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leaf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Synchrotron X-ray 미세영상기법을 이용한 식물 목질부 내부 수액 유동의 계측 (Flow Measurement in Xylem Vessels of a Bamboo Leaf Using Synchrotron X-ray Micro Imaging)

  • 김양민;이상준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6
    • /
    • 2003
  • Synchrotron X-ray micro imag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non-invasively monitor the water flow inside xylem vessels in a bamboo leaf. The phase contrast X-ray images clearly visualized plant anatomy and the rise of a water front inside the vessels. Consecutive X-ray images taken for 60 seconds revealed water rise kinetics against gravity in the xylem of a cut dry leaf taken from a bamboo tree. For the first time, traces of water rise, variation of contact angle between water and xylem wall as well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xylem were obtained. In xylem vessels, a repeating flow pattern has a typical flow velocity of $30.7{\mu}m/s$ and faster flow is established intermitt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transmission type of X-ray micro imaging can be used as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the ascent of sap in the xylem vessels at a resolution higher than that of MRI.

  • PDF

A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Bamboo Leaf Water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 Shin, Dong-Ho;Jang, Pan-Gu;Oh, Ki-Seok;Kim, Jae-Ha;Chung, Hee-Jong;Kim, Jong-C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3호
    • /
    • pp.200-203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cute toxicity of bamboo leaf water extract by a single oral dose in Sprague-Dawley rats. Twenty male and female rats aged 5 week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of 5 rats each and were administered singly by gavage at dose levels of 0, 1250, 2500, or 5000 mg/kg body weight.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the l4-day perio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14-day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gross postmortem examinations were perform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no treatment-related deaths were observed.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clinical signs, body weight, and gross finding at any dos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bamboo leaf water extract did not induce any toxic effect at a dose level of below 5000 mg/kg in rats and that the minimal lethal dose were considered to be over 5000 mg/kg body weight for both sexes.

매염제 처리가 대나무잎과 솔잎 추출물로 염색한 직물의 물성 및 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rda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Primary Hand Values of Fabrics Dyed with Bamboo and Pine Leaf Extracts)

  • 이정순;우효정;정고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8-659
    • /
    • 2012
  • This research categorizes fundamental data needed to develop eco-friendly fabrics treated with bamboo leaf & pine leaf extracts. The effect of mordant on those fabrics was analyz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estimation of primary hand values for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bamboo leaf and pine leaf extracts that were later treated with various mordants. When cotton was dyed with bamboo leaves and pine leaves extracts, EM, WT, 2HB, 2HG, 2HG5, LC, T, and W increased however, RT, SMD, and RC decreased compared to raw cotton fabric. The B, G, and MIU increased after mordant treatment to the dyed cotton and resulted in a stiffer and rougher cotton's hand. EM, WT, RT, MIU, WC, T, and W increased (in terms of silk); however, LT, B, 2HB, G, 2HG, 2HG5, MMD, SMD, and LC decreased compared to raw silk fabric. Similar to the dyed cotton, mordant treatment increased the MIU and LC of dyed silk subsequently, the hand became stiffer and rougher. A greater tannin adsorption results in an increased mechanical property and the primary hand value. For both fabrics, mordant treatment made its smoothness drop. However, the scale of drop for cotton was significant, while the scale of the drop for silk was minor. In terms of type of mordant, femordant and natural-mordant treatment influenced the tensile, shear, surface properties of fabrics, and primary hand values more than Cu-mordant and synthetic-mordant in addition, this increased the stiffness, hardness, and roughness of fabrics.

미세 댓잎분말의 개발 및 색의 안정화 (Development of Fine Bamboo Leaf Powder and Its Color Stability)

  • 김지명;노준희;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5-412
    • /
    • 2015
  • To develop a color stable and fine bamboo leaf powder (BLP) as a functional green biomaterial, bamboo leaf (BL) purchased from Sasa borealis and cultivated in Damyang, Jeonnam was treated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BLP was evaluated. The four treatments comprised of boiling in water, in zinc chloride, sodium bicarbonate, and vinegar solutions, BLP4 was treated with 2% $ZnCl_2$ for 1 h, BLP5 was treated with 1% $ZnCl_2$ for 2 h, and BLP6 was treated with 1% $ZnCl_2+10%$ NaCl for 1 h.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sh content, water binding capacity, and color change after heating in acidic solution were compared to commercial fine green tea (GTP) and bamboo leaf powders (CBLP). The particle size (cumulative 90%) of BLP was finest in BLP4 followed by BLP6 < BLP5 < GTP < CBLP.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GTP was the highest and that of BL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ticle size. After heating in acidic solution, the color of commercial GTP and CBLP changed from bright green to olive green, but the treated BLPs remained bright green. Especially, the -a (greenness) values for the commercial powders decreased from 11.2-13.6 to 3.1-3.8, while those of the treated BLPs did not change.

Synchrotron X-ray 미세영상기법을 이용한 식물 목질부 내부 수액 유동의 계측 (In Vivo Visualization of Flow in Xylem Vessels of a Bamboo Leaf Using Synchrotron X-ray Micro Imaging Technique)

  • 김양민;이상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11호
    • /
    • pp.1612-1617
    • /
    • 2003
  • Synchrotron X-ray micro imag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non-invasively monitor the water flow inside xylem vessels in a bamboo leaf. The phase contrast X-ray images clearly visualized plant anatomy and the rise of a water front inside the vessels. Consecutive X-ray images taken for 60 seconds revealed water rise kinetics against gravity in the xylem of a cut dry leaf taken from a bamboo tree. For the first time, traces of water rise, variation of contact angle between water and xylem wall as well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xylem were obtained. In xylem vessels, a repeating flow pattern has a typical flow velocity of 30.7$\mu\textrm{m}$/s and faster flow is established intermitt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transmission type of X-ray micro imaging can be used as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the ascent of sap in the xylem vessels at a resolution higher than that of MRI.

왕대, 조릿대, 오죽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신경염증제어 활성 및 지표성분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icin의 함량 비교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three different species of Bamboos in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containing caffeic acid, p-coumaric acid and tricin)

  • 김연숙;조덕연;김미경;최동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6-3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대나무 중 3종(왕대, 조릿대, 오죽)의 죽엽을 4종의 추출용매(물, 30% 주정, 70% 주정, 100% 주정)를 이용하여 추출 후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 탐색, 신경염증 억제 효과 및 HPLC-UV 분석 방법에 의한 3가지 지표성분(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Tric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RAP 방법과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였으며, 3종의 대나무 중에서는 오죽 추출물이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FRAP 방법,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또한 오죽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Caffe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물추출물이 6.247±0.049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p-coumar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70% 주정추출물이 10.931±1.467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오죽의 100% 주정추출물이 9.374±1.140 ㎍/m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종 죽엽의 물추출물을 제외한 주정추출물은 모두 p-coumaric acid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ric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또한 물추출물에서는 함량이 낮았으나, 70% 주정추출물이나 100% 주정추출물은 3종의 죽엽추출물 모두에서 3.094±0.875-5.233±2.698 ㎍/mg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LPS를 사용하여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3종의 죽엽추출물(70% 주정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죽엽추출물이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신경염증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뇌 신경질환의 치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mboo Charcoal and Bamboo Leaf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Chickens)

  • 김성환;이인철;강성수;문창종;김성호;신동호;김형진;유진철;김종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05-810
    • /
    • 2011
  • 본 연구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0일간 각각 0.5%의 농도로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에서 시험기간 중 사망률은 대조군에 비해 낮아진 반면, 출하 시 체중과 증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사료효율도 개선되었으며, 계육의 전단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숯을 급여한 닭에서의 지방함량은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경향을 나타낸 반면, 대숯과 대잎을 급여한 닭에서의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육의 관능검사 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선호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혈액 및 혈청생화학 검사항목에서는 대조군과 시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시험결과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사료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첨가제로서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유용성과 개발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대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및 항균활성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sp.) Extracts)

  • 김낙구;조숙현;이상대;류재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75-480
    • /
    • 2001
  • 대나무의 추출물을 3$^{\circ}$Brix로 조정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줄기가 1.0~1.5%였고, 잎은 3.1~3.2%로 잎의 추출수율이 줄기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대조구인 죽력이 86%, BHT 93%, BHA 95%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맹종죽 62%, 솜대 55%, 왕대 52%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잎 추출물에서는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잎 추출물이 줄기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는데, 맹종죽 63%, 왕대 57%, 솜대 55%의 순이었고, 줄기 추출물은 솜대와 왕대가 모두 10%를 나타내었으나, 맹종죽에서는 그 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물의 항균환성은 주요 식중독균 중 그램 양성균 3종과 음성균 4종으로 시험하였는데, 전 죽종의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균주중 Stapfylococcus aure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솜대줄기와 맹종죽잎의 추출물의 경우 이들 균주에 대해 100${\mu}\ell$/disc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 PDF

고도와 수관부 유무가 제주조릿대 군락과 소비자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ion and canopy openness on a dwarf bamboo (Sasa quelpaertensis Nakai) vegetation and their consumer communities)

  • 이진;이재영;장범준;정길상;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249-25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라산을 포함한 제주도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가 서식지 고도와 수관부 개폐 여부에 따라서 나타나는 식물의 생태학적 특성과 소비자 군집 다양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았다. 고도와 상부 식생의 유무에 따라 제주조릿대 군락 네 지점을 선정한 후 각 지점에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 식물 특성 그리고 소비자 군집 다양성을 통하여 삼중영양 상호작용(Tritrophic interaction)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도가 증가하면서 상부 식생이 없어지고 제주조릿대의 잎 면적, 수분함량, 질소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밀도와 C/N함량은 증가하였다. 상부 식생이 존재할수록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은 더 좋아졌으며 이를 기주로 하는 초식곤충과 포식자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제주조릿대의 생육조건은 고도에 따른 주변 수관부 개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은 소비자 군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식품보존에 이용된 식물의 천연보존료 함유량 연구 (A study of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ild plants)

  • 백경아;강현각;신명희;박종진;김종대;박성민;이미영;임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5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