuropeptide인 CCRP의 치수혈류 조절에 관해 교감신경과의 유기적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CGRP의 치수혈류 조절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열두 마리의 전신마취된 고양이에서 실험하였으며 CGRP를 혈관을 통해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였다. 견치에서 치수혈류의 변화를 측정하고 paired t-test로 통계분석 하였으며 $9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CGRP $(0.31{\mu}g/kg)$를 전신정맥으로 주사시, 전신혈압에 현저한 영향을 나타내면서 치수혈류는 평균 $68.85\%$의 일차적인 증가와 감소를 보였고 이차적으로 다시 평균 $161.8\%$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CCRP를 저용량 $(0.03{\mu}g/kg)$으로 국소적으로 투여시, 치수혈류는 평균 $2.92\%$의 미약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교감신경을 전기자극시 (10Hz, 4V, 1.5ms), 전신혈압은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치수혈류가 유의하게 평균 $57.88\%$ 감소하였다. 교감신경 자극으로 치수혈류가 저하되어 있는 동안 주입한 CCRP는 저하된 치수혈류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CGRP의 이 치수혈류 증가 효과는 $CGRP_{8-37}$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Schisandrae Fructus ethanol extract attenuates particulate matter 2.5-induc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responses by blocking the activation of the ROS-dependent NF-κB signaling pathway

  • Lee, Hyesook;Park, Cheol;Kwon, Da Hye;Hwangbo, Hyun;Kim, So Young;Kim, Min Yeong;Ji, Seon Yeong;Kim, Da Hye;Jeong, Jin-Woo;Kim, Gi-Young;Hwang, Hye-Jin;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6호
    • /
    • pp.686-702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Schisandrae Fructus, the fruit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medicinal herb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nd has proven it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Schisandrae Fructus ethanol extract (SF) on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in particulate matter 2.5 (PM2.5)-treated RAW 264.7 macrophages. MATERIALS/METHOD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SF in PM2.5-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mediator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 (IL)-6 and IL-1β,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measur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 of SF,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inflammatory factors was also investigated. We further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icacy of SF against PM2.5 in the zebrafish model.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F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M2.5-induced release of NO and PGE2, which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inducible NO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expression. SF also attenuated the PM2.5-induced expression of IL-6 and IL-1β, reducing their extracellular secretion. Moreover, SF suppressed the PM2.5-mediated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from the cytosol into nuclei and the degradation of inhibitor IκB-α, indicating that SF exhibited anti-inflammatory effects by inhibiting the NF-κB signaling pathway. In addition, SF abolished PM2.5-induced generation of ROS, similar to the pretreatment of a ROS scavenger, but not by an inhibitor of NF-κB activity. Furthermore, SF showed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NO and ROS production in PM2.5-treated zebrafish larvae.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F exer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against PM2.5 through ROS-dependent down-regulating the NF-κB signaling pathway, and that SF can be a potential functional substance to prevent PM2.5-mediat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damage.

The In Vitro and In Vivo Effect of Lipoxygenase Pathway Inhibitors Nordihydroguaiaretic Acid and Its Derivative Tetra-O-methyl Nordihydroguaiaretic Acid against Brucella abortus 544

  • 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Kim, Heejin;Huy, Tran Xuan Ngoc;Nguyen, Trang Thi;Min, Wongi;Lee, Dongho;Hur, Jin;Lee, John Hwa;Kim,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9호
    • /
    • pp.1126-113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ribution of lipoxygenase (LOX) inhibitors,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tetra-O-methyl nordihydroguaiaretic acid (M4N) and zileuton (ZIL), and thromboxane A2 (TXA2) inhibitor 4,5-diphenylimidazole (DPI) in the proliferation of Brucella abortus infection. None of the compounds affected the uptake of Brucella into the macrophages. We determined the effect of neutralizing leukotriene B4 (LTB4) receptor and showed that the uptake of the bacteria was inhibited at 30 min post-infection. M4N treatment attenuated intracellular survival of Brucella at 2 h post-incubation but it was not observed in the succeeding time points. DPI treatment showed reduced survival of Brucella at 24 h post-incubation while blocking LTB4 receptor was observed to have a lower intracellular growth at 48 h post-incubation suggesting different action of the inhibitors in the course of the survival of Brucella within the cells. Reduced proliferation of the bacteria in the spleens of mice was observed in animals treated with ZIL or DPI. Increased serum cytokine level of TNF-α and MCP-1 was observed in mice treated with M4N or ZIL while a lower IFN-γ level in ZIL-treated mice and a higher IL-12 serum level in DPI-treated mice were observed at 7 d post-infection. At 14 d post-infection, ZIL-treated mice displayed reduced serum level of IL-12 and IL-10. Overall, inhibition of 5-LOX or TXA2 or a combination therapy promises a potential alternative therapy against B. abortus infection. Furthermore, strong ligands for LTB4 receptor could also be a good candidate for the control of Brucella infection.

동충하초(Cordyceps spp.)의 유효 생리활성 성분인 cordycepin의 근감소증 예방에 대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ordycepin, an Active Ingredient of the Insect Fungus Cordyceps spp., for the Prevention of Sarcopenia)

  • 김성옥;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2-490
    • /
    • 2022
  • 근육 양과 근력의 감소에 의한 근감소증은 다양한 병적 상태의 악화, 삶의 질 저하, 사망률의 증가를 동반하며,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유병률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노화 과정에서 만성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의 증가는 골격근 소실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자가포식 및 세포사멸 신호의 교란은 근육 단백질의 손실을 가속화한다. 오래전부터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온 동충하초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cordycepin의 약리학적 효과는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총설에서는 근감소증의 예방과 치료에의 적용을 위한 cordycepin의 세포사멸, 자가포식, 단백질의 이화작용 및 근육 재생에 중요한 위성세포의 활성에 대한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비록 현재까지 근감소증에 대한 cordycepin의 연구는 미진한 수준이지만, 그동안의 연구 결과에서 cordycepin은 노화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약화를 억제하고 근육 단백질의 분해를 차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세포 손상에 대한 cordycepin의 보호 효과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안한다. 따라서 근세포의 노화방지에 관여하는 cordycepin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보다 지속적인 기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파라벤류와 트리글로산의 인체 안드로겐 수용체 매개 내분비계 교란작용 (Human Androgen Receptor-Mediated Endocrine Disrupting Potential of Parabens and Triclosan)

  • 김지원;이희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05-310
    • /
    • 2023
  • 본 연구는 OECD TG No. 458, 22Rv1/MMTV_GR-KO 전사 활성화 분석법을 포함한 세포 기반 분석법을 사용하여 식품 및 생활용품에 포함된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의 인간 안드로겐 수용체를 매개하는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가지 파라벤(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은 OECD TG No.458에서 AR 길항제로 확인된 반면, 파라벤의 AR 길항 효과는 S9 간 분획물이 있는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트리클로산 역시 AR 길항제로 분류되었으며,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된 AR 길항 효과는 S9 간 분획물이 존재할 때 제 1상+2상 대사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되는 AR 길항 기전은 세포질 내 AR 이량화를 차단하여, 리간드 결합 AR이 핵으로의 전위를 억제함으로써 AR 매개 내분비 교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4가지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AR 이량화 저해를 통한 AR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AR 매개 내분비 교란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간 대사 효소가 존재할 경우 내분비 교란 효과는 감소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