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sphenol-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46초

Congenital Malformation Caused by Bisphenol A in Developing Chick Embryo

  • Kim Su Won;Kim Jin Sik;Ryu Hye Myung;Nam Jin Sik;Cheigh Hong Sik;Min Byung Tae;Park Soo Hyun;Yoo M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7-401
    • /
    • 2004
  • We have examined congenital malformation in developing chick embryo caused by endocrine disruptor, bisphenol A (BPA). We injected BPA into the air sac of developing egg on day 4 of incubation. BPA-treated group with a concentration of 10 ㎍/egg showed a little decrease on their body length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But the group treated with 50㎍/egg revealed severe malformation in eyeballs and bills. The group treated with 100㎍/egg could not continue their development after few days of incub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PA clearly inhibits the normal development in chick and it should be toxic to the developing fetus at early stage and in various tissues. The study sh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oxic effect of BPA in developing human fetus when exposed to the BPA.

  • PDF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Bisphenol A at Carbon Nanotube-Doped Titania-Nafion Composite Modified Electrode

  • Kim, Byung Kun;Kim, Ji Yeon;Kim, Dong-Hwan;Choi, Han Nim;Lee, Won-Y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1065-1069
    • /
    • 2013
  • A highly sensitive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for bisphenol A (BPA) has been developed by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 (CNT)-doped titania-Nafion composite modified glassy carbon (GC) electrode. The CNT-titania-Nafion/GC electrode exhibited excellent electrocatalytic activity towards BPA. Therefore, the CNT-titania-Nafion/GC electrode showed improved voltammetric responses for BPA compared to that obtained with bare GC electrode. In addition,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a cationic surfactant, was added into the BPA sample solution in order to accumulate BPA through hydrophobic interaction between CTAB and BPA. The CNT-titania-Nafion/GC electrode gave a linear response ($r^2$ = 0.999) for BPA from $1.0{\times}10^{-8}$ M to $5.0{\times}10^{-6}$ M with a detection limit of $9.0{\times}10^{-10}$ M (S/N = 3). The modified electrode showed good selectivity against interfering species and also exhibited good reproducibility. The present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the CNT-titania-Nafion/GC electrode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BPA in food package samples.

Organic-inorganic Nano Composite Membranes of Sulfonated Poly(Ether Sulfone-ketone) Copolymer and $SiO_2$ for Fuel Cell Application

  • Lee, Dong-Hoon;Park, Hye-Suk;Seo, Dong-Wan;Kim, Whan-Gi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487-488
    • /
    • 2006
  • Novel bisphenol-based wholly aromatic poly(ether sulfone-ketone) copolymer containing pendant sulfonate groups were prepared by direct aromatic nucleophilic substitution polycondensation of 4,4-difluorobenzophenone, 2,2'-disodiumsulfonyl-4,4'-fluorophenylsulfone (40mole% of bisphenol A) and bisphenol A. Polymerization proceeded quantitatively to high molecular weight in N-methyl-2-pyrrolidinone at $180^{\circ}C$.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were obtained by mixing organic polymers with hydrophilic $SiO_2$ (ca. 20nm) obtained by sol-gel process. The polymer and a series of composite membranes were studied by FT-IR, $^1HNM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thermal stability. The proton conductivity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decreased as $SiO_2$ content increased, but methanol permeability decreased. The nano composite membranes were found to posse all requisite properties; Ion exchange capacity (1.2meq./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164-183\;^{\circ}C)$, and low affinity towards methanol $(4.63-1.08{\times}10^{-7}\;cm^2/S)$.

  • PDF

비스페놀A와 니트로벤젠의 펜톤 산화분해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ton Oxidation of Bisphenol A and Nitrobenzene)

  • 배수진;권희원;김지영;황인성;김영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05-1014
    • /
    • 2021
  • Organic contaminants can be released into water environments due to chemical accidents and exist as dissolved and non-aqueous phase liquids (NAPL). Fenton oxidation was tested for bisphenol A and nitrobenzene as model organic contaminants in dissolved and NAPL states. Fenton oxidation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both of the dissolved and NAPL states of the two pollutant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quick treatment was needed to reduce the risk from a chemical accidents instead of carrying out oxidation after the contaminants dissolve in water. A set of Fenton reactions were tested under seawater conditions because chemical accidents often occurs in the ocean. Chloride ions act as radical scavengers and inhibit Fenton oxidation. The reaction r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salt contents and the reduced reaction rate can be compensated 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the oxidizing agents. The current study showes that Fenton oxidation could be applied as a quick treatments for organic contaminant in dissolved and NAPL state organic contaminants released as a result of leaks or chemical accidents.

Effects of subacute oral administration of endocrine disruptors, bisphenol A and Mancozeb, on LPS-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production in vivo.

  • Hwang, Yoo-Kyung;Pyo, Myoung-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7.2-107.2
    • /
    • 2003
  • Bisphenol A(BPA) is a monomer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ing polycarbonate plastic or epoxy resin and Mancozeb (MCZ), a polymeric complex of zinc and manganese salts of ethylene bisthiocarbamate, is widely used in agriculture as fungicide, insecticide and herbcide. These chemicals have been recently known as endocrine disrupto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PA and MCZ on LPS-induced cytokine production (TNF-${\alpha}$) in vivo, female ICR mice were administered to various concentration of these materials (BPA; 100, 500, 1000 mg/kg/day, and MCZ; 250, 500, 1000, 1500 mg/kg/day) for 30 days and serum cytokine levels were measured at 1h post LPS injection (day 32) in BPA- or MCZ-administered mice. (omitted)

  • PDF

내분비계장애물질 대체소재의 안전성 (Safty of Alternatives for Endocirne Disrupting Substances)

  • 박찬진;김웅;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361-374
    • /
    • 2015
  • 내분비계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ors)은 포유류에서 축적되어 내분비계를 교란하며, 특히 수정능, 초기발생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분비계장애물질은 그 내분비계 교란 효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페인트, 코팅, 세제, 플라스틱 등에 활발히 사용되어 왔다. 특히 가정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은 음식 용기, 물병, 세탁용 세제 등에 사용되어 인체에 쉽게 노출되었다. 이후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위험성을 인식하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생산 및 사용을 규제하고 대체재를 발굴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대체재의 안전성 또한 불확실하며, 이들의 인체에 대한 악영향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대체재들 중 기존의 내분비계장애물질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내분비계 교란 효과를 갖는 물질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에 본 소고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대표적인 내분비계장애물질인 bisphenol-A, phthalates, nonylphenols 및 이들의 대체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일부 대체재들에 대한 in-silico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현존하는 대체재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바람직한 소재 발굴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Methylene dianiline-Succinonitrile계의 역학적 성질 (Mechanical property of Diglycldyl ether of bisphenol A-Methylene dianiline System with Succinonitrile)

  • 조성우;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1-196
    • /
    • 1992
  • Succinonitrile을 첨가한 새로운 에폭시 수지,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 4'-methylene dianiline(MDA)/succinonitrile(SN)계의 역학적 성질을 충격 저항실험과 응력 변형실험을 통하여 곁화반응 특성과 반응기구를 근거로 하여 고찰하였다. DGEBA/MDA계에 각각 다른 succinonitrile의 함량을 포함하는 계를 $80^{\circ}C$에서 1.5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완전히 경화를 이루기 위하여 $150^{\circ}C$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시험한 결과 Succinonitril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본 계의 충격강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Young률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신도는 succinonitrile의 함량이 10phr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실험으고부터 얻은 결과는 succinonitrile이 첨가됨으로써 주 사슬간의 결합길이가 연장되었기 때문임을 알았고, 적당량의 succinonitrile을 첨가함으로 에폭시 수지의 유연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Bisphenol A와 4-nonylphenol에 노출된 C. riparius (Diptera: Chiromidae)의 하순기절 기형성 (The Mentum Deformity of C. ripariu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and 4-nonylphenol)

  • 곽인실;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66-71
    • /
    • 2007
  • 실내에서 사육된 C. riparius를 대상으로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BPA와 4-nonylphenol을 처리하여 형태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약제에 노출된 개체의 하순기절은 부드러워지거나(smooth) 손실(loss)이 가장 많았다. 처리물질에 따른 기형의 정도를 살펴보면, BPA는 $31{\sim}90%$, 4-nonlyphenol은 $40{\sim}80%$의 범위를 보였다. BPA는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기형도 증가하였으나 4-nonylphenol은 노출농도 증가와 기형발생의 비례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 물질별 하순기절의 기형 부위를 살펴보면, MIX타입의 기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LT, MLT 타입의 기형이 나타났다. MLT에서는 부드러워지는 형태가 가장 많았고 LT에서는 teeth가 손실되는 loss 타입의 기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LT에서는 부드러워지는 마모와 손실이 복합적인 타입이 그 다음으로 빈번하였다. MIX는 부드러워지거나 손실 타입의 기형이 가장 다수 관찰되었다.

Bisphenol A 분해균주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의 분리 및 bisphenol A 분해 특성 (Isolation of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 Capable of Degradation of Bisphenol A)

  • 권기석;김동걸;이중복;신기선;금은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58-1163
    • /
    • 2006
  • BPA는 에폭시 수지 및 플라스틱 생산의 단량체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접착제, 페인트, 광학렌즈, 건축자재, 전자제품 소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PA의 급성세포독성 및 내분비교란활성이 보고되면서 BPA의 분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PA의 광분해 및 화학적 분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제적 BPA의 생물학적 분해를 목표로 BPA분해균을 플라스틱 공장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BP-2는 5mM의 BPA처리에서 성장할 수 있었으며, pH 7, $30^{\circ}C$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53.3{\mu}g\;ml^{-1}\;day^{-1}$의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균주 동정결과 BP-2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로 확인되었으며, 3.5g-건조중량$1^{-1}$의 고농도 휴식 세포 반응 결과 $89.7{\mu}g\;ml^{-1}\;h^{-1}$의 BPA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 세포농도를 유지하는 경우, BP-2균주가 실제적 BPA분해를 위한 생물촉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해양 녹조류 Tetraselmis suecica, 규조류 Ditylum brightwellii,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minimum에 대한 Aroclor 1016과 비스페놀 A의 독성 효과 (Toxic effects of Aroclor 1016 and bisphenol A on marine green algae Tetraselmis suecica, diatom Ditylum brightwellii and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 비니타 에베네저;기장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6-312
    • /
    • 2016
  • 미세조류는 수환경으로 유입되는 독성물질의 배출기준을 설정하거나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환경변화의 잠재적 생물지표이다. 본 논문에서 해양 미세조류인 녹조류 Tetraselmis suecica, 규조류 Ditylum brightwellii,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minimum에 대한 내분비 교란물질(EDCs) 비스페놀 A (BPA)와 Aroclor 1016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처리한 EDCs에 대하여 각각의 종은 매우 다른 민감도 차이를 보였다. 각 종에 대한 50% 영향농도($EC_{50}$)는 Aroclor 1016가 BPA보다 더 유해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세조류중에서 규조류 D. birghtwellii(0.037 mg/L BPA과 0.002 mg/L Aroclor 1016)가 다른 종보다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서생태계에로 배출되는 기준 농도 이상의 EDCs가 해양 생물에게 유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