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by cla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패육의 건조 및 저장중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Amino Acid Contents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Shellfish Meat)

  • 주옥수;최진상;강갑석;하영래;조용운;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8-773
    • /
    • 1996
  • 건조온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홍합 및 바지락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다음과 같다. 생시료의 경우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두시료 모두 6575.30mg% 와 6764.43mg%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건조에 의한 함량의 감소는 홍합 보다 바지락의 경우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두시료 모두 Glx가 790.55 및 990.89mg%로 가장 많았으며 , 기타 아미노산의 함량은 시료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시료를 건조함에 따라 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였으며,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폭이 컸다.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패류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2. 굴, 홍합, 바지락, 개량조개 및 그 자건품의 비휘발성유기산 조성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2.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Oyster, Sea-mussel, Baby Clam, Hen Clam and Their Boiled-dried Products)

  • 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17-423
    • /
    • 1985
  • 굴, 홍합, 바지락 및 개량조개 등 4종류의 패류를 시료로 하여 생체 및 이를 자건하였을 때의 유기산조성을 밭화고져 GLC로 분석검토하였다. 4종류의 시료중 굴, 홍합 및 바지락에 있어서는 8종류, 개량조개에 있어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 및 정량되었다. 굴의 주요산은 pyroglutamic, succinic 및 malic acid로서 총량의 $94.2\%$를 차지하였고, 홍합, 바지락 및 개량조개에 있어서의 주요산은 모두 succinic 및 malic acid로서 이들 산이 유기산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90.8\%,\;89.7\%$$86.4\%$였다. 홍합, 바지락 및 개량조개에 있어서는 모두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아 각각 $80.6\%,\;84.9\%$$73.2\%$였고, 굴에 있어서는 pyro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아 $38.8\%$였고 다음이 succinic acid의 $34.4\%$였다. 유기산총량에 있어서는 굴이 913.0mg/100g로서 가장 많아 개량조개의 약 4.5배양을 나타내었고, 이어 홍합의 478.4mg/100g, 바지락의 246.3mg/100g의 순이었으며, 개량조개가 가장 적은 함량을 나타내어 291.2 mg/100g이었다. 생시료를 자건하였을 때의 유기산총량의 감소율은 굴이 $54.7\%$로서 가장 높고, 이어 홍합의 $46.5\%$, 개량조개의 $37.1\%$, 바지락의 $29.4\%$의 순이었다. 또한 각 유기산의 감소율은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전반적으로 보아 감소율이 큰 유기산은 malic, fumaric 및 pyroglutamic acid 등이고, 감소율이 적은 유기산은 succinic, lactic 및 oxalic acid 등이었다.

  • PDF

건조 홍합 및 바지락의 저장 중 핵산관련물질 및 유기염류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Some Taste Compounds of Dried Mussel and Baby Clam during Storage)

  • 주옥수;서권일;이용수;이종호;최상도;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82-887
    • /
    • 1996
  • 홍합과 바지락의 건조 및 저장조건에 따른 핵산 및 그 관련물질과 유기염류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합과 바지락 모두에서 ATP, ADP, AMP, inosine, adenosine 및 hypoxanthine의 6성분을 분석하였다. 홍합과 바지락 모두 생시료의 경우 adeno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건조 및 저장에 의해 ATP, ADP 및 AMP의 함량은 감소하고 inosone 및 hypoxanthin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TMAO, TMA및 총 creatinine의 함량은 두 시료 모두 함량이 아주 낮았으며, 건조 및 저장에 의해 TMAO 및 총 creatinine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TM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패육의 건조 및 저장중 유기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Organic Acid Contents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Shellfish Meat)

  • 주옥수;이종원;김홍출;하영래;강군중;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4-778
    • /
    • 1996
  • 건조온도(40, 50 and $60^{\circ}C),$ 저장온도(4 and $20^{\circ}C)$ 및 저장기간(0,1,2,4months)에 따른 홍합과 바지락의 유기산 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두 시료 모두 8종의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홍합에서는 succinic acid의 함량이 410.9mg%로 전체 유기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malic acid가 41.2, pyroglutamic acid가 11.6, lactic acid가 11.4mg%의 순으로 많았으며, 바지락에서는 succinic acid가 96.5mg%로 가장 많았으며 lactic acid가 61.9, pyroglutamic acid가 59.8, malic acid가 21.7mg%로 많았다. 건조에 의하여 유기산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함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함량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바지락(Tapes japonica)으로부터 분리정제된 새로운 렉틴의 생물물리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Bi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New Lectin from Baby Clam, Tapes japonica)

  • 김희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06-612
    • /
    • 1989
  • 한국산 바지락으로부터 새로운 렉틴을 아세톤파우더, 황산암모늄 침전, 친화력 크로마토그라피 및 FPLC의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였다. 이 렉틴은 사람의 적혈구를 비특이적으로 응집시켰으며, 생쥐와 토끼의 적혈구 및 생쥐의 복수 Sarcoma 180 세포를 응집시키지 않았고 사람의 말초혈관 임파구도 분열 촉진시키지 못하였다. 전기영동상에서 하나의 주된 띠로 나타났으며 분자량은 Biogel P-300겔 여과에서 131,000, SDS 전기영동상에서는 125,000으로 나타났다. Subunit는 33,000과 30,000의 다른 폴리펩타이드로 tetramer로 추정된다. EDTA에 의해서 활성이 저해된 바지락 렉틴은 $Ca^{++}$$Mn^{++}$에 의하여 적혈구 응집력이 회복되었다. 또한 이 렉틴은 약 4.2% 중성당을 함유한 당단백질임이 확인되었다.

  • PDF

패류의 건조조건에 따른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Shellfish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Drying)

  • 이강호;조태용;조호성;이종호;심기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48
    • /
    • 1998
  • 홍합, 바지락 등의 건제품은 주로 지질의 산화생성물과 단백질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의 품질저하를 일으키며 특히 시판 건제품은 상온에서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유통되고 있어 이들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의 열풍 건조온도($40^{\circ}C,\;50^{\circ}C,\;60^{\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과 갈변 및 형광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등의 아미노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홍합과 바지락의 열풍건조 중 수분의 감소는 $60^{\circ}C$에서 건조한 경우가 가장 컸으며, $40^{\circ}C$에서 건조한 경우 홍합이나 바지락은 10시간의 건조에 의해서도 곰팡이의 생육이 억제되는 수분활성 0.62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50^{\circ}C$의 경우 홍합은 8시간, 바지락은 10시간의 건조에 의해 Aw 0.61을 나타내었으며, $60^{\circ}C$ 건조구에서는 홍합은 6시간, 바지락은 8시간의 건조만으로도 수분함량 $10\%$ 정도로 건조되었다 지질의 산패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바지락이 홍합에 비해 육조직이 치밀하여 건조속도가 느리며 공기와의 접촉도 홍합에 비해 많지 않아 초기산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다. 갈변도와 형광강도의 경우도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조시간이 길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또한 홍합이 바지락보다도 형광물질의 생성량이 많아 지질의 산패도나 갈변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40^{\circ}C$의 경우 10시간의 건조에 의해서도 보장성이 인정되는 수분활성 0.62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60^{\circ}C$는 건조속도는 촉진시키나 산화에 따른 산가, 과산화물가, 갈변색소 등을 생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50^{\circ}C$의 경우 $8\~10$시간의 건조시 보장성이 있는 수분 (Aw 0.61,수분함량 $11.1\%$) 한계치에 도달했으며 또한 산화속도도 다소 완만하게 진행되어 건조 중 산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이라 생각된다.

  • PDF

수산물의 콜레스테롤함량과 가공중의 변화 (Changes in Cholesterol Contents of Some Marine Products during Processing)

  • 강진훈;천석조;이형일;이용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7-332
    • /
    • 1984
  • 수산물을 가공처리할 때 콜레스테롤함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살오징어, 뱀장어, 고등어, 바지락 및 미역 등 5종류를 시료로 하여 살오징어는 일건, 뱀장어는 배소, 고등어는 염건, 바지락은 자건, 미역은 염장 등의 처리를 하였을 때의 콜레스테롤함량의 변화를 조사검토하였다. 1. 생시료에 있어서의 콜레스테롤함량은 살오징어가 761mg/100g(건물양)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뱀장어, 바지락, 미역의 순이었으며, 생시료의 콜레스테롤함량과 지질함량과의 관련성은 찾아 볼 수가 없었다. 2. 살오징어, 뱀장어, 고등어 및 미역등 4종류의 시료는 가공처리에 의하여 콜레스테롤함량이 감소하였는데, 살오징어는 일건에 의하여 생시료 때의 $66.4\%$로 감소였으며, 뱀장어는 배소처리에 의하여 $43.6\%$로, 고등어는 염건처리에 의하여 $41.0\%$로 미역은 염장처리에 의하여 $58.1\%$로, 각각 감소하였다. 3. 바지락은 자건처리에 의하여 콜레스테롤함량이 생시료 때의 1.6배로 증가하여 다른 시료와 대조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4. 가공처리에 의한 콜레스테롤함량의 변화는 지질함량의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어 지질함량의 감소가 큰 것일수록 콜레스테롤함량의 감소도 많았다.

  • PDF

패류의 가공적성 1. 바지락의 가공적성 (SUITABILITY OF SHELLFISHES FOR PROCESSING 1. Suitability of Baby Clam for Processing)

  • 이응호;변재형;김수현;정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30
    • /
    • 1975
  • 사용만 대포리산 바지락의 가공적성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바지락의 각내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무게 또는 각내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부피의 측정값으로써 비만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2. 서식지의 입도조성과 비만도와의 관계를 보면 자갈이 많은 곳이 비만도가 약간 떨어졌다. 3. 화학성분의 년중변화를 보면 수분과 지방은 대체로 역상관계가 있고, 단백질은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8$월에 한때 약간 감소하지만, $9\~10$월에 증가하고, 11월에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3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글리코겐은 3월이 $6.3\~6.8\%$로서 최고값을 나타내고, 이 때부터 계속 감소하여 10월에는 $0.1\~0.2\%$로서 최저값을 나타내고 11월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3월에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pH와 회분은 년중 큰 변화가 없었다. 4. 비만도 및 화학성분 분석 결과로써 가공적성을 판정한다면 $2\~6$월 및 $9\~10$월이 가공원료 채취 적기라고 볼 수 있다. 5. 토사를 배출시킨 바지락을 원료로써 보일드 통조림을 제조할 때, 참치 2호 C-enamel 관을 사용할 경우 주입액은 $0.15\%$ 구연산을 첨가한 $2\%$ 식염수 또는 $0.5\%$ $Na_2EDTA$를 첨가한 $2\%$ 식염수를 사용하고 , $112^{\circ}C$에서 60분간 살균하면 품질도 우수하고, 저장중 품질이 안전하다고 결론을 얻었다.

  • PDF

전기투석기를 이용한 바지락 자숙액의 탈염 특성 (Characterization of Desalination on the Boiled Extract of Baby Neck Clam(Tapes variegata) by Electrodialysis)

  • 박표잠;이상훈;김세권
    • 멤브레인
    • /
    • 제10권2호
    • /
    • pp.92-101
    • /
    • 2000
  • 바지락 자숙액을 효과적으로 탈염하기 위하여 전기투석기를 사용하여 자숙액의 농도, pH 및 부피에 대한 최적 탈염조건을 검토하였다. 탈염에 필요한 이온교환막은 당과 단백질의 유실량이 적은 분자량 100 Da이상을 회수할 수 있는 AC-110-400을 선정하였으며, 자숙액 농도 0.5%와 4%의 탈염시간은 각각 100분과 170분에서 90%이상 염을 제거할 수 있었다. 자숙액의 pH에 대한 효과는 pH 9.0의 알칼리영역에서 보다 pH 4.0의 산성영역에서 탈염율이 더 높았으며, 투과액의 부피는 탈염시간과 탈염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자숙액의 탈염은 주로 자숙액의 농도와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2% 자숙액 1 L, pH 5.75에서 효율적인 탈염이 가능하였다.

  • PDF

어패육추출물(魚貝肉抽出物)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uscle Extracts of Fish and Shell-fish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 이강호;정인학;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4-450
    • /
    • 1984
  • Effects of muscle extracts of five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mackerel, jack mackerel, yellow corvenia, shrimp and baby-neck clam, on lipid oxid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model system consisting of methyl linoleate absorbed in micro crystalline cellulose and extracts of fishes. Ethanol extracts of both mackerel and jack mackerel apparently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ile the extract of yellow corvenia, and baby-neck clam showed a slight catalyzed effect on contrary. The ethanol extract of shrimp, however, revealed no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en the ethanol extracts were dialyzed, the outer fractions of dark fleshed fish ha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ile the inner fractions did not. The outer fraction of yellow corvenia showed catalyzed effect, but the inner fraction inhibited the oxidation slightly. The outer fraction of shrimp had a strong inhibitory action, but the inner fraction showed no effect. The methanol-water fraction of chloroform-methanol extract of shrimp showed a quite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whereas that of four other samples did the same levels of effect as ethanol extra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