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ementary·Middle integrated school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ese Integrated Schools -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의무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2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layout have been analyzed focusing on the case of compulsory schools, which are the form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in Japan. Thu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elementary·middle students, w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tructure and layout of the classrooms of each class. and derived spatial arrangement of private and shared space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room collaboration by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derived a desirable subject classroom placement plan, and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 of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space layout composition.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초·중 통합학교 형태인 의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교 발달단계별 학급교실의 공간 구성과 배치 특성을 도출하였고, 초·중 통합 활용전용 공간과 공동 활용 교과교실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 급별 학년별 교과교실 연계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교실 배치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초·중 통합학교 공간 배치 구성 방향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숙, 소규모학교 통폐합 효과분석에 의한 농산어촌 학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2. 김현주, 소규모통합운영학교의 교육시설 개선방안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3. 남정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2000
  4. 성열관 외 2인, 이슈페이퍼(저출산시대 도래에 따른 통합학교 교육과정 효율적 편성. 운영 방안 연구), 교육부, 2019. 04
  5. 이기영, 지역특성을 고려한 소규모학교의 적정규모화 정책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7
  6. 임성모, 통합운영학교 실태분석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08
  7. 홍후조 외, 초.중등 통합운영학교의 효율적 운영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초.중 통합학교 통합운영 연구위원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