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er student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2초

악화환자 인지 및 대응을 위한 시뮬레이션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과 간호수행: 후향적 혼합연구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and Performance in Simulation of Recognizing and Responding of the Deterioriating Patient ; a retrospective mixed-methods)

  • 하이경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2-53
    • /
    • 2023
  • Purpose : This retrospective mixed-methods study aimed to explore key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simulated education in nursing,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recognition and response to deteriorating patients. Methods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assess the clinical judgment and performance of the nursing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quantitative data related to prior knowledge, simulation satisfaction, clinical judgment, and nursing performance during deteriorating patient simulation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flective journal entries of the participants. Results :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demonstrated a "being skillful" level of clinical judgment (33.1%) in effective response. At the beginner level, clinical judgment varied across effective noticing(39.7-82.8%), effective interpretating(77.6-82.8%), effective responding(3.4-86.2%), and effective reflecting(90.0-95.4%). Nursing performance in assessing patient respiration or SpO2 after request from a physician ranged from 46.6-48.3%.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48.5% of the participants anticipated a deteriorating condition and initiated appropriate actions, while 70% noticed patient unresponsiveness for the first time. Conclusion : To design an effective simulation program for identifying and addressing deteriorating patient care, a framework for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is essential, along with regular simulated training.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assess simulation programs and to conduct thorough interviews with nursing students to gain insight into their clinical decision-making.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PBL System for ICT Training)

  • 안성훈;구본주;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141-1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특성과 모형을 탐색한 후 6개의 구성요소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학습 안내, 학습 문제, 모둠 학습실, 학습 결과, 학습 도우미, 자유 게시판 등 6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실제 ICT 활용 초급자에게 적용한 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이 기존의 off-line 강의식 수업 방식에 비해 워드프로세싱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습 흥미도, 토론 참여도, 맞춤 클리닉 활용도, 학습자의 태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의무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ementary·Middle integrated school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ese Integrated Schools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32
    • /
    • 2019
  •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초·중 통합학교 형태인 의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교 발달단계별 학급교실의 공간 구성과 배치 특성을 도출하였고, 초·중 통합 활용전용 공간과 공동 활용 교과교실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 급별 학년별 교과교실 연계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교실 배치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초·중 통합학교 공간 배치 구성 방향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체성감각 처치를 초보자에게 적용한 케틀벨 투암 스윙의 운동역학적 효과 비교: 관절 가동범위와 근활성도를 중심으로 (Biomechanical Comparisons of Kettlebell Two-arm Swings according to Somatosensory Interventions for Beginners: Focusing on Joint Ranges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s)

  • Back, Yei-Chang;Kim, Young-Kwa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mechanical comparisons of kettlebell two-arm swings after different somatosensory interventions on joint ranges of motion (ROM) and muscle activations. Method: Fourteen kettelbell novices (age: $22.92{\pm}3.23yrs$, mass: $75.75{\pm}9.94kg$, height: $172.03{\pm}5.49cm$), consisting of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erformed two-arm kettlebell swings in different conditions. Three different somatosensory interventions were the applications of heavy mass kettlebell (20 kg), taping on gluteus muscles, and unstable mat condition. All subjects performed pre-intervention swings and post-intervention swings,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results of joint kinematics and electromyographies of major muscles. Results: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ROM of hip and decreases in ROM of shoulder after unstable mat trial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unstable mat during kettlebell swings induced higher muscle activations in gluteus maximus muscle during only upward phase of two-arm kettlebell swings. Conclusion: For beginner, the application of unstable surface would increase in hip joint ranges of motion with enhancement of gluteus muscles.

인공지능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사고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AI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AI Literacy)

  • 이주영;원용호;신윤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2-1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AI literac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beginner. This program consists of 17 session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BCDE" model and is a project-based program. This program was conducted on 5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36 respondent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in R languag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ethics, understanding, social competency, execution plan, data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of AI liter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s very large prac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rogram provided learners experienc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s and principles,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AI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AI literacy should be designed based on AI thinking.

변형된 상금 분배 문제의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의 사고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Think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Modified Prize-Sharing Problem Solving Process)

  • 김우현;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2호
    • /
    • pp.317-333
    • /
    • 2009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파스칼과 페르마의 상금 분배 문제'를 변형하여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에게 제시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집단의 수준별 사고특성과 또래 학생들과의 토론과정에서 변화해가는 개인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변형한 문제는 원문제보다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답을 도출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는데, 선행 연구 및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하여 얻은 10가지의 답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나타나는 수학영재들의 사고 특성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소속한 집단의 수준별로 해법의 유형에는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개별 학생이 문제 해결 과정이나 사고 수준에 있어도 그 특성이 뚜렷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일어날 상황만을 고려하여 상금을 분배하려는 생각보다는 일어난 결과와 일어날 상황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수준이 높은 영재집단에서도 토론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논의가 도출되어 어느 한 가지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확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좋은 토론과제였다.

  • PDF

케어매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Care Manager Education)

  • 정민영;손명동;박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4-1069
    • /
    • 2009
  • 고령화 사회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 가족,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케어인력 양성과 그 중에서도 특히 케어매니저(Care Manager) 양성과 이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케어매니저(care manager)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전 과정에 개입하여 대상자들에게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중심적인 인력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케어매니저 교육대상자를 신규 교육대상자, 기존 경력자로 분류하고, 교육과정을 각각 이론, 실기 및 현장실습으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경우에 합당한 교육 과목 및 시간을 배정하여 교육한 후, 필기시험을 거쳐 인증하는 과정을 밟는 캐어매니저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 PDF

알고리즘 교육을 통한 비버챌린지 결과 분석 (Analysis of Bebra Challenge Results through Algorithm Education)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65-72
    • /
    • 2019
  • SW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버챌린지 2018 체험하기와 도전하기 그룹III의 과제를 초등학교 5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평균점수 비교, 스마트폰 보유여부,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 학업능력 요소와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험하기 점수에 비해 도전점수의 평균, 정답률, 난이도별 정답률 모두 높아졌고,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가 높을수록 도전점수가 높아졌지만, 스마트폰 보유여부와 학업능력 요소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난이도가 어려운 과제에서는 인내심 요소가, 난이도가 보통인 과제에서는 컴퓨터 친숙도 요소가, 난이도가 쉬운 과제에서는 집중도 요소가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추후 분석대상과 그룹 범위를 넓혀 평가영역도 추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두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지향과 현실의 갈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Class Orientation and Realit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한문현;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10-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과학 수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지향을 추구하는지, 실제로 마주한 현실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어떻게 좌절과 실패를 극복해 나가는지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초임교사인 박 교사와 최 교사의 과학 수업 실천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교사는 학습자 중심의 탐구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교사 주도로 수업을 하게 되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최 교사는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스캐폴더가 아닌 지식 전달자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의 지향을 포기하거나 좌절에 머물기보다는 각자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지향에 다가가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의 과학 수업 지향이 잘 구현되지 않을 때 초임교사가 어떠한 전략을 만들어 가는지 이해함으로써 예비교사에서 교사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끌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troducing Smart Learning Framework in the Digital World: Towards the Enhancement of Technology-Driven Innovation of Arabic Smart Learning

  • Alkhammash, Eman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331-337
    • /
    • 2022
  • Smart learning is augmented with digital, context-aware, and adaptable technologies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better and faster. To ensure that digital learning is successful and that implementation is efficient, it is critical that the dimensions of digital learning are arranged correctly and that interactions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are merged in an efficient and optimal manner. This paper builds and discusses a basic framework for smart learning in the digital age, aimed to improve students' abilities and performance in learning.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five dimensions: Teacher, Technology, Learner, Digital content, and Evaluation. The Teacher and Learner dimensions operate on two levels: (a) an abstract level to fit in knowledge and skills or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 a concrete level in the form of digital devices used by teachers and learners. Moreover, this paper proposes asynchronous online course delivery model. An Arabic smart learning platfor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se smart learning core dimensions and the asynchronous online course delivery model, because despite the official status of this language in many countries, there is a lack of Arabic platforms to teach Arabic. Moreover, many non-native Arabic speakers around the world have expressed an interest in learning it. The Arabic digital platform consists of over 70 lessons classified into three competence level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delivered by Arabic experts and Arabic linguists from various Arab countries. The five dimensions are described for the Arabic platform in this paper. Learner dimension is the Arabic and non-Arabic speakers, Teacher dimension is Arabic experts and Arabic linguistics, Technology dimension consists of technology for Arabic platform that includes web design, cloud computing, big data, etc. The digital contents dimension consists of web-based video, records, etc. The evaluation dimension consists of Teachers rating, comments, and surve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