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atar user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아바타를 내장한 한글 지문자 학습 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Manual Alphabet Learning Game with Avatar)

  • 오영준;정기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7-80
    • /
    • 2009
  • 본 논문은 아바타를 내장한 한글 지문자 학습 게임 개발에 관한 논문으로써, 초보자가 수화아바타에게서 지문자를 쉽게 배우고 쉽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한글 지문자 인식 게임 프로그램개발을 제안한다. 지문자는 단어를 철자로 표현하는 한국수화의 어휘에 대응한다. 지문자 자모가 한글 자모에 일치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한글이 손 모양으로 표현되었다. 시스템은 OpenGL에 기반한 수화아바타강사 GUI 팝업윈도우와 지문자 인식모듈, 여러 한글 자음 글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게임 모듈, USB 카메라로 구성된다. 지문자는 한글 자모를 표현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아바타로부터 지문자를 배우고 USB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지문자를 간단하게 입력한다. 우리는 사용자들의 검증을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아바타와의 동일시가 가상 패션 아이템 속성 지각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with avatar and self-reference effects: Impact on perceived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 최우진;이유리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2호
    • /
    • pp.1-14
    • /
    • 2024
  •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users engage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avatars' reflecting their own identities. Users experience various virtual fashion items through avatars, and the fashion industry anticipates avatars wearing virtual fashion items as an emerging business opportunity. Many fashion brands are currently releasing virtual fashion items specifically designed for avata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act of user identification with their avatar on their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investment attractiveness, scarcity, playfulness, and aesthetics) and its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earch involved a survey of 250 females with prior knowledge of the metaver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hypotheses and validate the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at as users within the metaverse perceive greater identification with their avatar, they also perceive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more favorably. This finding affirms the self-reference effect, where users positively evaluate objects associated with themselves. Additionally, perceiving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was found to be positively linked to purchase intentions for virtual products and actual interest in the brand. Lastly, a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virtual fashion items was associated with forming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respective brand.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within the metaverse, emphasizing the active utilization of avatars and elements that facilitate user-avatar identification for effective engagement.

실시간 모션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버스 사용자-아바타 상호작용 구현 (Implementation of Metaverse User-Avatar Interaction using Real-time Motion Data)

  • 이강인;노은혜;조영재;이용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2-178
    • /
    • 2023
  • With the expansion of metaverse content and hardware platforms, various interactions in the virtual world have been built, raising expectations for an increase in immersion which is a major element of the metaverse. However, among hardware platforms that increase virtual immersion elements, the typical HMD platform can be a barrier to new user inflows due to its high cost. Thus, this paper focused on improving virtual-to-real interactions by extracting motion data using relatively inexpensive webcam equipment in PC environments, utilizing Unity game engines, Photon unity network, multi-platform implementations, and Barracuda neural network inference libraries.

  • PDF

SK-VM 기반의 Avatar E-mail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K-VM based Avatar E-mail Service System)

  • 이경진;송왕철;이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12-218
    • /
    • 2005
  • 현재 모바일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힘입어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폰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은 대부분 아바타 및 게임 컨텐츠가 그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K-VM을 기반으로 기존의 단순한 아바타 서비스가 아닌 이메일과 애니메이션 아바타를 접목시킨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설계, 구현했다. 서버는 아바타 및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DB 모듈과 메일 관리 모듈로 구현했고, 클라이언트는 아바타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재구성하여 메일 내용과 함께 보여주도록 구현했다. 이 모델은 휴대폰의 제한적 하드웨어 성능에 맞춰 클라이언트의 부하를 줄이도록 설계했다. 모바일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휴대폰의 제한된 성능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이 앞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Body Shape Analysis for an Avatar Generation of the Virtual Fitting System -Focusing on Korean Women in their 20's-

  • Jang, Heekyung;Chen, Jianhui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3호
    • /
    • pp.122-142
    • /
    • 2018
  • In the virtual fitting system, the use of a 3D avatar is not a simple garment model, but it should be able to reproduce the size and shape of the customer using a fitting system. Although various virtual fitting systems have their own 3D avatar sizing systems and provide 3D avatars that match the size of the customer, there are limitations in realizing the actual body shape in actual use by the consu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a 3D avatar with excellent size and conformity for customer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a 3D standard avatar of Korean women aged in their 20'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the consumer user friendly system change of a body type, and the consumer's ability in selecting a consumer representative body type. Based on the survey data of 'Size Korea' conducted from 2004 to 2015 at three times, we examined the change of body shape over 10 years.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6th and 7th data, 4 factors of the concurrent body shape change of women of the consumer demographic studied were selected through the use of a factor analysis. Following this analysis, the 4 extracted factors were clustered again and finally released 7 representative body types, which were obtained based on height and weight. The size of each representative figure is derived by the use of a regression analysis, and it is used as a basic data for 3D avatar formation of the virtual fitting system.

가상현실 수업시뮬레이션에서 가상학생과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시선응시 및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raction with Virtual Student on the User's Eye-fixation and Virtual Presence in the Teaching Simulation)

  • 류지헌;김국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1-59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집중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주의집중 정도를 알기 위해서 시선추적 기법을 적용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바타의 어느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시뮬레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응시 시간과 가상실재감을 분석했다. 실험참가자는 대학생 45명(여학생=21명, 남학생=24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의 수업시뮬레이션이 사용되었으며, 교권침해에 대한 시나리오들이 적용되었다. 종속변수는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응시시간이며 3개의 관심영역(AOI)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실험조건에 대한 사용자의 가상실재감(공간실재감, 몰두감, 사실성)을 측정했다. 실험참가자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경험했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시나리오와 AOI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고, 시나리오와 AOI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시나리오의 유형과 상관없이 사용자는 언제나 아바타의 얼굴표정에 상당히 많은 시선응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Realistic Expression Factors According to Visual Presence in Terms of Iris color and Pupil Accommodation of Virtual Avatar)

  • 원명주;박상인;이의철;황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
    • /
    • 2014
  • 가상환경에서 가상 아바타는 말과 감정을 전달하는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적용한 가상 아바타를 모델링하였다. 3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이미지를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문항(18문항)을 구성하여 5점 척도로 보고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동공 크기변화가 적용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채색은 실재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 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 표현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실재감 있는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간 감정 표현 아바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Emotional Avatar)

  • 정일홍;조세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35-2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표정 변화를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아바타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시간 감정 표현 아바타는 수동으로 아바타의 표정 패턴을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라 웹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 모양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한 입 모양의 패턴을 분석한 뒤, 미리 정의된 표정 패턴에 부합되는 것을 찾는다. 그리고 부합된 표정 패턴을 아바타에 적용하여 아바타의 얼굴 표정을 표현한다. 표정 인식 아바타는 웹캠에서 들어온 영상을 모델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입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표정 패턴 추출은 표정에 따라 입 모양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였다. 모델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눈의 정보를 찾은 후 그 정보를 이용하여 입 모양을 추출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13가지 입 모양으로 각각의 표정을 유추하고 각 표정 패턴에 맞는 6개의 아바타를 미리 구현하여 보다 빠르게 아바타의 표정을 변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메타버스 내 아바타 정체성 확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How do people verify identity in the Metaverse: Through exploring the user's avatar)

  • 김기현;이성원;서길수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189-217
    • /
    • 2023
  •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활동을 하게 되는 가상의 세계이며, 아바타는 가상 세계에서 나를 대신하는 '또 다른 자신'이다. 최근 메타버스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으나, 메타버스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구현되는 정체성을 탐구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아바타 사용 관련 네 가지 IT 아티팩트 특성(아바타 표현, 아바타 공현존감, 아바타 프로파일링, 아바타-공간 상호작용)이 지각된 아바타 정체성 확인을 매개하여 메타버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제페토 플랫폼 유경험자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바타 표현, 아바타 프로파일링, 아바타-공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IT 아티팩트의 사용이 지각된 아바타 정체성 확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충족된 자기 확인은 지속 사용 의도에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메타버스 내 아바타에 투영한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버스 기술 요소들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기여를 한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에게 메타버스를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미디어 환경에 따른 Avatar Character의 사용자 선호 Typ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Preference Type of Avatar Character in the Multi-Environment)

  • 김치용;조동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
    • pp.656-660
    • /
    • 2003
  • Web환경의 발달로 인해 아바타(Avatar), 사이버캐릭터(Cyber Character), 사이버 펫(Cyber Pet), 이모티콘(Emoticon)등의 멀티미디어 캐릭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 사용자들이 과거에는 Web의 익명성에 매료되었다면, 현재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캐릭터를 이용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나타내고자하는 욕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캐릭터 중에 아바타 캐릭터 Type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조사하여 일반 캐릭터와 상호비교 해봄으로써 기존의 일반 캐릭터와는 다른 아바타 캐릭터만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아바타 캐릭터 제작시 가장 효율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장 효과적인 아바타 캐릭터 Type은 캐릭터의 형태나 성격, 느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보다는 먼저 아바타 캐릭터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즉 사용자의 개성이 좀더 어필(Appeal)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개성연출에 적합한 Type으로 제작되어야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