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ariophycea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4초

Phylogenetic position of eight Amphora sensu lato (Bacillariophyceae) speci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Wang, Pengbin;Park, Bum Soo;Kim, Jin Ho;Kim, Joo-Hwan;Lee, Hae-Ok;Han, Myung-Soo
    • ALGAE
    • /
    • 제29권2호
    • /
    • pp.57-73
    • /
    • 2014
  • Amphora Ehrenberg ex Kutzing sensu lato is a common and widespread benthic diatom genus with a taxonomy that has been under continual revision, particularly based on molecular analyses. Although Amphora species have been studied using modern microscopy in recent years, there has not been much progress on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species, especially in Asia. In this study of Amphora, sampling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ight Amphora sensu lato were examined: Amphora marina, A. proteus, Halamphora costata, H. coffeaeformis, H. eunotia, H. holsatica, H. terroris, and Halamphora sp. Based on previous accounts, morphology suggested that A. marina and A. proteus belong to the subgenus Amphora Cleve, which have smooth girdle bands and rather coarse and very distinct areolae on the valve. The other species, H. coffeaeformis, H. costata, H. eunotia, H. holsatica, H. terroris, and Halamphora sp. belong to the subgenus Halamphora Cleve, which was recently elevated to generic status by Levkov 2009, have plicate girdle bands, puncta which do not form straight longitudinal lines, valves which have a narrow ventral portion and apices that are generally rostrate-capitate and recurved. In agreement with analysi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small subunit rDNA suggested that the eight Amphora sensu lato species were not a monophyletic group as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lso, the results of molecular work and statistical analysis on all these Amphora sensu lato combined with phylogenic analysis on our geographically representative samples give strong evidence that Halamphora Levkov is independent of Amphora Cleve. Furthermore, in this study, Amphora terroris was transferred Halamphora as Halamphora terroris (Ehrenberg) Wang comb. nov. and Amphora marina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tegrative taxonomic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he Cocconeis placentula group (Bacillariophyceae) from Korea based on unialgal strains

  • Jahn, Regine;Abarca, Nelida;Kusber, Wolf-Henning;Skibbe, Oliver;Zimmermann, Jonas;Mora, Demetrio
    • ALGAE
    • /
    • 제35권4호
    • /
    • pp.303-324
    • /
    • 2020
  • Cocconeis coreana and C. sijunghoensis are described as new based on micro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C. coreana is represented by five unialgal cultures from four different freshwater bodies, two from North Korea and three from South Korea. C. sijunghoensis is represented by two unialgal cultures from a brackish water body in North Korea. Except for one, all of the strains auxosporulated and showed an almost quadrupling of size in length and width. Morphologically, these species with their two different elliptical valves belong to the Cocconeis placentula group. The raphe valve has striae with uniseriate areolae continuing across a pronounced submarginal hyaline rim to the edge of the valve. The sternum valve has uniseriate dash-like areolae continuously from the valve face until the valve edge. Micromorphologically, these species possess two different open valvocopulae: only the raphe valvocopula has fimbriae; the sternum valvocopula has none. Based on p-distances of currently available DNA sequence data, i.e., rbcL and 18SV4, both species are pronouncedly different from the epitype strain of C. placentula, with C. coreana closest to the published molecular data of the strain UTEX FD23 named C. placentula from Iowa, USA, while C. sijunghoensis is closest but not the same as the published molecular data of strain D36_012, the epitype strain of C. placentula from Berlin, Germany. Based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differentiating features are discussed concerning valvocopula fimbriae, central area, areolation of the sternum valve and on the raphe valve especially between the submarginal hyaline rim and edge.

갯벌 조간대에서 발견한 국내 미기록 규조류 (Newly Recorded Diatoms from the Tidal Flats of Korea)

  • 김병석;김소연;진정융;김별;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1호
    • /
    • pp.42-55
    • /
    • 2024
  • 국내 해역에 출현하는 미기록 규조류를 발견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5개 조간대 해역에서 해수, 모래, 자갈을 채집하였다. 채집 시료에서 규조류를 분리 배양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세포의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3목 5과 7속으로 구성된 국내 미기록 규조류 7종을 발견하였다: Gomphoseptatum aestuarii, Rhoiconeis pagoensis, Seminavis exigua, Plagiolemma distortum, Staurotropis seychellensis, Biremis sigmoidea, Liriogramma sarcophagus. 이 중 4개 속, Rhoiconeis, Plagiolemma, Staurotropis, Liriogramma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속이다. L. sarcophagus는 중심돌말류 Asteromphalus에서 분리되어 Liriogramma으로 이동하였지만 아직 그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분석과 CHEMTAX 프로그램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연구 (Applic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 Analysis Using a HPLC and CHEMTAX Program to Studi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 이용우;박미옥;김윤숙;김성수;강창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3호
    • /
    • pp.117-124
    • /
    • 2011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를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색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CHEMTA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을 추정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CHEMTAX 프로그램은 식물플랑크톤 군집별(class level)로 체내에 존재하는 주요색소의 chlorophyll a에 대한 상대적인 비 값을 기초로 분석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 해역에서 분리한 식물플랑크톤 군집별 주요 종들이 가지는 광합성색소의 상대적인 비 값을 파악하고 이 자료를 기초로 남해안에 위치한 여자만과 가막만에서 측정한 광합성색소 분석결과에 대해서 CHEMTA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을 파악하였다. 국내해역에 존재하는 같은 군집종들 사이에서도 주요색소의 상대적인 비 값은 차이를 보였으며, 국외의 다른 해역에서 제시된 상대적인 비 값과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비 값을 기초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을 분석한 결과, 다른 해역에서 제시된 비 값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점하는 군집(bacillariophyceae와 dinophytes)에 대해서는 5% 이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록 chlorophyll a에 대해서 낮은 기여도를 보이지만 pico와 nano 크기의 군집들(cyanophytes와 prasinophytes)에서는 상당한 차이(2배 이상)를 보였다. 비록 HPLC-CHEMTAX 분석방법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결과와 식물플랑크톤의 생리, 생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해역에 존재하는 식물플랑크톤 종들에 대한 주요색소의 상대적인 비 값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전지역 하천의 수질과 식물성 플랑크톤군집 (Phytoplankton flora and water quality in the stream of Taejon area)

  • 이호원;이상명;김은희;강현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85
    • /
    • 2002
  •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수환경 관리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대전지역 3대 지천을 대표할 수 있는 9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별 및 월별 수환경 요인과 식물성 플랑크톤상과 우점종을 조사하였다. 수온은 $2.4^{\circ}C{\sim}30.9^{\circ}C$ (평균 $16.02^{\circ}C{\sim}18.92^{\circ}C$) 이며, pH는 7.1~10.4(평균 7.40~8.6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OD는 전반적으로 볼 때 11월의 갑천교를 제외하면 $5mg/{\ell}$를 넘지 않으며, COD는 각 지점 모두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그 수치가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특히 갑천교의 경우 3월 이 타 조사 정점보다 3~13배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DO는 1.03~10.43ppm으로 다양하게 측정되었며, SS는 $1.0{\sim}120.0mg/{\ell}$로 나타났다. 총질소는 상류가 평균 0.63ppm이고 중류는 0.35ppm, 하류는 0.44ppm으로 하류보다는 상류가 높게 측정되었다. 총인은 상류가 평균 0.03ppm이고 중류는 0.05ppm, 하류는 0.06ppm으로 하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식물성 플랑크톤상은 전체 7강 18목 35과 75속 184종 42변종 4품종으로 전체 230종류가 동정 분류되었으며, 이들의 강별 조성 현황은 녹조강 94분류군(40.9%), 규조강 66분류군(28.8%), 유글레나강 39분류군(17.0%), 남조강 24분류군(10.4%), 황색편모강 4분류군(1.7%), 홍조강이 2분류군(0.8%) 이고 황녹색조강이 1분류군(0.4%) 순의 구성을 보였다. 각 정점별 종 조성은 가장 하류인 갑천교에서 119, 원촌교 94, 가수원교와 만년교가 87, 오정동, 78, 현암교와 수침교가 77, 문창교가 70분류군 그리고 산성동이 5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주로 하류로 갈수록 종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전천과 유등천 및 그 합류 지점에서는 Synedra ulna와 Diatom vugare와 같은 규조류가 주로 출현하고 갑천 수계는 Oscillatoria princeps및 녹조류가 다양하게 우점하며, 3대 하천이 만나는 곳은 질소나 인의 양이 풍부하여 질산염을 선호하는 Euglenophyceae가 지표종이이라 할 수 있다.

  • PDF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 of Mara-do and U-do, Jeju Island, Korea

  • Affan, Abu;Lee, Joon-Baek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35-245
    • /
    • 2004
  • A study on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carried out at four stations including Mara-do and U-do locat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coast of Jeju Island in southern Korea from April 2003 to March 2004. Out of 101 phytoplankton species identified, 84 belong to Bacillariophyceae, 9 Dinophyceae, 6 phytoflagellates and 2 coccolithophorids, and the highest value of species diversity was observed in April. Phytoplankton was more abundant at the western coast than at the eastern coast from March to September and its highest abundance was 49.24 ${\times}$ 10$^3$ cells L$^{-1}$ at Mara-do in July. The pennate diatoms were more abundant at the western coast than at the eastern coast with the highest abundance of 38.75 ${\times}$ 10$^3$ cells L$^{-1}$ at Mara-do in July, and during this period Nitzschia longissima contributed 68.5%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Naviculaceae was more abundant at Gosan (western coast) in November when Stauroneis membranacea represented 80.1% of the abundance. Leptocylindrus dances contributed 49.4% of the abundance at U-do in November. Dinophyceae was more abundant at U-do in August. Water temperature and pH fluctuated from 11.7${^{\circ}C}$ to 27.1${^{\circ}C}$ and from 7.31 to 8.70,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of Mara-do was about 1-2${^{\circ}C}$ higher than the other stations. Salinity varied from 30.4 to 35.0 psu with the minimum in rainy season and the maximum at the end of winter. The concentration of NH$_4$-N, NO$_3$-N, NO$_2$-N, PO$_4$-P and SiO$_2$-Si ranged 0.07-6.79, 1.0-62.0, 1.0-8.0, 1.0-7.0 and 7.0-191.0 $\mu$g-at L$^{-1}$, respectivel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varied from 0.10 to 1.17 $\mu$g L$^{-1}$. NH$_4$-N concentrations were high at U-do from May to December, and at Mara-do from January to February. The high concentrations of NO$_3$-N were found at Mara-do from June to September and at U-do from January to May. The effects of various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he seasonal distribution and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suggest that there is a classical pattern of phytoplankton dynamics in Jeju coastal waters.

2011년 진해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Jinhae Bay, 2011)

  • 박경우;서영상;임월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20-529
    • /
    • 2012
  • 진해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을 정량 분석하여 종조성과 분포를 시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군집의 변화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해만 주변해역 15개 정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2회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158종 출현하였으며, 이 중 규조류가 95종, 와편모류가 58종, 유글레나류가 1종, 규질편모류가 4종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각 정점에서 $4.0{\times}10^3{\sim}9.0{\times}10^7\;cells{\cdot}L^{-1}$의 범위로 나타났다. Chl.a의 경우 7월 평균 값이 가장 높게(13.19 $mg{\cdot}m^{-3}$)나타났으며, 3월 평균 값이 가장 낮게(3.44 $mg{\cdot}m^{-3}$)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정량 분석 결과 우점종의 경우, 봄철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schia spp.이 나타났으며, 여름철 Dactliosolen fragilissimus, Pseudo-nitzschia spp., 가을과 겨울에는 Chaetoceros spp.,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여 계절별 종 특이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조사 기간 동안의 질소와 인의 총량의 DIN : DIP비는 진해만 서부 해역은 14 : 1의 비율을 보였고, 진해만 동부 해역은 28 : 1의 비율로 보다 높은 질소의 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총인과 총질소 Chl.a 또한 진해만 서부 해역과 비교하여 진해만 동부 해역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Thalassiosira spp.와 Skeletonema spp.에 의해 진해만 동부해역이, Leptocylindrus danicus와 Pseudo-nitzschia spp.에 의해 진해만 서부 해역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의해서 나뉘어 졌다.

영산강.섬진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Phytoplankton Community in Reservoirs of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Korea)

  • 나정은;정명화;조인숙;박종환;황경섭;송효정;임병진;라긍환;김현우;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39-46
    • /
    • 2012
  • 2011년 영산강 섬진강 수계 29개 호소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61종, 녹조강 157종, 남조강 39종, 기타 67여종으로 총 424종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4차 조사시기에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대동호, 대동제, 소포제, 군곡제, 개초제, 둔전제 지점에서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였고, 영산호를 비롯한 하천형 호소에서는 비교적 빈약한 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점에서 20% 이상의 우점율을 보인 종은 대부분 규조류였고 2차와 3차 조사에서 녹조류와 남조류도 우점의 빈도가 높아졌다. 개체군 밀도는 조사 호소나 시기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없었고 특정 종의 성장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의 농도는 조사호소와 시기에 따른 편차가 매우 컸으며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와 클로로필-$a$의 농도 사이에는 매우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국내 8기 석조문화재의 기중조류 분포 및 생물오염도 평가 (The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the Assessment of Biological Pollution Class at 8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 김용진;김옥진;이옥민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9-268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4월에서 6월까지 국내 8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엽록소 a 및 색에 따른 생물오염 등급을 평가하였다. 엽록소 a 의 경우 $16.2{\sim}136.6{\mu}g{\cdot}g^{-1}$의 농도를 나타냈으며, 색은 녹색에서 검정색의 범위로 나타났다. 생물오염등급 평가 결과 물걸리삼층석탑과 수타사삼층석탑은 3등급을 나타냈고, 괘석리사사자석탑 및 5개의 문화재는 4등급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생물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중조류는 총 32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 남조강은 16분류군이고, 녹조강은 13분류군이며 규조강은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a와 생물오염등급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0.43을 나타냈다. 엽록소 a와 출현종 간의 상관분석에서 Trebouxia sp.와 Chroococcus bituminosus는 상관계수 0.89와 0.65로써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생물오염등급과 출현종의 경우에는 Chroococcus bituminosus, Aphanocapsa grevillei, Xenococcus acervatus, Chlorella vulgaris 및 Synechocystis pevalekii 등이 상관계수 0.54~0.65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2009년 추계 독도연안의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수심별 변화 (Vertical Variations of Water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during the 2009 Autumn in the Coast of Dokdo, Korea)

  • 김윤삼;박경우;박정원;전경희;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28권4호
    • /
    • pp.202-211
    • /
    • 2010
  •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e species compositions of phytoplanktons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marine ecosystem at the depths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stations DOK 1-3). The mean values of conductivity (48.9 mS $cm^{-1}$), salinity (32.9 psu) and total suspended solids (57.9 mg $L^{-1}$) were the highest in DOK 1. The biomass (Chl-a) of phytoplanktons was the highest in the surface of DOK 1 (2.61 ${\mu}gL^{-1}$). By the mea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salinity, turbidity, Chl-a, TN, TP and Si), the water estimated in the coast of Dokdo was more eutrophicated than that in 2008. The phytoplanktons were a total of 42 species in Dokdo, which were composed of 33 species (78.6%) for Bacillariophyceae and 9 species (21.4%) for Dinophyceae.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s were the highest ($18{\times}10^3$ cells $L^{-1}$) in the surface of DOK 2 and in the surface of DOK 3, while they were the lowest ($2{\times}10^3$ cells $L^{-1}$) at depth of 40 m of DOK1 and at depth of 30 m of DOK 3.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s were Chaetoceros castracanei ($6{\times}10^3$ cells $L^{-1}$) in the surface, Rhizosolenia alata f. gracillima ($3{\times}10^3$ cells $L^{-1}$) at depth of 20 m and Protocentrum compressum ($4{\times}10^3$ cells $L^{-1}$) at the depth of 30 m of DOK 1. At the surface of DOK 2, the dominant species was Bacillaria paxillifer ($6{\times}10^3$ cells $L^{-1}$), while it was Hemiaulus indicus ($12{\times}10^3$ cells $L^{-1}$) at the surface of DOK 3. The DOK 1, which is affected by upwelling, whirlpool and circulation due to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was the most eutrophicated water body among three stations. The monitoring of marine ecosystem in the coast of Dokdo should be continued to propose the alternatives for water quality and species conservation and to purify the eutrophicated water body due to artificial pollutants as well as natural effectors by the global warming, the climatic change,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