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urcation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2초

환자 특정 경동맥 분기부 모델 혈류유동에 대한 입구부 이차곡률의 영향 (Influence of Inlet Secondary Curvature on Hemodynamics in Subject-Specific Model of Carotid Bifurcations)

  • 이상욱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9-486
    • /
    • 2011
  •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한 경동맥 분기부 혈류유동장 전산유체역학 해석의 수행에 있어 입구부 경계 조건 도출을 위한 환자 특정 시간 변동 상세 유속 분포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경우 계측된 혈류량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축대칭 완전발달 유속 분포를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MRI로 직접 계측한 총경동맥 혈류 유속분포를 적용한 기존의 연구에서 입구부 유속분포 경계 조건이 경동맥 분기부 혈류 유동장 해석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으며, 특히 계측된 혈류 유속분포가 전형적인 Dean type 유동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유속 분포가 경동맥 입구부 형상의 이차곡률에 의해 생성됨을 보이고, 직접 경동맥 분기부 유동장 CFD 해석의 경계 조건으로 적용하여 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충분한 길이의 실제 경동맥 입구부 형상을 적용 할 경우, 입구부 경계 조건의 영향이 의료영상으로 부터 혈관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기되는 영상 처리 오차에 의한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ICG 망막영상에서 국부적 특징점 분석에 의한 혈관의 자동 추적 (Automatic Tracking of Retinal Vessels by Analyzing Local Feature Points in IndoCyanine Green Retinal Images)

  • 임문철;김우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3호
    • /
    • pp.202-210
    • /
    • 2002
  • 최근 수년 동안 의료영상에서 혈관의 추출 및 재구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망막혈관 구조의 분석은 망막에 관련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ICG(Indocyanine Green) 기술에 의해 촬영된 망막영상에서 전체 망막혈관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각 혈관의 기울기크기 단면도(profile)로부터 국부적 최대점들(local maxima)과 처리방향을 평가하여 혈관의 외형과 중심을 추출하며, 국부적 최대점들의 방향성분을 비교하여 혈관의 분기점 및 교차점을 감지한다. 본 알고리즘을 환자의 ICG 망막영상에 적용하여 전체혈관이 자동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정확성과 연결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실험결과로 제시하였다.

형태학 정보와 개선된 롤링 볼 알고리즘을 이용한 폐, 기관지 및 폐혈관 자동 분할 (Automatic Segmentation of Lung, Airway and Pulmonary Vessels using Morphology Information and Advanced Rolling Ball Algorithm)

  • 조준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173-181
    • /
    • 2014
  • 본 논문은 흉부 CT에서 폐, 기관지 및 폐혈관을 자동으로 분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단계로 진행된다. 첫째는 최적 임계값과 3차원 레이블링을 통한 영역성장법으로 폐 및 기관지를 분할한다. 둘째는 기관지의 형태학적 정보를 활용하여 기관지의 첫 번째 분기점(용골)까지는 차감연산으로, 이후부터는 가변적 임계값 기법을 적용하여 기관지를 분할한다. 셋째는 폐에 대한 복원 과정으로 좌/우측 폐를 분리하고, 개선된 롤링 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폐 외곽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이상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제거하고, 2차 다항식 형태로 폐 외곽을 연결시킴으로서 정상적인 폐로 복원한다. 마지막으로 폐혈관은 임계 값 기법의 3 차원 레이블링과 3 차원 영역성장법을 적용하여 분할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폐 주변조직의 손실 없이 정확하게 분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알몸짓을 통한 본초(本草)의 연구방법(硏究方法) 제안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Herb Through Hanalmomjit(한알몸짓))

  • 이정원;김경철;박상환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4-145
    • /
    • 2004
  • Qi. in ancient east Asian Philosophy and medicine, was the quintessential concept symbolizing material orgin of the world. It was considered as the original matter of the world, and the genesis, development and extinction of everything in heaven and earth was explained through the movement of Qi. Despite its importance, the interpretation of Qi has brought about various bifurcations in the history of Oriental medicine. It is comprehended either as ideal concept, or as actual entity. Also, there exists synthetic idea of considering both sides of Qi. These ideas results from obscure understanding based on textual interpretation apart from actual experince. When experincing Qi through discipline, however, man can understand Qi concretly and actually and even grasp the explanation of the cosmos and life. One problem of Qi discipline was that it couldn't ascend the stage of subjective experience. Now, with the method of 'Hanalmomjit'. a developed form of zifadonggong(自發動功), I could reach coherent results to offer the foundation of objective understanding of Qi. The testees, disciples of Hanalmomjit, could express the characters of herbs in their Qigong actions, and the expression was meaningful and coherent to be considered as expressing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classics of herbalogy. This result comes from the capacity of grasping external Qi-status, not only expressing the internal communication of jingluo(經絡) in Hanalmomjit.

Comparison of the second and third intercostal spaces regarding the use of internal mammary vessels as recipient vessels in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An anatomical and clinical study

  • Seong, Ik Hyun;Woo, Kyong-J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33-339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atomical features of the internal mammary vessels (IMVs) at the second and third intercostal spaces (ICSs) with regard to their use as recipient vessels in deep inferior epigastric artery perforator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Methods A total of 38 consecutive DIEP breast reconstructions in 36 patients were performed using IMVs as recipient vessels between March 2017 and August 2018. The intraoperative finding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natom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ntraoperative measurements and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ic images. Results CT angiographic analysis revealed the mean diameter of the deep inferior epigastric artery to be 2.42±0.27 mm, while that of the deep inferior epigastric vein was 2.91±0.30 mm. A larger mean vessel diameter was observed at the second than at the third ICS for both the internal mammary artery (2.26±0.32 mm vs. 1.99±0.33 mm, respectively; P=0.001) and the internal mammary vein (IMv) (2.52±0.46 mm vs. 2.05±0.42 mm, respectively; P<0.001). Similarly, the second ICS was wider than the third (18.08±3.72 mm vs. 12.32±2.96 mm, respectively; P<0.001) and the distance from the medial sternal border to the medial IMv was greater (9.49±2.28 mm vs. 7.18±2.13 mm, respectively; P<0.001). Bifurcations of the IMv were found in 18.4% of cases at the second ICS and in 63.2% of cases at the third ICS. Conclusions The IMVs at the second ICS had more favorable anatomic features for use as recipient vessels in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than those at the third ICS.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맥동 불안정성의 비선형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s of Nonlinear Behaviors of Pulsating Instabilities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이수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9호
    • /
    • pp.859-866
    • /
    • 2010
  •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확산-전도 불안정성에 의한 맥동불안정성의 비선형 거동을 수치 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Lewis 수를 1보다 충분히 크게 두고 일차원 준정상상태의 화염의 해로부터 Damkohler 수를 섭동시켜 시간에 따른 화염의 전개를 계산하였다. 맥동 불안정성에 의한 비선형 화염전개는 세 가지 다른 형태, 즉 교란이 점점 감소되는 경우, 교란이 증폭되어 안정된 주기적 진동이 일어나는 경우, 그리고 교란이 계속 증폭되어 화염이 소염되는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치를 받지 않는 화염의 결과와 달리 대향류 유동장의 화염에서는 안정된 한계순환 맥동 불안정이 존재하였다.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화염 전개를 보이는 임계 Damkohler 수를 계산하여 동적 소염이 일어나는 영역을 표시하였고, 이는 층류소화염의 국소소염 계산에 이용될 수 있다. 불안정성이 나타나는 갈래질의 구조는 초임계 및 임계이하 Hopf 갈래질로 나타났다. 특정한 Damkohler 수의 영역에서 안정된 한계 순환 갈래질이 나타났으며, 화염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역이 축소되어 안정된 한계순환이 일어나는 영역은 사라지고 불안정한 한계순환 갈래질이 나타났다. 안정된 한계순환 영역이 확장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이는 단순한 한계순환 불안정성이 주기배증에 의한 Rossler 갈래질이 나타나면서 한계 영역이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