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zimuth angle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7초

광대역 GPS신호의 2차원 방향탐지를 위한 방사보정 기법 및 시험 방안 (The Radiation Compensation Method for Two Dimensional Direction Finding of GPS Signal and Experiment Method)

  • 주형준;박슬기;김동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55-16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GPS 신호의 방위각 및 고각의 2차원 방향 탐지를 위한 방사 보정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시험 방안 및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기존의 방향 탐지 기법들은 탐지된 신호의 방위각 방향으로만 방향 탐지를 수행하여, 방향 탐지를 위한 시스템 보정 시 전파의 입사 각도에 따른 방위각 방향으로만 보정 값을 가지고 테이블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최근 시스템 및 방향 탐지의 응용 대상이 다양화함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2차원 방향 탐지가 가능하도록 고각 및 방위각 모두의 위상차를 가지는 보정 테이블을 형성한다. 우리는 2차원 보정 테이블을 이용해 방향 탐지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고각 및 방위각의 2차원 방향 탐지가 가능한 안테나를 기준으로 이론적 위상차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FEKO EM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위상차를 시뮬레이션 하여 보정테이블을 산출하였으며, 제시된 2차원 보정 기법을 이용하여 방사 보정 시험을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공중 초음파 센서를 응용한 거리 형상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ance and Object Recognition Applying the Airborne Ultrasonic Sensor)

  • 한응교;박익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7
    • /
    • 1990
  • Recently, object recognition ultrasonic sensor is being used with automatization of industrial machine. Points which characterize the object can be deleted by measuring the propagation time of ultrasonic impulse and azimuth which gives its maximum amplitude, and from these points shap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object are deduced. A new measuring method is adopted, whe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calculated by sound reflection time which is measured from O-cross point of sound wave, and azimuth is measured by angle indicating maximum amplitude. The measuring accuracy of 1.0mm for distance and $0.5-2^{\circ}$ for azimuth have been accomplished. By rotational scanning of sensor the characteristic point of an object can be known and it gives the information of its shape, position and orient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 of some complicated shape can be recognized, which suggest its applicability to robot.

  • PDF

스트랩다운 관성항법장치의 각을 이용한 초기전달 정렬기법 (Transfer alignment for strapdown inertial navigation system by angle matching method)

  • 송기원;전창배;김현백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3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22 Oct. 1993
    • /
    • pp.29-33
    • /
    • 1993
  • This paper suggests Kalman filter formulation using by precision GINS output angle for SDINS initial transfer alignment of missile. The Kalman filter model was derived from quaternion parameters and the transfer alignment system by angle matching method satisfies azimuth observability in horizontal angular motion. The estimated error of SDINS attitude settles to less 3mrad(1.sigma.) in 200 seconds at proper sea state.

  • PDF

직접적응제어 방식을 사용한 포탑포 시스템의 안정한 적응제어기에 관하여 (On the stable adaptive controller for the turret gun system using direct adaptive control method)

  • 김종화;이만형;배종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160-163
    • /
    • 1988
  • In this paper, the adaptive controller for the turret gun is discussed which uses model reference adaptive technique based on the Lyapunov direct method. Turret gun can be decomposed into two time-invariant SISO control systems. One is for the elevation angle control and the other is for the azimuth angle control under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each other. Thus we only consider here about the control loop for the elevation angle.

  • PDF

표적 입사각 추적을 위한 모노펄스 빔형성 네트워크 (Monopulse Beamforming Network for Target Angle Tracking)

  • 문성훈;한동석;조명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호
    • /
    • pp.53-6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재밍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 모노펄스 기법을 이용하여 표적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하기 위한 모노펄스 빔형성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모노펄스 빔형성기는 평면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위각과 고도각으로 별도의 빔형성을 수행한다. 즉, 방위각 방향으로의 빔형성을 통하여 표적 고도각을 추정하고, 고도각 방향으로의 빔형성을 통하여 표적 방위각을 추정한다. 기존의 모노펄스 빔형성기에 비하여 적응된 가중치의 값에 상관없이 모노펄스 비를 얻으므로 구현이 간단하고 빔형성에 의한 편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주엽 제한조건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수의 주엽재밍이 존재할 경우에도 표적의 입사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기반 위치인식을 이용한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localiza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 김정하;이성근;김종수;김정우;서동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120
    • /
    • 2013
  • 최근 무선통신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건물이나 선박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안정된 방위각 정보를 얻는다면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안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방법은 지자기 및 가속도 센서(이하 방위각센서)를 이용하여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므로 이는 자계의 영향에 민감하여 주위환경에 따라 불안정한 오차 범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기반 이동노드의 변위와 회전각을 이용하여 새로운 상대방위각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회전팔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부가적인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대방위각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별 가시도 해석을 이용한 별 추적기의 최적 배치 결정

  • 임조령;이선호;용기력;이승우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1호
    • /
    • pp.66-76
    • /
    • 2005
  • 이 연구는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별 추적기의 가시도를 해석하였다. 별 추적기의 시선벡터에 대한 함수로서, 몇 가지 위성 자세 모드 상태에서 임의의 위성의 위치로부터 별 추적기가 태양과 지구에 의해 가려지는 확률, 태양 전지판에 의해 별 추적기가 가려지는 확률, 태양 전지판에 의한 태양 빛의 반사 확률을 계산하였다. 별 추적기의 이용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찾아 별 추적기의 시선벡터 방향을 결정하였는데, 두개의 최적화된 별추적기의 배치는 각각 고도각 -40도, 방위각 -35도와 고도각 -40도, 방위각 -150도로 나타났다.

  • PDF

2차원 위상비교 방향탐지를 위한 수신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2-Dimensional Direction Finding Receiver Using Phase Comparison)

  • 전종화;조성진;채명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58
    • /
    • 2020
  • In this paper, a 2-dimensional phase comparison direction finding receiv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2-D comparison direction finding, direction finding formulas were derived from a uniformly arranged of four antennas. Based on this, a direction finding receiver was designed using Matlab simulink, and the direction finding receiver was fabrica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direction finding receiver, the injection direction finding accuracy and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fabricated direction finding receiver showed a maximum of 3° RMS precision, and the result of both tests showed similar trend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finding accuracy of elevation angle is about 2.7 times better than azimuth angle, and both models performed well within 0.7° RMS at the boresight.

PFA와 CDT 알고리즘을 이용한 2차원 ISAR 영상 생성 (2D ISAR Imaging using PFA and CDT Algorithms)

  • 유지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06-913
    • /
    • 2004
  • 레이다 데이터로부터 ISAR(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을 생성 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FFT 알고리즘이다. FFT 알고리즘을 넓은 방위각 데이터에 적용할 때는 MTRC(Moving Through Resolution Cell) 현상으로 영상의 번짐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polar formatting 기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polar formatting도 적용할 수 있는 각도의 한계가 존재하며 만약 지나치게 넓을 경우 polar formatting을 적용하여도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ISAR 영상 생성시 내삽법을 사용하는 polar formatting기법과 polar formatting의 단점인 내삽법을 사용하지 않는 CDT(Coherent Doppler Tomography) 기법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Prediction of Aerodynamic Loads for NREL Phase VI Wind Turbine Blade in Yawed Condition

  • Ryu, Ki-Wahn;Kang, Seung-Hee;Seo, Yun-Ho;Lee, Wook-R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57-166
    • /
    • 2016
  • Aerodynamic loads for a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of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Phase VI rotor in yawed condition were predicted by using the blade element momentum theorem. The classical blade element momentum theorem was complemented by several aerodynamic corrections and models including the Pitt and Peters' yaw correction, Buhl's wake correction, Prandtl's tip loss model, Du and Selig's three-dimensional (3-D) stall delay model, etc. Changes of the aerodynamic loads according to the azimuth angle acting on the span-wise location of the NREL Phase VI blade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with various yaw angles and inflow speeds. The computational flow chart for the classical blade element momentum theorem was adequately modified to accurately calculate the combined functions of additional corrections and models stated above. A successive under-relax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prevent possible failure during the iteration process. Changes of the angle of attack according to the azimuth angle at the specified radial location of the blade were also obtained. The proposed numerical procedure was verified, and the predicted data of aerodynamic loads for the NREL Phase VI rotor bears an extremely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the experiment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