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hazard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4초

자동제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임피던스 평가 (Evaluation of Impedance on Biological Tissues Using Automatic Control Measurement System)

  • 길상형;이무석;김상식;신동훈;이성모;김군도;이종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9-244
    • /
    • 2015
  • 생체 조직은 세포 배열이나 조직 형태 등 다양한 차이에 의해 각각 고유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면 고유의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 본 연구는 방사선 피폭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측정 과정에서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으므로, 실험자의 방사선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LabVIEW를 이용하여 자동제어 측정 시스템을 개발한 후 생체 조직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측정전 후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조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유사한 양상이었다. Impedance/Gain-phase analyzer로 생체 조직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한 결과 변동계수가 10% 미만으로 측정값은 재현성이 있었다. 주파수 변화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중에서 위상차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조직은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임피던스 크기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Contamination of Stream and Reservoir Waters with Arsenic from Abandoned Gold Mine

  • Lee, Jin-Yong;Kim, Hee-Joung;Yang, Jai-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33-40
    • /
    • 2008
  • Levels of arsenic in stream and reservoir waters affected by an abandoned gold mine were examined. The abandoned mine has been left without proper civil and remedial works preventing potential environmental hazards. Field and laboratory chem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ream waters downgradient from the mine area were severely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furthermore the reservoir water, 2-3 km away from the mine, also contained substantial levels of As, far exceeding the Korean stream water standard. Relatively higher pH values (6.5-9.4) enhanced mobility of As and mainly sustained substantial As concentration in waters. Chemistries of the stream water, groundwater and reservoir water were dominated by two main factors including effects of mine effluent and anthropogenic agr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at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As input to the reservoir and the reservoir water has been used for agricultural and domestic uses, immediate remedial works are essentially required.

Biomedical Laboratory: Its Safety and Risk Management

  • Tun, T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5-160
    • /
    • 2017
  • Biomedical laboratory is full of risks. Risk could be biological, chemical, radioactive, mechanical, physical, fire and electrical. All possible risks need to be identified, evaluated and controlled. A risk management system must be in place to prevent accident or loss of lives and to improve overall workplace safety and productivity. Safety in laboratory is a combination of appropriate risk management system, engineering controls and technical facilities, administrative controls and safety procedures and practices. Laboratory safety culture must be developed so that exposure to hazards for laboratory personnel, community and environment will be minimized or eliminated. In this review, importance of safety in a biomedical laboratory and risk management will be discussed.

DNA and DNA-CTMA composite thin films embedded with carboxyl group-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Dugasani, Sreekantha Reddy;Gnapareddy, Bramaramba;Kesama, Mallikarjuna Reddy;Ha, Tai Hwan;Park, Sung Ha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8권
    • /
    • pp.79-86
    • /
    • 2018
  • Although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DNA molecules and carbon nanotubes (CNT) are well known, fabrication method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NT-embedded DNA thin films are rarely investigated. We report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xyl (-COOH) group-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COOH)-embedded DNA and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modified DNA (DNA-CTMA) composite thin films. Here, we examine the structural, compositional, chemical, spectroscopic,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DNA and DNA-CTMA thin films consisting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MWCNT-COOH. The MWCNT-COOH-embedded DNA and DNA-CTMA composite thin films may offer a platform for developing novel optoelectronics, energy harvesting, and sensing applications i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sciences.

전통한과 생산에의 HACCP 모델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HACCP Guidelin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 이제명;박재영;이혜란;이미선;윤선영;정덕화;이종미;오상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HACCP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Prerequisite program and HACCP plan were proposed and analyzed for Yugwa. After analysing hazards of raw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es, CCP, CL and control methods were presen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at the Korean traditional cookies plant. It gave a clue that general sanitation control proced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safe traditional cookie products. Hazard analysis of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determin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and critical limits at the plant lead to present a model of HACCP plan. Implementation of HACCP can be carried out using a HACCP model. Critical control point of Yugwa production were determined as frying process. 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were presented for CCP determination.

냉동 냉면류의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평가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Frozen Korean Cold Noodle, Naengmyeon)

  • 김유정;김혜진;임영은;양혜걸;박슬기;정진숙;엄애선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ological hazard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Naengmyeon.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s and coliforms as well as pathogenic bacteria, were examined from raw materials, manufacturing processes, working area, 17 utensils and equipment. The aerobic plate counts for raw materials and arrowroot starch estimated as 0.77±0.68~5.02±0.28 and 5.02±0.28 log CFU/g, respectively. Coliforms were detected from wheat flour, buckwheat flour, and potato starch.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to be 0.61±1.06 log CFU/g in wheat flour and 0.20±0.35 log CFU/g in buckwheat flo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erobic plate counts for kneading process were 4.54±0.34 log CFU/g. But after the press out and heat process, contamination of aerobic plate counts and coliforms decreased and remained at a low level until the release process. Aerobic plate counts before washing disinfection of screw were 3.28±0.62 log CFU/100 cm2, the level of which was high in utensils and equipment that had contact with employees or water. These results represent not only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hygienic level but also a scientific basis for analyzing biological hazards, which lead to the introduction of HACCP for the production of safe and hygienic cold noodles processed by manufacturers.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모델 개발을 위한 부추 및 생산환경에서의 위해요소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from Korean Leeks and Cultivation Area to Establish the GAP Model)

  • 박상곤;최영동;이채원;정명진;김정숙;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8-34
    • /
    • 2015
  • 부추의 위해요소관리를 위한 GAP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부추 생산과정을 재배전 단계, 재배단계 및 수확 포장단계로 나누어 재배환경 (토양, 용수), 부추, 개인위생 시료에 대해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위생지표 세균 중 일반세균은 토양 6.4~6.7 log CFU/g, 부추 4.6~5.1 log CFU/g, 개인위생 중 손과 장갑에서 각각 최대 3.3 및 5.4 log CFU/hand or $cm^2$으로 검출되었고, 그 외의 시료에서는 2.7 log CFU/g (or mL, hand, $100cm^2$) 이하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토양 3.9~4.2 log CFU/g, 부추 4.8~5.0 log CFU/g으로 부추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 cereus만 용수를 제외한 시료에서 0.5~4.6 log CFU/g (or hand,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곰팡이의 경우도 용수와 일부 작업도구를 제외한 시료에서 2.1~3.8 log CFU/g (or hand,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토양과 닿아 있는 부추에서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게 확인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미생물의 오염도가 높은 토양으로부터 교차오염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추의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토양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토마토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모델 확립을 위한 재배단계 위해분석 (Hazard Analysis of Tomato Farms at the Growing Stag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 박수희;권우현;허록원;김경열;심원보;심상인;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2-1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경남에 소재한 토마토 토경재배농장 3곳 (A, B, C)과 양액재배농장 3곳 (D, E, F)을 대상으로 토마토 재배단계의 재배환경과 개인위생에 대하여 생물학적 및 화학적 (중금속)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재배환경에서 위생지표세균의 경우 토경재배농장의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최대7.2 및 6.1 log CFU/g 검출되었고, 관개용수에서는 1.7 log CFU/mL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E. coli의 경우 B농장의 토양에서만 1건 검출되었다. 양액재배농장의 양액과 관개용수에서는 일반세균만 최대 1.4 및 1.8 log CFU/mL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개인위생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토경재배농장에서는 0.4-4.6 log CFU/hand, 100 $cm^2$ 수준으로, 양액재배농장에서는 0.4-5.4 log CFU/hand,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B. cereus만 토경재배농장의 토양에서 최대 4.4 log CFU/g, 관개용수에서 0.5 log CFU/mL, 개인위생에서 1.0-2.9 log CFU/hand, 100 $cm^2$ 검출되었고, 양액재배농장의 개인위생에서 0.5-2.8 log CFU/hand,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Cu, As, Hg, Pb, Cr, Zn 및 Ni)은 분석 결과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 또는 불검출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마토의 재배단계에서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위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종산물로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의 위해요인 분석 및 중요관리점 설정 (Hazard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CCPs for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Saengshik)

  • 김동주;하상도;류경;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32-1040
    • /
    • 2004
  • 생식은 건강 지향적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최근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나, 업체의 영세성에 따른 위생관리가 미비하며 제조공정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식의 위생적 생산을 위한 생식 생산 공정의 HACCP 일반모델을 개발을 위해 생식 원료의 세척에서부터 최종제품 포장까지 각 제조공정별로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요인의 위해요인을 분석하고 중요관리점(CCPs)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원료의 세척부터 최종제품 포장까지 각 제조공정별로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요인의 위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생식원료의 오염수준은 $2.82-8.23\;{\log}_{10}\;CFU/g$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었으며, 또한 $1.40-6.57\;{\log}_{10}\;CFU/g$의 coliforms이 검출되었다. 최종제품 중 일반세균수는 $1.51-7.40\;{\log}_{10}\;CFU/g$이 검출되었다. 제조공정 중 미생물 수 변화는 모든 원료에서 공정별로 유사한 패턴을 보여 주었는데 세척과 동결건조공정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은 감소하였다. 물리적 요인인 이물 혼입과 화학적 요인인 수분함량의 변화가 위해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생식의 제조공정 중 CCP는 미생물 감소를 위한 세척 단계, 수분 관리를 위한 건조단계, 그리고 금속 등 이물질의 혼입단계로 설정되었다.

1998 - 2008 발생한 식품안전관련 사건.사고 분석 (The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from 1998 to 2008 in Korea)

  • 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2-168
    • /
    • 2009
  • 식품안전관련 사건 사고는 점차 대형화되면서 지속적으로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 1월부터 최근 2008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식품안전사건사고와 관련하여 다양한 언론매체에서 발표된 자료를 수집하고 그 발생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1,206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중복내용과 순수 식품안전사건 사고와 관련이 없는 부분을 제외하면 약 11년간 총 569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연도별로 보면 평균 51.7건이, 월별로 보면 평균 4.9건이 발생하였다. 주요 원인식품군에 있어 수산식품과 식육 및 육가공품, 과자류, 음료류, 특수영양식품군, 다류, 면류, 장류, 우유 및 유제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유형에 있어서는 즉석섭취편의식품, 육류, 과자, 건강보조식품, 침출차, 영아용 조제식 및 육가공품, 인삼제품,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해요소(원인물질)별로는 화학적 위해요소가 247건(43.4%)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이 생물학적 위해요소로 126건(22.1 %), 물리적 위해요소는 97건(1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해요소의 발생단계에 대한 분석을 보면, 원료차원에서 가장 많은 364건(64%)이 발생하였고, 다음이 제조가공단계로 151건(26.5%), 유통 및 판매단계가 44건(7.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자료의 정리 및 분석은 추후 식품안전정책 및 HACCP의무적용 등에 있어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품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