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obile traffic accident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5초

근거리사진측량을 이용한 도로에서의 정지시거 정립 (Thesis of Non-passing Distance in Road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 최석근;이선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7-414
    • /
    • 2007
  • 우리나라는 자동차대국이나, 교통사고발생은 OECD 29개 국가 중 25위로 최하위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공공교통시설개발사업에 관한 투자평가지침에 의하여 산정해 보면 직접적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 곡선부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지시거의 기준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근거리 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지형의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현재 국내외의 정지시거 기준을 분석하여 이들 기준을 재정립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설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성적 추론을 이용한 자동차 충돌 사고 재구성의 검증 (Verification of Automobile Collision Accident Reconstruction Using Qualitative Reasoning)

  • 김현경;명한나;한인환
    • 인지과학
    • /
    • 제10권4호
    • /
    • pp.63-70
    • /
    • 1999
  • 자동차 충돌 사고 재구성이란 사고 상황으로부터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충돌로 인한 사고 거동 및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사고 재구성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충돌 재구성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정량적 충돌 재구성 시스템과 정성 적 충돌 추론 시스템을 통합하여, 상호 보완적 역할을 통해 기존의 단일 시스템이 갖는 제한점들을 극복할 수 있었다. 통합된 시스템은 충돌로 인한 거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아울러 정성 적 충돌 거동 묘사를 제공한다. 강체 동역 학 이론에 기초한 충돌 역 해석 과정 시 정성 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잘못된 가설을 검증하여, 모순되는 가설을 초기 단계에서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인과 관계에 근거한 정성 적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수치 모델에 의해 예측된 결과의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본 시스템은 자동차 충돌 사고의 충돌에 적용되어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장착 차량의 브레이크 제동력 분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king Force Distribution of ADAS Vehicle)

  • 윤필환;이선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550-560
    • /
    • 2018
  • 세계 각국 정부는 자동차 안전성 향상을 위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해 연구 지원 및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교통사고 사상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교통사고 사상자 수는 OECD 35개국 가운데 최하위이며, 사망률은 31위를 기록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사고의 원인에 따라 차대차(V2V, Vehicle to Vehicle), 차대사람(V2P, Vehicle to Pedestrian), 차량단독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사고원인은 운전자의 인지, 판단, 조작 등의 실수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고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제안된 것이 ADAS 이다. 그리고 현재 자동차 산업계에서는 각종 안전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나, 성능검사를 위한 실차시험은 제한적이며 위험성을 동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한적인 실차시험의 극복을 위해 브레이크 제동력 평가 기술에 관한 시험평가 방법의 국제표준을 검토하고, 제동력에 관한 이론식과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 뒤 이를 실차시험으로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는 ADAS의 기능에 따른 제동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개발단계에서 제안한 이론식으로 경향성 예측이 가능해져 실차시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차로 충돌 속도 추정 (The Estimation of Collision Speed at the Intersection using Simulation)

  • 한창평;천정환;최홍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14-521
    • /
    • 2021
  • 수식적 해법을 이용하여 교차로 교통사고 충돌 속도를 산정을 위해서는 충돌 전 차량 진입각 및 충돌 후 차량 이탈각 추정은 비교적 쉽지만, 충돌 후 차량의 감속을 분석하기는 매우 어렵다. 충돌 지점부터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면 흔적이 발생하지 않으면, 충돌 후 차량의 감속을 분석하기 어렵다. 차량의 주행 특성에 따른 관성력과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에 따른 편심력 등의 작용으로 충돌 후 차량 운동 궤적은 불규칙한 곡선 궤적을 보인다. 그러므로, 정확한 충돌 속도 분석을 위해서는 충돌 후 적정한 이탈각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PC-Crash)을 이용한 모의 충돌 실험 자료에 근거하여 충돌 후 적정한 차량 이탈각과 충돌 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회귀 분석 모형을 제안하고, 교차로 충돌사고에 차량 이탈각만을 적용한 충돌 속도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 분석 모형에서 결정 계수는 0.864이므로 제시한 회귀 분석 모형이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통사고 데이터의 패턴 분석과 Hybrid Model을 이용한 피해자 상해 심각도 예측 (Pattern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data and Prediction of Victim Injury Severity Using Hybrid Model)

  • 주영지;홍택은;신주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4호
    • /
    • pp.75-82
    • /
    • 2016
  •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과 도로 환경의 변화를 통해 국내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였으나, 이로 인해 교통사고율 또한 증가하였고, 인명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교통사고 데이터를 개방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추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사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래스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Hybrid Model 구축을 통한 교통사고 예측을 위해 원본 교통사고 데이터와 Sampling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두 학습데이터에 연관규칙 학습기법인 FP-Growt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상해 심각도와 연관된 패턴을 학습한다. 두 학습 데이터의 연관 패턴을 분석을 통해 같은 연관된 패턴을 추출하고 의사결정트리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기법에 연관된 속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융합형 Hybrid Model을 구축하고 교통사고 피해자 상해 심각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한방병원에 입원한 교통사고 환자 50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on 500 Cases with Traffic Accident Patients Admitted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 김은걸;이동건;정원제;조현석;배재익;김승현;김경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5호
    • /
    • pp.29-38
    • /
    • 2009
  •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patients admitted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due to traffic accident. Methods : 500 inpatients of traffic accident from Jan 1, 2005 to May 31, 2009 were analyzed according to medical charts. Results :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 patient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2008 were bigger than in 2005. Most of patients were cared by western medicine right after accidents and several days later they started searching for oriental medical treatments. Most of the symptoms were not so severe at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The method of the treatment were restricted by automobile insurance limitation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s are effective in traffic accident patients without surgical inju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progress report that after traffic accident patients are discharged from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 PDF

차량용 블랙박스 기술 특허분석 및 표준화 방안 (Patent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Methods of Automobile Black Box Technology)

  • 한인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43
    • /
    • 2007
  • 차량용 블랙박스는 교통사고 예방 및 원인 규명을 위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공개되어 전 국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정부 기관이나 보험 업체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 전체에 긍정적 파급 효과가 큰 지능형 요소 부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술적 내용과 국내외 기술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외에서 출원된 특허 분석을 통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 대한 특허 출원 현황 조사 결과와 핵심 특허 기술의 심층 분석 내용을 제시한다. 또한,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법제화 동향 등을 서술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표준화 제정 및 블랙박스 제품기술 개발 방안들을 함께 제시한다.

사고기록장치의 기록 시점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Time Zero (T0) of Event Data Recorder)

  • 박종진;박정만;박정우;인병덕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5-41
    • /
    • 2023
  • On December 19, 2015, as Article 29-3 (Installation of Accident Recording Device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f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came into force, In Korea, the EDR (Event Data Recorder) reports are often used for the analysis of various traffic accident cases such as multiple collisions, traffic insurance crimes, and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UA), and the others. So many investigators have analyzed the driver's behavior and vehicle situation by comparing the time zero in the EDR report to the actual crash time in dash-cam (or CCTV). Time zero (T0) is defined as the reference time for the record interval or time interval when recording an accident in Article 56-2, Enforcement rule of Performance and Standard for Automobile and Automotive parts. Also in the EDR report, time zero (T0) is defined as whichever of the following occurs first; 1. "wake-up" by an air-bag control system, 2. Continuously running algorithms (by monitoring of longitudinal or lateral delta-V), 3. Deployment of a non-reversible deployment restraint. We have already proposed the "Flowchart & Checklist" to adopt the EDR report for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and the necessity of specialized institutions or courses to systematically educate or analyze the EDR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port to traffic accident investigators notable points and analysis methods based on some real-world traffic accidents that can be misjudged in specifying time zero (T0).

LED PANNEL을 사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 자동차 신호 제어기 및 광고판 (LED PANNEL with Automobile Signal Controller and Advertising Board used to Local area Network)

  • 박진기;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3-535
    • /
    • 2018
  • 현대시대 생활의 필수품인 자동차의 발전에 비례해 사고율도 급증적으로 증가하는 21세기에 좀 더 사고를 줄이고자, 본 논문은 차량의운전자가 급박한 상황이나 손이 불편한 노약자, 장애우분들을 위하여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집필하게 되었다. 자동차의 안전사고 및 다양한 신호를 운전자가 음성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하면 자동차후면 LED pannel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영상신호로 처리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명확히 전달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 근거리 상업 지역의 광고판으로써의 광고효과와 현 교통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실시간 차선 이탈 경고 및 Smart Night Vision을 위한 HDR Camera Platform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for Real-tim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 Smart Night Vision Based on HDR Camera Platform)

  • 박화범;박지오;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17
  • 최근 발전되고 있는 정보통신 IT기술은 자동차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발전하고 있다. 근래에는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위해 IT 기술이 접목된 장치들이 장착 되고 있다. 하지만 편의성이 증가된 장점과 함께 운전자의 주의 분산으로 인해 교통사고를 증가시키는 단점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여러 방식과 종류의 안전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adar Sensor나 Stereo Video 영상을 이용하지 않고 보행자 및 차선 이탈 경보를 알려주는 다기능 카메라 주행 안전 System을 구현하는 방법과 차선 이탈 경보 Software 결과 분석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