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무인단속시스템 설치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Application)

  • 주두환;현철승;이호원;한원섭;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5-63
    • /
    • 2009
  • 1997년 우리나라에서 무인과속단속시스템 32대가 처음 도입된 이래 2008년 1월 현재 약 3,700기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이는 운전자의 운전행태 및 교통특성 변화를 유도함으로서 교통안전을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교통사고건수 및 사망자 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설치효과 평가방법은 설치전후 각 1년간 단순 비교하는 방법으로, 설치 바로 전년도의 교통사고건수가 다른 요소에 의해 최근 몇 년간 발생건수에 의해 급격히 증가(감소)하였을 경우 시스템 설치 후 감소(증가)되었어도 명확히 시스템 설치 효과라고 단정 짓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설치전후 4단계 분석기법을 근간으로 하여 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효과에 대하여 새롭게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06년도에 설치한 205대의 과속단속시스템 설치효과는 기존의 분석방법에서 제시한 18%의 교통사고건수 감소효과가 아니라 시스템 설치효과에 의해 $27.4{\pm}3%$, 도로개선 등 기타 요인으로 인한 오차범위가 ${\pm}12.89%$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속도위반단속시스템에 의한 주행속도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s of Runing Speed Characteristics by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 김완기;류부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8-83
    • /
    • 2010
  • An install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ASES) was known for traffic safety and accident preventive effects that traffic characteristics transmute by speed distribution stabilizing. This study is verified the variations of average speed, 85% speed, speed distribution and dispersion as traffic characteristics depend on enforcement system influences in the road. We tested selected 5 areas. By and large, it has a little differences depend on road geometric structure and traffic environment but that is not too much. After all, after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installed in all of test areas, average speed, 85% accumulated speed, speed distribu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were declined and equalized. The speed dispersion was smaller than before installed the ASES. The speed dispersion value of each case that is the limited speed has been 70Km/h, 80Km/h at flat and straight, 80Km/h at downhill and straight or downhill and left-curved area was 77.3%, 65.2%, 68.7% and 54.1%. Each of the data was declined. We could analyze that average speed distributed depletion factor was declined rapidly by 66.3% in test area.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이 교통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int to 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s on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 박제진;이윤미;박재범;강정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5-95
    • /
    • 2008
  •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인 과속을 줄이기 위하여 경찰청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과속단속카메라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지점식 과속단속카메라의 경우 GPS 탑재장치에 의해 위치가 노출되어 과속단속 실적이 떨어지며, 과속단속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차로나 구간에서 캥거루 주행 등 회피거동에 의해 과속억제 효과 또한 감소하고 있다. 운전자의 회피거동으로 인하여 긴 내리막 구간, 터널, 교량 등에서 과속예방효과나 교통사고 감소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요 시설이나 위험구간에서 차량들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교통사고 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구간과속단속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속도로에 최초로 도입된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시스템 적용 전 후 교통류특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 시스템 설치 후 속도저감 효과 및 해당 구간의 교통류 안정적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구간과속단속 운영구간에 있어서 교통안전성 제고와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속도로 고정식 과속단속시스템 설치위치별 효과분석 (Effec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in Highway)

  • 박제진;김중효;박태훈;하태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7-37
    • /
    • 2007
  • 과속단속시스템은 지능형교통체계(ITS)의 한 영역인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속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시스템이 시거가 확보되지 않은 구간이나 급커브 지역 등에 설치됨으로써 추가적인 교통사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기하구조별로 시스템 설치위치를 구분하고, 각 위치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를 시스템 설치 전 후로 나누어 기하구조별 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 전 후의 사고건수(Frequency), 대물피해환산법(EPDO,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을 통한 사고심각도와 사고비용(Accident Cost)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 절차를 통해 시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최종적으로 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위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구간속도위반 단속장비 설치효과 분석 - 미시령동서관통도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at the Misiryeong tunnel section)

  • 이호원;주두환;현철승;정준하;박부희;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18
    • /
    • 2013
  • '97년 속도위반 단속장비 도입으로 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지속적으로 확대 설치하여, 2012년 12월말 현재 5,348대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대교, 터널 및 경사구간 등 위험도로구간에서는 치사율이 일반도로부의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연속적인 속도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고정식 속도위반 단속장비는 한 지점에서의 속도만으로 과속을 단속하는 장비로 단속지점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캥거루효과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위험이 존재하는 도로구간에서는 교통사고예방을 위해 평균 구간통행속도를 단속하는 구간속도위반 단속장비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시령동서관통도로를 중심으로 구간속도위반 단속장비 설치 전, 설치 후 및 철거 후의 구간통행속도와 교통사고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인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효과는 첫째, 평균 구간통행속도가 약 21.4%~31.0% 감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구간속도위반 단속장비를 터널입구부터 요금소 전방까지 전구간에 설치하였을 때는 월간 교통사고 건수가 45.9% 감소하였으나, 철거 후에는 설치 전에 비해 월간 교통사고 건수가 65.1%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미시령동서관통도로와 같이 위험구간이 연속으로 이루어진 구간에서는 전 구간에 걸쳐 구간단속을 설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도입 방안 연구 (The Enforcement Scheme of the Overspeeding vehicle by Travel Speed)

  • 한원섭;김만배;현철승;유성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1-32
    • /
    • 2005
  • 현행 무인교통단속장비는 특정한 지점에서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단속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운전자들이 시스템 설치 지점 앞에서만 속도를 줄이고 통과하자마자 다시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터널, 교량 및 커브 구간에서의 사고 위험도는 다른 구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일정구간에 걸쳐 도로나 교통여건으로 과속교통사고의 위험이 높거나 과속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도로구간에서 안정적인 속도관리를 위해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교량 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여 기존 지점과단속시스템의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도로구간의 적정거리를 현장 도로구조, 교통여건, 사고발생 내용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교량이나 터널에 대하여 적절한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제시하였다.

비교그룹방법을 이용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 설치 효과 분석 (Study of the Effect of the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Using a Comparison-Group Method)

  • 윤일수;박성호;오봉식;오영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77-185
    • /
    • 2011
  • 터널, 교량, 커브구간 등 교통사고위험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도로구간에서의 대형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경찰청은 2007년 1월 위험도로구간에서 교통관리 대책의 일환으로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 시범설치 운영을 결정하였다. 2007년 12월 영동고속도로 둔내터널 강릉방면을 시작으로 2011년 7월 현재까지 고속도로 8개 구간 및 국도 3개 구간, 총 11개 구간 85km에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이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구간단속시스템의 설치가 교통사고 감소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 스템 설치 전 후 교통사고건수를 체계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비교그룹방법을 이용하여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의 설치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8년 고속도로에 설치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을 대상으로 설치 전 후 각 1년의 사고이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사업을 시행함으로서 49.97% 사고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류 상태에서 고속도로 구간과속단속구간 및 대조구간 간의 교통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Zone and Comparison Zone on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under Free-flow Conditions in Expressways)

  • 심지섭;장기태;정성봉;박신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2-191
    • /
    • 2015
  •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은 속도위반 차량을 효과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기존의 지점 과속단속시스템의 경우 차량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 서비스로 인해 단속 효과가 현격히 낮아지게 되었다. 구간 과속단속시스템은 지점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지점에서 나타나는 카메라 전후에서 급감속 및 재가속을 반복하는 회피 거동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어 설치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도로 상에 설치된 구간 과속단속시스템에서 나타나는 교통류 특성에 대해 대조 구간을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구간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중부내륙선, 대전-통영선, 영동선 내의 구간 과속단속 시행구간에 대해 VDS 검지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데이터필터링을 통해 비교분석에 용이한 조건을 설정하고 자유속도 상태에서의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간 과속단속구간 내에서는 대조 구간에 비해 속도 평균 및 속도 분산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무인속도위반단속시스템 설치구간에서의 운전자 운행특성 분석 (A Study on Driving Characteristics of Drivers at the Enforcement System Based on Speed Data)

  • 이호원;김동효;박부희;이철기;하동익;이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3-53
    • /
    • 2010
  • '97년 전국 5개 지방경찰청 32개 지점에 무인과속과속단속시스템의 도입으로 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지속적으로 확대 설치할 예정에 있다. 2010년 7월말 현재 4,495대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대교, 터널 및 경사구간 등 위험도로구간에서는 치사율이 일반도로부의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연속적인 속도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은 한 지점의 속도만으로 과속을 단속하는 시스템으로 단속지점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캥거루 효과가 발생하고 있어 연속적인 속도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속적인 위험이 존재하는 도로구간에서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구간의 평균속도로 과속차량을 단속하는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과 무인과속단속시스템 설치구간에서의 운전자 운행 특성인 캥거루 효과를 분석하고, 또한 제한속도 준수를 위한 두 시스템에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에서는 캥거루효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무인과속단속시스템에서만 캥거루효과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캥거루효과에 의한 차량 감속은 약 400m 전방에서 감속을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의 평균속도가 무인과속단속시스템 보다 약 35km/h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적으로 무인구간속도위반단속시스템이 캥거루효과도 없을 뿐만 아니라 제한속도 준수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2중 루프검지기 속도측정 정확도 개선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Speed Measurement Accuracy Using Double Loop Detectors)

  • 강정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63-174
    • /
    • 2002
  • 최근 국내에 확대 설치되고 있는 자동과속단속시스템의 핵심은 주행차량의 지점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검지부의 정확도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속도검지부의 경우 대부분 2중 루프검지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고 있는 데 속도측정정확도는 루프검지기의 하드웨어 성능뿐 아니라 루프검지기 발생신호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에 상당부분 의존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중 루프검지기의 속도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서 평가하였다. 먼저 이론 및 현장실험에서 밝혀진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원인별로 개선방향을 분류한 뒤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검지기의 2개의 진입시점 신호 뿐 아니라 진출시점 신호까지 포함시켜 정확도를 높이는 2중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둘째, 속도측정 오차의 허용범위인 $\pm$5%를 초과하는 원인이 되는 검지영역내 비정상적인 주행궤적차량 즉, 대자선주행과 동시진입차량을 걸러내는 필터링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현장실험을 통하여 개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속도측정정확도가 대폭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각선 주행차량, 동시진입차량 등 검지영역 내에서 비정상적 주행궤적을 발생시켜 심각한 오차를 발생시키는 차량들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