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 값

Search Result 5,37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가압 경수로에서의 $B^{10}$ 연소 거동 평가

  • 이해찬;박상원;장도익;정선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114-118
    • /
    • 1997
  • 현재 PWR에서는 반응도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강한 중성자 흡수체인 수용성 붕소가 사용되고 있고 수용성 붕소내의 $B^{10}$은 연소하게 된다. 최근 대부분의 발전소가 장주기 운전전략을 채택하고 있고 발전소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어 $B^{10}$ 연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웨스팅하우스형 3-Loop 발전소에 대해 $B^{10}$의 연소거동을 모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B^{10}$ Percent를 연소도의 함수로 계산하였고 실제로 냉각재내의 $B^{10}$ Percent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B^{10}$ Percent 변화에 따른 Boron Letdown Curve를 보정하여 측정값과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B^{10}$ 예측 프로그램의 예상값과 측정값이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전소에서 나타나고 있는 임계붕산농도의 설계값과 측정값 간의 일반적인 차이에 대한 원인이 규명되었고, $B^{10}$ 연소에 의한 상대적인 흡수체의 감소는 정지여유붕소량 계산시 고려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of B-RISK-FDS-Coupled Simulations for Multi-Combustible Fire Behavior in a Compartment (구획실 내 가연물들의 화재거동에 대한 B-RISK와 FDS 연계 화재 시뮬레이션 예측성능 평가)

  • Baek, Bitna;Oh, Chang B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4
    • /
    • pp.50-58
    • /
    • 2019
  •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B-RISK was evaluated for the fire behaviors of combustibles in a compartment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First of all, to predict the heat release rate (HRR) for two combustible sets, the HRR for one combustible set and the design fire curve were used as input values for B-RISK. Comparing results of B-RISK calculations with experimental data for two combustible sets, it was found that B-RISK results predicted insufficiently for fire growth rate of experimental data but there was good agreement for maximum HRR and total HRR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B-RISK results were used for input values of FDS to evaluate the fire behaviors of B-RISK results. Comparing results of FDS calculations with experimental data,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2, CO2 in the fire growth phase were different from the experimental data. However, when using the B-RISK result for percentile 70%, the simulation results sufficiently predicted the overall fire behaviors.

Prediction of rainfall-induced runoff considering infiltration of water in both unsaturated and saturated porous media (불포화 및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고려하여 강우 유출 해석)

  • Changhoon Lee;Minh Thang T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2-62
    • /
    • 2023
  • 강우가 지표면 아래로 침투할 때 초기에는 투수층이 불포화 상태이어서 부압이 작용하면서 침투할 것이다. Richards 식(Richards, 1931)을 써서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를 모의할 수 있다. 강우가 지속되는 동안 하상 아래 어느 구간은 포화 상태가 되어 Richards 식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Richards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강우에 의한 침투를 예측할 때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가 필요한 데 현존하는 연구에서는 Horton 식(Horton, 1941)을 사용하여 초기 침투율 fo 와 장시간 후 침투율 fc 와 시간에 따라 지수함수로 감소하는 계수 k 의 3가지 계수값을 실험이나 현장 관측값에서 찾아서 쓰고 있다. 그런데, 이 계수값은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 가 커지는 물리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먼저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모의하는 식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아래에서 불포화 투수층에는 Richards식을 사용하고 포화 투수층에는 개발한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였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를 구하는 공식을 개발하였다. 하상에서의 침투율의 최대값은 $q_{bmax}=-{\lambda}{\sqrt{2g(s-b)}}$ 일 것이다. 여기서 λ 는 투수층의 공극율, s 는 유출수면의 위치, b 는 지표면의 위치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의 최소값 qbmin 은 지표면 바로 아래 지점에서의 침투율일 것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로 qbmax 와 qbmin 사이의 적절한 값을 선택한다. 강우강도를 ri 라고 하면 지표면 위 유출수의 연속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b={\int}(r_i-{\mid}q_b{\mid})dt$. 즉, 유출수면의 위치 s 는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또는 지표면에서의 유출율의 크기 |qb| 가 작을수록 크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와 지표면 아래에서의 침투율 q 는 s - b 가 클수록 크다. 따라서,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b, q 가 큰 현상이 잘 반영되었다. 강우-침투-유출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강우강도에 따라 침투율과 유출량이 다른 현상을 관측하여 수치실험 결과와 비교·검증하였다.

  • PDF

Design of White Balance Correction Processor for High Resolution Full Color LED Display System (고해상도 천연색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흰색 보정프로세서의 설계)

  • Lee, Jong-Ha;Ko, Duck-You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6 no.3
    • /
    • pp.12-18
    • /
    • 2009
  • In this paper, we developed white balance correction processor for Full Color LED Display System which could be display uniformity color and soft light by adjusting brightness of red, green, blue pixel, individually. This processor correct brightness by calculating operating current of each pixel(red, green, blue LED)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 curve of LED device when we named "a"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value, "b" as a brightness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using time, "X" as a operating current value, and "Y" as brightness value. As the results, we solved the reduction problem of brightness for long used LED devices, according to increase entire mean of brightness value by adjusting "b" value from the brightness characteristic function.

열처리가 유자의 과피 색상에 미치는 영향

  • 김은정;서자영;홍석인;박재복;김동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15.2-116
    • /
    • 2003
  • 중온처리가 유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키 위해 유자를 4$0^{\circ}C$에 1~3일간 처리한 후 이를 5$^{\circ}C$에 저장하면서 유자의 품질인자로서 중요한 과피의 표면색상 변화를 무처리구와 비교하였다. 열 처리한 유자를 5$^{\circ}C$의 저온 저장고에 1일 방치하여 품온을 낮춘 후 유자의 과피 색을 분석하였던 바 “L”값과 “b” 값은 무처리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값은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는 열 처리시간이 길수록 현저하였다. 또한 열처리 정도에 따라 hue angle값과 chroma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elta$E값과 hue값은 처리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열처리한 유자의 저장 중 과피의 색상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L”값과 “b” 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다. 이 중 열 처리구의 “a”값 증가율과 “b” 값 감소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낮았는데 이와 같은 차이는 열처리 정도에 따라 보다 뚜렷하였다. 또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Delta$E값은 증가하였고 chroma값, hue값 및 hue angle값은 감소하였는데 이들 값의 변화정도 역시 열 처리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와 같은 열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과피 색상 차이는 과피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열처리가 과피 표면 왁스의 분포에 영향을 주었고, 과피 색소를 과피 표면 부위에 고정시켰으며, 저장중 과피색소의 내부침착을 억제하였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Fuzzy Pr/T Net Representation of Interval-valued Fuzzy Set Reasoning (구간값 퍼지집합 추론의 퍼지 Pr/T 네트 표현)

  • Cho, Sang-Yeop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6
    • /
    • pp.783-790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fuzzy Pr/T net representation of interval-valued fuzzy set reasoning, where fuzzy production rules are used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the belief of fuzzy production rules are represented by interval-valued fuzzy sets. The presented interval-valued fuzzy reasoning algorithm is much closer to human intuition and reasoning than other methods because this algorithm uses the proper belief evaluation functions according to fuzzy concepts in fuzzy production rules.

Target Strength of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조피볼락과 참돔의 표적 강도에 관한 연구)

  • 손창환;황두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8 no.2
    • /
    • pp.119-128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dorsal aspect target strength with fish size, tilt angl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for the schlegel's black rockfish(Sebastes achlegeli) and the red seabream (Pagrus maj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free swimming fish in a cage in order to obtain acoustic data of the biomass estimation using the scientific echo sound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efficients of the schlegel's black rockfish and the red seabream using maximum TS with fish length were expressed -63.7dB and -62.6dB at a frequency of 38kHz, -64.4dB and -65.4dB at 120kHz, and -62.4dB and -65.0dB at 200kHz, respectively. 2. The coefficients of the schlegel\`s black rockfish and the red seabream using averaged TS with fish length were expressed -68.4dB and -67.9dB at a frequency of 38kHz, -73.4dB and -72.7dB at 120kHz, and -70.BdE and -73.4dB at 2001Hs, respectively. 3. The coefficients of the schlegel's black rockfish and the red seabream using maximum TS with body weight were expressed -52.0dB and -50.9dB at a frequency of 38kHz, -52.7dB and -53.7dB at 120kHz, and -50.7dB and -53.3dB at 200kHz, respectively. 4. The coefficients of the schlegel's black rockfish and the red seabream using averaged TS with body weight were expressed -56.7dB and -56.2dB at a frequency of 38kHz, -61.7dB and -61.0dB at 120kHz, and -59.ldE and -61.6dB at 200kHz, respectively. 5. Varying the tiIt angle of the two red seabream from -26$^{\circ}$to +25$^{\circ}$, the variation width of target strength expressed smaller at a frequency of 38kHz than at 120kHz and expressed about 3~6dB higher head up than head down at 120kHz.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by Instrumentally Measured Color Values of Kimchi Juice (김치액의 색상에 의한 배추 김치의 품질 평가)

  • 노홍균;이명희;이명숙;김순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1 no.2
    • /
    • pp.163-170
    • /
    • 1992
  • Color of kimchi juice was measured instrumentally to evaluate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4$^{\circ}C$ and 16$^{\circ}C$ .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emical analyses of kimchi juice and sensory evaluation for kimchi. Chemir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kimchi has reached pH 4.3, the pH value under an optimum ripening period, after 3-days fermentation at 16$^{\circ}C$ with almost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C and carotenoids as well as desirable sour taste and texture. At 4$^{\circ}C$ the kimchi was unripened after 6-days fermentation. At 16$^{\circ}C$, $L^{*}$ value of kimchi juic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during fermentation periods. However, $a^{*}$ value increased until day 4$^{\circ}C$ and thereafter decreased sharply. $b^{*}$ value increased until day 3 and then showed no change. High correlations were seen between volume of kimchi juice, pH, total acidity and $L^{*}$or $b^{*}$ value, and between carotenoid content and $a^{*}$ value, respectively. It was desirable to use color $a^{*}$ or $b^{*}$ value of kimchi juice to evaluate the quality of kimchi. The kimchi was under an over-ripening period when $a^{*}$ value was equal to or lower than the initial value, or when $b^{*}$ value was almost constant. Predicting an optimum ripening period was possible by using a proportional value of $a^{*/}$ $b^{*}$ , i.e., unripening period, 1 $\geq$ and near 1 ; optimum ripening period, near 0.8 ; over-ripening period, < 0.8.eriod, < 0.8.d, < 0.8.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DS/CDMA System Considering Specific Absorption Rate in the Human (인체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고려한 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 조광윤;강희곡;조성언;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64-2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동국의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일부가 인체에 흡수되므로써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E$_{b}$ N$_{t}$의 감소에 대해 조사하였고, 감소된 E$_{b}$ N$_{t}$를 기준으로 하여 전파의 인체 흡수가 DS/CDMA BPSK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체에서의 흡수가 30[%]에서 40[%]로 증가할 때 기지국에서의 E$_{b}$ N$_{t}$, 값이 약 0.5 [dB]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40 [%]에서 50[%]로 중가할 때에는 약 0.6 [dB]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용자 수가 15 명일 때 약 2.5 [dB]의 E$_{b}$ N$_{t}$ 값에서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E$_{b}$ N$_{t}$ 값을 만족시키려면, 흡수율이 10 [%] 증가 할 때마다 안테나 방사 전력을 약 20 [mW] 이상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도 알아내었다. 것도 알아내었다.

  • PDF

PROPOSAL OF NEW DENIAL COLOR-SPACE FOR AESTHETIC DENIAL MATERIALS (치과용 심미 수복 재료들의 색상 연구를 통한 새로운 치과용 색체계의 제안)

  • Oh, Yun-Jeong;Park, Su-Jung;Kim, Dong-Jun;Cho, Hyun-Gu;Hwang, Yun-Chan;Oh, Won-Mann;Hwang, In-N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2 no.1
    • /
    • pp.19-2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new dental color-space system. Twelve kinds of dental composites and one kind of dental porcelain were used in this study. Disk samples (15 mm in diameter, 4 mm in thickness) of used materials were made and sample's CIE $L^*a^*b^*$ value was measured by Spectrocolorimeter (MiniScan XE plus, Model 4000S, diffuse/$8^{\circ}$ viewing mode, 14.3 mm Port diameters, Hunter Lab USA) The range of measured color distribution was analyzed. All the data were applied in the form of T### which is expression unit in CNU Cons Dental Color Chart. The value of $L^*$ lies between 80.40 and 52.70. The value of $a^*$ are between 10.60 and 3.60 and $b^*$ are between 28.40 and 2.21. The average value of $L^*$ is 67.40, and median value is 67.30. The value of $a^*$ are 2.89 and 2.91 respectively. And for the $b^*$, 14.30 and 13.90 were obtained. The data were converted to T### that is the unit count system in CNU-Cons Dental Color Chart. The value of $L^*$ is converted in the first digit of the numbering system. Each unit is 2.0 measured values. The second digit is the value of $a^*$ and is converted new number by 1.0 measured value. For the third digit $b^*$ is replaced and it is 2.0 measured unit apart. T555 was set to the value of $L^*$ ranging from 66.0 to 68.0, value of $a^*$ ranging from 3 to 4 and $b^*$ value ranging from 14 to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