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nomic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감나무에 기생하는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Coccidae)의 생태에 관하여 (The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Florida Wax Scale,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Coccidae) on Persimmon Tree)

  • 한교필;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31-39
    • /
    • 1964
  • 본 문은 1963-1964년 사이에 감나무에 기생하는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의 생태학적연구와 여기에 기행하는 parasite 2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C. floridensis는 대구시내 시가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감나무에 기생해 있고 본충의 유력한 기생기봉인 M. clauseni의 기생율은 최고 $66.67\%$이고 시가 중심에 비교적 기생율이 적다. 2. 본 충의 란의 발육은 성숙란이 5월 중순 - 7월초에 나타나고 5월말-6월초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1필의 장란수는 평균 $2030.77\pm0.49$개이다. 3. 본 충은 6월초-7월초에 부화하여 6월 중순에 최고를 이루며 male은 8월 14-9월 7일에 용화하여 성충은 8월 20일-9월 8일 사이에 나타난다. 또 adult male의 수명은 8월에는 3일간, 9월에는 4일간이다. 4. 본 충의 host plant 중 persimmon, platanus, trifoliate orange의 3종에 기생한 본 충의 체장에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으며 persimmon에 기생한 것의 체장이 가장 길고 다음이 platanus이며 trifoliate orange에 기생한 것이 체장이 가장 작았다. 5. C. floridensis에 기생하는 M. clauseni는 1년에 5회 발생하며 유충내로 host 체내에서 월동하여 4월 중순에 제1회의 성충이 나타난다. $21^{\circ}C$에서 1세대를 완료하는데 15일을 요하며 이 parasite의 female 1필이 가지고 있는 ovariole 수는 6개이고 장란수는 평균 $47.19\pm0.35$개였다. 6. C. floridensis 1필에 기생하는 M. clauseni의 기생충수는 1필이 가장 많았고 2필 또는 이례적으로 4필이 기생한 것도 있었다. 7. Coccophagus spp.는 C. floridensis에 있어서 male에만 기생하고 그 기생율은 $14.831\%$였다.

  • PDF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 Uhler)"의 기주범위 및 생태에 관한 연구 (Host range and Bionomics of the Rhombic Marked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Homoptera: Cicadelliae) as a Vector of the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 김규진;김미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8-347
    • /
    • 1993
  •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Hish[monus sellatus Uhler)의 생태, 혼식 및 산란 호성, 기주이동, 월동태를 조사한 결과 남부지방에서 연 5세대가 경과되었고, 제 1세대 6월 중 ~하순, 2세대 7월 중~8월 상순, 3세대 8월 중~하순, 4세대 9월 상~중순, 5세대 10월 상~중순이었고, 최대 발생기는 3화기인 8월 중~하순이었다. 계절에 따른 한 세대에 요하는 기간은 춘계 80, 하계 69, 추계 77.8일이었으며, 각 단계별 크기는 란 0.8 mm, 1령충 0.9mm, 2령충 l.4mm. 3령충 2.1mm, 4령충2.5mm, 5령충 3.2 mm 이었으며 성충 암컷 4.1mm, 수컷 3.8mm였다. 년중을 통한 기주식물의 이동을 보면 주로 뽕나무, 환삼덩굴, 대추나무에서 란으로 월동하며, 5월 중~하순경까지 뽕나무와 환삼덩굴의 신호를 계속 증가하면서 일부가 6월 하순~7월초순경에 대추나무로 이동하며 가해하는데 이들 란이 10월 중~하순 경부터 월동태로 들어간다. 산란부위는 신초, 엽병, 엽통 등이며 1마리의 암컷 산란수는 32~62개였다. 파식선호성에서는 환삼덩굴, 대추나무, 쥐똥나무, 뽕나무에서 높은 선호성(38.2S-21.64 %)을 보였고 닥나무, 개머루, 구기자나무, 구지뽕나무, 모시풀, 벼, 골담초, 일일초, 차풀 등이 4.65~2.48%였다, 산란이호성에서는 식이호성이 높은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24~12개 정도였으며 성충의 생명에서는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41.4~44.4일, 개멀, 차풀, 쥐똥나무, 일일초, 자운영, 샐러리에서 25일 이상이었고 기지 기주식물에서는 20일 이하이었다.

  • PDF

한국산 노래기류의 분류 및 생태 1. 계림갈퀴노래기 ( Anaulaciulus Koreanus koreanus ( Verhoeff )) 의 생활사와 개체군 동태 (Bionomics and Systematics of Diplopoda in Korea I. The Life-ycle and Population Dynamics of Anaulaiulus koreanus koreanus (Verhoeff) (Diplopoda Julidae))

  • Kim, Tae-Heung;Kil-Young L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155-157
    • /
    • 1993
  • The life-cycle and seasonal abundance of Anaulaciulus koreanus koreanus was studied at Hwang-dong, Chonbuk Province, Korea from October 1990 to February 1992. The egg hatches in spring and the pupoid stage is passed through within the egg shell. The juvenile develops as far as stadium IX by the third year following the birth. Pairing and oviposition take place in the fourth year spring when females are at stadium XI. They seem to live one or two years more after egg-laying. Anamorphosis was observed in this species. Abundance of A. koreanus koreSanus increases from April to May when there appears thefirst peak. It fals gradualy thereafter and the species spends summer months underground from July to September. The second peak appears in October and the activity decreases again in November getting ready to overwinter. The first peak arises from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of 2 and 3 year old overwintered plus newly hatched spring juveniles, and the second from 1 to 3 years old wanderings. Inactivity observed in the species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s appears to be a temporal due to the extreme temperatures.

  • PDF

智異山의 植生과 標高에 따른 노래기類의 分布 (Distribution of millipedes in relation to altitude and flora on mt. chiri)

  • Lim, kil-young;Tae-heung kim;Joon-soo kwa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29-335
    • /
    • 1992
  • Bionomics of diplopodes was studid near chongyongchi in the chiri mountains from sept. 1990 to dec. 1991 by surveying 10 sample sites at 12 occasions. During this period 13 species of diplopodes from 11 genera, 8 families, and 6 orders were collected. Species were more diversed under quercus mongolica followed by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sp. epenerchodus koreanus bifidus, and e. k. koreanus were found in all sample sites and these 6 species have been reported to be distributed throughout south korea. yamasinaium sp., riukiaria semicirculalis, parafontaria koreanus, and sicotanus eurygaster were found only under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ostulated to be related to diet meanwhile other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oil ph, and altitud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r at altitude 700m followed by at 900m, 1, 000m, 800m, 600m, 500m, 1, 100m, 400m, 300m, and 1, 200m in discending order likely due to the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climatic and edaphic affects, disturbance by human, and degree of floral diversity. Species similarity index was highest 0.78 between altitude 500m and 600m sample sites could be grouped into 3, namely first 300m, 400m, second 500m, 600m, 700m, 1, 000m, 800m, 900m, and third 1, 100m, 1, 200m.

  • PDF

잎갈나무통나방의 생활사 (Bionomics of Coleophora obducia (Lepidoptera: Coleophoridae))

  • 신상철;채정석;최광식;박일권;김철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9-171
    • /
    • 2003
  • 일본잎갈나무의 식엽해충인 잎갈나무통나방(Coleophora obducia Meyrlck)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주식물로는 일본잎갈나무만이 확인되었다. 잎갈나무통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중순부터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5월 14일경이었다. 성충 1마리당 포란수는 약 44.5개였으며 1엽당 1개씩의 알을 낳았다. 난기간은 약 2주 였고 유충은 잎 속에다 고치를 틀고 월동하였고 4월 말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천적으로 포식성곤충인 거미류, 개미류 등과 기생성곤충인 기생파리류와 기생벌류가 조사되었다.

버들재주나방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Black-Back Prominent, Clostera anastomosis (L.) (Lepidoptera; Notodonitidae))

  • 강전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98
    • /
    • 1970
  • 1) 버들재주나방은 년 3-4회 발생하는데 제 1회발생은 5월 중순내지 6월 초순경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성충의 평균수명은 숫놈이 5,8일이고 암놈이 5.9일이다. 3) 난기간은 약 4일이고 유충기간은 약 17.2일이며 용 기간은 5-8일이다. 4) 유충의 두폭은 1령기에 0.37mm 이고 최종령기에 2.45mm 이다. 5)실내 조건하에서 유충의 섭식량은 암놈의 경우 $95cm^2$이었고 숫놈의 경우 $60cm^2$이었다. 6) 유충의 배분수는 실내에서 682개이고 야외에서 663개이었다. 7) 배분의 크기는 유충의 영기에 따라 길이가 0.11mm에서 2.46mn, 직경이 0.05mm에서 2,92mm로 변하였다. 8) 암놈 한 마리당 포난수는 400개이며 산란율은 평균 $80\%$이었다.

  • PDF

우리나라에 침입이 우려되는 Fire Ant, Solenopsis geminata (Fabricius) (벌목: 개미과) (A Concerned Pest of Invasion in Korea, Fire Ant, Solenopsis geminata (Fabricius) (Hymenoptera: Formicidae))

  • 이흥식;이인환;류동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7-110
    • /
    • 2008
  • Tropical fire ant로 알려진 Solenopsis geminata (Fabricius)는 열대 및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잡식성 개미로서, 식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물릴 경우 심하게 부어오르고 통증을 유발하는 위생해충으로 유명하며 우리나라에 침입 시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농경지 및 산림에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식물방역법상 관리해충으로 지정된 종이다. 이 개미는 선박을 통하여 항구주위에서 먼저 정착하여 확산되고 있으며, 현재 동남아, 중국남부지역에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에는 수입식물검역 과정에서 검출실적이 1건이었으나 2000년부터 검출빈도가 증가추세에 있어 2006년도에는 7건이 검출되어 국내 침입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동종에 대한 형태, 분포, 기주식물, 생태 등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금후 수입식물검역시 참고하고 국내 침입시 조기 박멸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Studies on Anopheles sinensis, the vector species of vivax malaria in Korea

  • REE Han-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75-92
    • /
    • 2005
  • Extensive previous studies on taxonomy, behavior/bionomics and control of Anopheles sinensis are reviewed and summarized. Recent molecular identification revealed that the population of An. sinensis complex includes An. sinensis, An. pullus, An. lesteri and at least two new species, and An. yatsushiroensis is synonmy of An. pullus. An. sinensis is the main vector specie of vivax malaria in Korea. Larvae of An. sinensis breed in wide range of habitats which are naturally-made clean water, stagnant or flowing; main habitats include rice fields, ditches, streams, irrigation cannals, marshes, ponds, ground pools, etc. Their host preferences are highly zoophilic. Human blood rate is very low ($0.7-1.7\%$); nevertheless An. sinensis readily feeds on man when domestic animals are not found near by. They feed on hosts throughout the night from dusk to dawn with a peak period of 02:00-04:00 hours; they are slightly more exophagic (biting outdoors); much larger numbers come into the room when light is on. Main resting places are outdoors such as grasses, vegetable fields and rice fields. A mark-release-recapture study resulted that $37.1\%$ was recaptured within 1 km, $29.4\%$ at 1-3 km, $21.1\%$ at 3-6 km, $10.3\%$ at 6-9 km and $2.1\%$ at 9-12 km distance. An. sinensis hibernate outdoors (mostly under part of dense grasses) during October-March. At the end of the hibernation period (March-April) they feed on cows at daytime. Until today any single measure to effectively control An. sinensis population has not been found. Indoor residual spray with a long-lasting insecticide can not reduce vector population densities, but shorten their life spans in some degree, so contributes to malaria control.

전북 진안지역 백하수오에 발생하는 십자무늬긴노린재의 생활사 (Bionomics of Tropidothorax cruciger(Motschulsky) on Cynanchum wilfordii Hemsley in Chinan, Chonbuk Probince)

  • 김태흥;임길영;곽준수;김창수;최규환;김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5-169
    • /
    • 2000
  • 야외 포장에서 십자무늬긴노린재의 연중 발생소장 및 월동, 식이 선호성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기별 발생소장은 5월 상, 중순에 월동성충이 출현하여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1세대성충이 출현하고 9월 중순에서 10월 상순에 2세대성충이 출현하였다. 이 2세대성충이 토양 속이나 낙엽밑에서 월동하였다. 십자무늬긴노린재는 백열등(100W), 청광등(BL:20W), 흑광등(BLB:20W)의 유아등에는 모두 유인되지 않았다. 식이 선호성은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와 백하수오(큰조롱)에 기주특이성을 보였다.

  • PDF

마라리아 모개문 Anopheles sinensis Wiedmann 의 생태학적 조사 (Bionomics of Anopheles sinensis Wiedmann in Western Plain Area in Korea)

  • 홍한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22
    • /
    • 1967
  • The routine entomolog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areas of Kaejeon-Myon, OkkuGun, Cholla Pukdo province in 1964 and Sinchang-Myon, Asan Gun, Chungchong Namdo province in 1965,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the anpheline mosquitoes especially of the population density , resting , feedign, and breeding habi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During the investigation , three species of anopheline mosquitoes were recorded ; Anopheles sinensis Wiedmann 1825, A, sineroides Yamada 1935, and A. yatsushiroensis Miyazaki 1951. A . yatsushiroensis Myiyasaki 1951, so far only recorded in Japan,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1964 ; the site was Kaejong Myon, Okku Gun, Cholla Pukdo province. 2. Anopheles mosquitoes begin to appear from the middle of April and disappear in October. The date of mosquitoes collected by resting place collection in cow shed are three weeks ahead to the night time cow biting collection. 3. Resting places of anopheline mosquitoes are mainly in cow shed and outdoors which provides high humidity and shadow. 4. The population density of a. sinensis sows a peak in late June and early July in cow shed and by cow biting collection respectively, and another small peak i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5, . the biting activity at night is throughout the night from dusk to dawn, sharply decreasing just before dawn. The peak period was different in each months, 2100-2200 hours in June, 2300-2400 in July , 0300-0400 in August , and 2300-2400 in September. 6. The minimum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mosquito's biting activity is 15 $^{\circ}C$ and the optimum is between 24-$25^{\circ}C$ : over $25^{\circ}C$ the activity is decreased. 7.A , sinensis appeared to be zoophilic in Sinchang area but 13 times anthrophophilic in Kaejong area than the former. 8. the light attraction of a. sinensis is significantly low in middle June and early August. The parous rate of A. sinensis caught by cow biting collection appeared higher after midnight (2400-0300 hours) with no relation to the peak period of biting activity by mon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