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last water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4초

Effects of Increased CO2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Four Diatom Species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idymus, Skeletonema costatum and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in Laboratory Experiments

  • Hyun, Bonggil;Choi, Keun-Hyung;Jang, Pung-Guk;Jang, Min-Chul;Lee, Woo-Jin;Moon, Chang-Ho;Shin, Kyoungs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03-1012
    • /
    • 2014
  • We examined the combined impacts of future increases of $CO_2$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four marine diatoms (Skeletonema costatum,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idymus,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The four strains were incubat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present ($pCO_2$: 400ppm, temperature: $20^{\circ}C$), acidification ($pCO_2$: 1000ppm, temperature: $20^{\circ}C$), global warming ($pCO_2$: 400ppm, temperature: $25^{\circ}C$), and greenhouse ($pCO_2$: 1000ppm, temperature: $25^{\circ}C$) conditions. Under the condition of higher temperatures, growth of S. costatum was suppressed, while C. debilis showed enhanced growth. Both C. didymus and T. nodenskioldii showed similar growth rates under current and elevated temperature. None of the four species appeared affected in their cell growth by elevated $CO_2$ concentrations. Chetoceros spp. showed increase of pH per unit fluorescence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s, but no difference in pH from that under current conditions was observed for either S. costatum or T. nodenskioeldii, implying that Chetoceros spp. can take up more $CO_2$ per cell than the other two diatoms. Our results of cell growth and pH change per unit fluorescence suggest that both C. debilis and C. didymus are better adapted to future oceanic conditions of rising water temperature and $CO_2$ than are S. costatum and T. nodenskioeldii.

자동역세척 여과장치를 이용한 선박 밸러스트수 처리 (Development of Automatic Backwashing Treatment System for Ballast Water)

  • 박상호;임재동;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5
    • /
    • 2005
  • 선박에서 발생되는 밸러스트수를 전처리하기 위하여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오염물질과 수중생물체를 자동역세척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전처리의 장점은 입자상이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후처리공정의 처리효과를 높이는데 있다. 여과필터를 회전하여 20RPM 에서는 40.5cmHg이고 40RPM 에서는 36.6cmHg이며 60RPM 이상에서는 35cmHg로 나타나 연속적으로 여과할 수 있었다. 필터의 막힘현상으로 역세 회복압력과 역세간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금씩 좁아지고 처리유량도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회분식 여과처리공정은 자동 역세척을 수행하는 공정에 비해서 처리효율의 저하가 일어났다. 여과처리를 통하여 $80{\mu}m$이상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수중생물체를 제거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밸러스트수 처리에 적용 가능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선박평형수 처리용 자외선 램프 및 안정기 개발 (Development of an Ultra-Violet Lamp and a Ballast for Ship's Ballast Water Treatment)

  • 천상규;박대원;길경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5호
    • /
    • pp.675-6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의 핵심부품인 중압 자외선 램프와 자기식 안정기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자외선 램프의 최적 방전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봉입되는 아르곤 가스와 수은량 변화에 따른 전기 광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제작 램프의 전압은 490 [V], 전류는 8.6 [A], 전력은 4.0 [kW]이며, 자외선 세기는 현재 사용되고 동등한 제품과 비교해 15 [%] 이상 향상되었다. 자기식 안정기는 이론적 해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UI 코어를 사용한 단상 내철형으로 설계하였으며, 무부하 전압은 920 [V]이고 정격출력은 8.5 [kVA]이다. 시제작 자외선 램프 및 안정기를 적용한 350 [$m^3/h$]급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에서 해수에 포함된 플랑크톤 사멸률을 평가한 결과 99.99 [%] 이상으로 IMO에서 정한 규정을 만족하였다.

Numerical Analysis on Freezing in the Ship Voyaging in Polar Regions

  • Kang, Ho-Keun;Kim, Ki-Pyoung;Ahn, Soo-Whan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0-37
    • /
    • 2013
  • For vessels operating in the cold climate regions, the ballast water inside or hopper tanks above the waterline may be frozen, starting at the top of the tank and at the side walls. Therefore, countermeasures against freeze-up of the ballast tank such as air-bubbling system, hot steam injecting system, heating coil system and water circulating system are taken to prevent freeze-up phenomenon; however, there are no rigorous investigations of anti-freezing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systems against freeze-up of the ballast tank, in which the temperatures are about -$25^{\circ}C$ (ambient air temperature) and $0^{\circ}C$ (sea water), respectively. In this paper, to ensure reasonable specifications for cold regions if the measures from the above-mentioned systems against freeze-up are effective, the phenomenon of ballast tank freeze-up is simulated and discussed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With the results using the commercial CFD code, CFX 14, the most cost-effective solution is conducted to prevent being frozen along the outer surface.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IMO 승인 절차 고찰 (Consideration of the Procedure for IMO Approval of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that Make Use of Active Substances)

  • 김은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4-220
    • /
    • 2008
  •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에서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IMO가 제정한 절차에 따라 IMO로부터 승인을 받아야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협약에서 활성물질이란 유해 수중 생물과 병원균에 대하여 바이러스나 균류를 포함한 일반적인 또는 특정한 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생물을 말한다고 되어 있다. IMO 해양환경 보호위원회에서는 2008년 10월까지 13개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기본승인을 부여하였고 4개의 처리장치에 최종승인을 부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의 승인을 위한 절차서(G9)"와 "GESAMP-BWWG의 정보 수집과 업무 수행을 위한 방법"에 근거하여 기본승인과 최종승인의 절차와 문서의 요소를 고찰하였고, IMO로부터 기본승인 또는 최종승인을 받은 처리장치의 승인 내용을 요약하였으며, 이로부터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 PDF

현존선에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를 위한 위험도 평가 분석 (Risk Assessment for Retrofitting a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on an Exising Vessel)

  • 지재훈;오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02-1613
    • /
    • 2016
  • Sinc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has been adopted,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is not effected yet. This convention will only enter into force 12 months after its ratification by 30 states, collectively representing 35% of world merchant shipping tonnnage. Morocco, Indonesia and Ghana have ratified this convention during last 29th IMO Assembly meeting which was held in November 2015. In 2016, Belgium, Fiji, Saint Lucia and Peru have become the latest countries to ratify the convention. As of now, 51 states and 34.87% combined merchant fleets are being calculated. BWM convention will be applied to not only new ships but also, existing ships after it is effected. Thus, existing vessel will be retrofitted a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D-2 Requirement until first IOPP nenewal survey after date of entry into force of the convention. Currently, about 65 BWTSs certified by Administration will be reported to IMO, even type of BWTSs is very various. Thus, a risk of each BWTS can be existed, and this existed risk can be also effected to ship's crew safety and protection of ship's own property. Therefore, we have evaluated a risk assessment for an existing vessel retrofitting an ultra violet typ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which is mostly developed in the world. And we described the procedure of selecting a sample vessel, consequently, bulk carrier is selected because this vessel kind is mostly charged in the world. Especially, DWT 175K size is selected. Risk Assessment is using a HAZID and HAZOP method, evaluation method is referred to IMO Document "Considerated test of the Guidelines for Formal Safety Assessment (FSA) for use in the IMO rule-marking process(MSC/Circ.1203-MEPC/Circ.392)". The Risk Assessment Section is decided to 3 Nodes, Consequently, total risks have evaluated 51 items.

밸러스트수 처리기술개발 I (해수전해법의 적용가능성 연구) (Development of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y (Feasibility Study of NaOCl Produced by Electrolysis))

  • 윤범상;노준혁;김광일;박광석;김흥락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4-178
    • /
    • 2005
  • 선박에서 기인하는 여러 해양오염원 중에서, 연간 100억톤 이상 사용되는 밸러스트수에 의하여 야기되는 해양생태계의 교란 파괴는 심각한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IMO에서는 밸러스트수 배출규제에 관한 국제협약을 체결 발효할 예정이다. 이러한 IMO 국제협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독자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대응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세계적으로 개발중에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기술의 개발동향을 분석해 보고, 본 연구진이 대용량으로 해양에서 적조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바 있는 실용화기술을 바탕으로, 해수전해법을 밸러스트수 처리기술에 적용하기 위하여 해수전해법의 특징 및 기본원리 등에 대한 기초 연구 및 적용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이미지처리를 통한 선박평형수 내 유해수중생물 개체수 측정 (Counting Harmful Aquatic Organisms in Ballast Water through Image Processing)

  • 하지훈;임효혁;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83-391
    • /
    • 2016
  • 선박평형수란,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배에 채우는 바닷물을 말한다. 선박평형수를 통한 외래종 유입은 생태계 교란의 주된 원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관리협약을 채택하였다. 협약이 발효될 경우 각국 항만 당국에서는 선박평형수가 협약의 성능 기준에 맞게 배출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처리를 통한 선박평형수 내 유해수중생물 개체수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부산 신항에서 채취한 선박평형수로부터 3개의 샘플을 추출하였으며, 각 샘플당 서로 다른3개의 grey-scale 이미지를 만들어 실험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미지처리를 이용한 자동 세포계수 프로그램인 CellProfiler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CellProfiler에서 사용한 설정은 사람이 직접 세포계수를 한 결과에 맞춰 경험적으로 결정하였다. 각 이미지에서 CellProfiler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최적의 임계값을 찾은 뒤 그 평균을 최종 임계값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은 CellProfiler와 비슷한 세포 계수 결과를 보이면서도 약 10배 정도 빠른 처리 속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