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var 3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에서 분리한 참다래 궤양병균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들의 Biovar (Biovar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Isolated in Korea)

  • 이영선;김진;김경희;최으뜸;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35-41
    • /
    • 2017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참다래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세균이다. 이 병원균 집단은 분자적 특성에 따라 biovar 1, 2, 3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우리나라에서 분리되어 순천대학교 생물학과에 보관 중인 P.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들의 biovar를 기존에 발표된 biovar에 특이적인 PCR primers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전체 682개 균주 중 biovar 2에 속한 균주가 288개, biovar 3에 속한 균주가 394개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균주 중 biovar 1에 속하는 균주는 없었다. Biovar 3 균주에 의한 궤양병의 갑작스러운 발생과 확산은 이 균주가 빠른 전파력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RAPD 지문을 통한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 (Evalu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Biovar 3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Isolated in Korea)

  • 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20
  • 키위 세균성 궤양병의 원인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다섯 개의 biovar (1, 2, 3, 5, 6)로 나뉘어 진다. 그 중 biovar 3에 속하는 균주가 2008년 이래 전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biovar 3균주들의 집단 구조를 밝히고 그들의 기원을 추적하는데 있다. 13개의 우리나라 대표 균주와 2개의 중국 균주를 포함하는 15개 biovar 3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을 RAPD-PCR로 평가하였다. RAPD 결과 연구에 사용된 균주들은 8개로 나누어져 이들을 subgroup I - VIII로 명명하였다. Subgroups II와 III은 중국 균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biovar 3 균주는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6개의 subgroup (I, IV, V, VI, VII, VIII)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ew Zealand와 Europe균주에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 subgroups V와 VI에 속하는 균주가 예상했던 DNA 절편을 증폭시켜 이들이 각각 두 지역에서 유입된 균주임을 시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biovar 3 균주인 subgroup VIII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개발하여 조사한 결과 이 subgroup 균주는 처음 출현한 이후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

Analysis of Genetic and Pathogenic Diversity of Ralstonia solanacearum Causing Potato Bacterial Wilt in Korea

  • Cho, Heejung;Song, Eun-Sung;Lee, Young Kee;Lee, Seungdon;Lee, Seon-Woo;Jo, Ara;Lee, Byoung-Moo;Kim, Jeong-Gu;Hwang, Ing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23-34
    • /
    • 2018
  • The Ralstonia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RSSC) can be divided into four phylotypes, and includes phenotypically diverse bacterial strains that cause bacterial wilt on various host plants. This study used 93 RSSC isolates responsible for potato bacterial wilt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hylogenetic relatedness based on the analysis of phylotype, biovar, and host range. Of the 93 isolates, twenty-two were identified as biovar 2, eight as biovar 3, and sixty-three as biovar 4. Applied to the phylotype scheme, biovar 3 and 4 isolates belonged to phylotype I, and biovar 2 isolates belonged to phylotype IV. This classification was consistent with phylogenetic trees based on 16S rRNA and egl gene sequences, in which biovar 3 and 4 isolates clustered to phylotype I, and biovar 2 isolates clustered to phylotype IV. Korean biovar 2 isolates were distinct from biovar 3 and 4 isolates pathologically as well as genetically - all biovar 2 isolates were nonpathogenic to peppers. Additionally, in host-determining assays, we found uncommon strains among biovar 2 of phylotype IV, which were the tomato-nonpathogenic strains. Since tomatoes are known to be highly susceptible to RSSC,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omato-nonpathogenic potato strains. These results imply the potential prevalence of greater RSSC diversity in terms of host range than would be predict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국내에서 분리된 Streptomycin 저항성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균주에서 rpsL 유전자의 돌연변이 (Mutation of rpsL Gene in Streptomycin-Resistant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 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28권1호
    • /
    • pp.26-31
    • /
    • 2022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는 키위에 세균성 궤양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Psa 균주는 유전적 및 생화학적 특징에 따라 5개의 biovar로 나누어진다. 그중 biovar 2와 3이 국내에서 발견되어 광범위한 피해를 주고 있다. Psa를 방제하는 효율적인 방법 중 한가지는 streptomycin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는 균주가 국내에서 분리되었고, 선행 연구에서 biovar 2 균주의 저항성이 strA-strB 유전자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Psa biovar 3 균주에서 streptomycin 저항성의 분자적 기작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실에서 선발된 streptomycin 저항성 균주의 리보솜 단백질 S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rpsL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43번째 또는 88번째 코돈에서 자연발생적 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두 곳의 키위 과수원에서 분리된 4개의 streptomycin 저항성 biovar 3 균주에서는 민감성 균주에서 AAA인 rpsL의 코돈 43이 AGA로 단일 염기 치환이 일어났고, 이는 아미노산을 lysine에서 arginine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국내에서 발견된 biovar 3 균주 모두의 저항성 기작은 rpsL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기인하였다.

국내에서 분리된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균주들의 subgroup 분포 (Distribution of Subgroups in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 이영선;김경희;정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58
    • /
    • 2021
  • 키위에 세균성 궤양병을 일으키는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유전적 특성과 생산하는 독소에 따라 5개의 biovar (1, 2, 3, 5, 6)로 나누어진다. 그중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biovar 3는 2011년부터 국내에서 분리되고 있다. RAPD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분리된 biovar 3 균주는 6개의 subgroup (I, IV, V, VI, VII, VIII)으로 나누어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등되는 RAPD 밴드의 염기서열로부터 6개 subgroup 각각에 특이적인 SCAR primers를 개발하였다. 각 subgroup에 특이적인 이들 primers를 사용하여 2011-2017에 국내에서 분리한 biovar 3 균주들의 subgroup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54개 균주 중 35개(64.8%)가 subgroup V에, 9개(16.7%) 균주가 subgroup IV, 4개(7.4%)가 subgroup VI, 3개(5.6%) 균주가 subgroup VII, 2개(3.7%)가 subgroup VIII, 그리고 1개(1.9%) 균주가 subgroup I에 속하였다. Subgroups IV, V 및 VI에 속하는 균주들은 각각 중국, 뉴질랜드, 칠레 균주와 연관이 있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biovar 3 균주들은 유전적으로 다양하며 꽃가루를 통해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Characterization of Pasteurella multocida from pneumonic lungs of slaughtered pigs in Korea

  • Kim, Jong Ho;Kim, Jong Wan;Oh, Sang-Ik;Kim, Chung Hyun;So, ByungJae;Kim, Won-Il;Kim, Ha-Yo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3-210
    • /
    • 2018
  • Pasteurella multocida is an opportunistic organism tha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PRDC). In the current study, we provide nationwide information of P. multocida isolates from pneumonic lungs of slaughter pigs by determining their prevalence, subspecies, biovars, capsular types, virulence-associated genes,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P. multocida was the second most frequently confirmed (19.2%) bacterial pathogen and most of the isolates (88.9%) showed simultaneous infection with other respiratory pathogens, especially Mycoplasma hyopneumoniae (63.3%, P<0.001) and porcine circovirus type 2 (53.3%, P=0.0205). Of 42 isolates investigated, 41 (97.6%) were identified as P. multocida subspecies multocida, and only one isolate was identified as subspecies septica (biovar 5). All the isolates were capsular type A and the most prevalent biovar was biovar 3 (40.5%), followed by biovar 2 (31.0%). Comparing virulence-associated genes and biovars, all biovar 2 isolates exhibited $hgbB^-pfhA^+$ (P<0.001); all biovar 3 (P=0.0002) and biovar 13 (P=0.0063) isolates presented $hgbB^+pfhA^-$. Additionally, all biovar 2 (P=0.0037) isolates and most of biovar 3 (P=0.0265) isolates harbored tadD. P. multocida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levels to oxytetracycline (73.8%), followed by florfenicol (11.9%).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for surveillance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new emerging strains of P. multocida in slaughter lines.

가지의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 발생과 생리형의 분화 (Occurrence and Biovar Classification of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in Eggplant (Solanum melongena))

  • 임양숙;이문중;정종도;류영현;김병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10-14
    • /
    • 2008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은 세계적으로 치명적인 병해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지, 토마토, 감자, 고추 등 가지과 작물에 발병이 보고되어 있다. 2005년${\sim}$2006년 2년 동안 가지 주재배단지의 풋마름병 발생 포장에서 48개의 균주를 수집하여 분리 배양하였으며 R. solanacearum의 특이적인 flipcF/flipc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470-bp의 풋마름병 특이적 밴드가 관찰되어 R. solanacearum으로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15균주로 각 기주별 병원성을 검정하였을 때 가지, 토마토에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고추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가지 풋마름병원균의 biovar분화는 biovar 3, 4로 동정되었으며 특히 biovar 3는 가지 풋마름병 저항성 대목에 다소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저항성대목의 육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Specific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Biovars 1 and 2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 Lee, Young Sun;Kim, Gyoung Hee;Koh, Young Jin;Zhuang, Qiguo;Jung, Jae S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62-167
    • /
    • 2016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the causal agent of canker in kiwifruit, can be divided into three biovars (biovars 1, 2, and 3). Strains belonging to biovar 1 produce phaseolotoxin and were isolated in Japan and Italy before 2008. Strains of biovar 2 produce coronatine instead of phaseolotoxin and have been isolated only in Korea. Strains belonging to biovar 3 produce neither phaseolotoxin nor coronatine and are responsible for the global outbreak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in recent years. The biovar 3-specific primer set was developed in a previous work. In this study, two sets of PCR primers specific to strains of biovars 1 and 2, respectively, were developed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es. Primers PsaJ-F and PsaJ-R produced a 481-bp region with genomic DNA of biovar 1 strains, whereas primers PsaK-F and PsaK-R amplified a 413-bp region present only in the genome of biovar 2 strains.

포도나무 줄기 혹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 정광진;심재섭;정봉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1998
  • 최근에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포도에 난방제 병해인 줄기혹병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포도 줄기혹병 이병포장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에서 길항균 strain 27를 선발하여 in vitro 및 in vivo bioassay결과 biovar 1 병원균인 A. tumefaciens C58과 Ach5, biovar 2 병원균인 A. rhizogenes 13264 및 biovar 3 병원균인 A. vitis 등을 모두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Strain 27의 세균학적 특성은 pAgK84와 비슷한 크기(46 Kb)의 plasmi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포도나무 줄기혹병 병원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of Grapevine Crown Gall in Korea)

  • 정광진;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7-201
    • /
    • 1996
  • 우리나라 포도재배 지역인 포천, 남양주 및 수원의 포도나무 줄기혹병에 이병된 포장으로부터 채집한 줄기혹(gall), 수액(sap) 및 근권토양으로부터 56균주의 유사 Agrobacterium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7균주가 포도나무 유묘의 줄기에 혹ㅇ르 형성시키는 병원성 Agrobacterium biovar의 선택배지에서의 생장, oxidase의 생성, Na L-tartrate로부터 알칼리의 성장, 2% NaCl 첨가 배지에서 생장, 3-ketolactose의 비생산, mesoerythritol과 ethanol로부터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Agrobacterium biovar 3인 A. vitis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