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work scal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4초

서비스직 종사자들의 결핵관련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about Tuberculosis in Service Workers)

  • 강승랑;김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54-363
    • /
    • 2016
  • 본 연구는 서비스직 종사자들의 결핵관련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서비스직 종사자를 위한 결핵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7일까지 전남지역 대규모점포에 재직 중인 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단변량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를 적용하였다. 결핵에 대한 지식 정도는 평균 14.05점(30점 만점), 태도 정도는 평균 29.88점(60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결핵 예방행위 정도는 평균 31.44점(60점 만점) 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핵 예방행위는 성별, 결혼상태, 흡연형태, 직업 만족도,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결핵관련 지식, 태도 및 결핵 예방행위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 연령과 결핵 예방행위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비스직 종사자의 결핵 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결핵에 대한 정보 제공시 동기부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단순한 결핵 예방행위를 위한 지식뿐 아니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정신과 간호사 중심- (A Study on Work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 배정이;서문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9-272
    • /
    • 198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egree of work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working in psyciatric ward,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fference of work stress. The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5 psyciatric nurses from 7 university hospitals and 4 provincial general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20, 1988.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PNOSS(Psychiatric Nurse Occupational Stress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Bai(1989). The confidence verification of this instrument was computed and the Cronbach $\alpha$ was 0.94050. Data were analysed by t-test and ANOVA on 5% significant level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 : 1)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among psychiatric nurses was considerably high(4.32 out of 6.00). 2) Among the stressors, inadequate staffing(5.04), hospital administrational problems (4.7) and the conflict of nurse-patient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s the stress factors with high rank of degree of stress. 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tress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nurses such as th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the motivation of working in psychiatric ward. 4)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job-related variables such as the working duration, the motivation of working and nurse's attitude toward the psychiatric patients. 5)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stress factors and some of the demographic and the job-relate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 PDF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the Work Environment / Occupation on Hiv Related Stigma: A Case of Service Staff in Grahamstown: Eastern Cape, South Africa

  • Mazorodze, Tasara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5호
    • /
    • pp.41-47
    • /
    • 2014
  • Purpose -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one's occupation influences one's attitude toward people with HIV/AIDS and suggests ways to counter HIV-related stigma in different work settings. Two samples comprising workers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occupations with contrasting personalities were chosen. Thus, security guards (authoritarian types) and catering workers (social types) were includ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ample comprised246 service staff from the Rhodes University Catering Division and the Hi-Tec Security company, both in Grahamstown, South Africa, a small Eastern Cape province town. All employees at these organizations during the survey were eligible to participate. Results -The security sample displays significantly higher personal stigma scores than the catering sample, according to the Visser personal stigma scale (mean scores of 4.01 and 1.37, respectively; t=10.30, df=244, p=0.00). Similar results were found using Visser subscale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occupation is a strong predictor of HIV-related stigma in the workplace, suggesting that workplace settings, by attracting particular personalities and influencing workers, may shape attitudes towards those who are HIV positive.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by Science Teacher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 이재천;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8
    • /
    • 1999
  •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이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서, 과학수업 과정에서 교사에 의한 학습환경의 분위기나 풍토를 조성하는 심리적 측면이 학생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년간 동일한 교사로부터 과학수업을 받은 중 고등학교 2, 3학년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교사인식을 바탕으로 심리적 학습환경을 측정하고, 이 환경인식에 따른 과학불안 인식,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탐구능력, 과학성취도와의 관계 및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밝혀진 결과는 심리적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 성향과 인지적 학습결과에 직 간접적인 효과를 주며,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교사가 조성하는 수업태도, 인성특성, 학습분위기, 수업행동, 지원적 행동 등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인 행동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의 사태로써 유의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과학 성취에도 의미있게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태도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of Korea)

  • 강경아;김현숙;권소희;남미정;방경숙;유수정;정연;최성은;정복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89-300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말기아동 간호에 대한 교육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인 ELNEC-PPC에 참여한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PPC)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2012년 ELNEC-PPC 교육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등록한 간호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서명날인 후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20문항의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학력수준과 소아과병동 및 호스피스 근무경험에 따라 PPC에 대한 지식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소아과 근무경험, PPC 경력 및 교육경험 이수 정도에 따라 소아 호스피스완화의료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기혼 간호사는 자녀의 완화의료서비스 결정에 대한 보호자의 권리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석사 이상군은 PPC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가 높았다. 결론: PPC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구직효능감(job-seeking efficacy)으로 인 한 Work-net의 이용의도 및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Job-seeking Efficacy on Use Intention and Outcome of the Work-net)

  • 오성욱;윤성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3권
    • /
    • pp.113-133
    • /
    • 2004
  • 본 논문은 인터넷의 이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구직활동 태도에 대한 지각된 요소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모델로 Davis의 TAM의 두가지 측면 즉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인터넷 구적효능감 또는 추어진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터넷 활동을 실행하거나 조직화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은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대한 보다 호의적 태도를 얻는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연구모형 검증은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구성개념간 이론적 인과관계와 측정지표를 통한 경험적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AMOS 통계처리 도구활 이용하였으며 인터넷의 구직효능감에 대한 내적 일관성과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많은 과거 연구결과에서도 지각된 유용성이 정보기술의 이용행동에 과 이용자의 수용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에 따라 어떻게 지각이 형성되고 변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유용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결정계수들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며 인터넷상에서 보다 높은 구직효능감이 지각된 유용성 뿐만아니라 이용의도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직무분석을 통한 공수도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개발연구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of Karatedo Instructor's through The duty analysis)

  • 정일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523-4535
    • /
    • 2012
  • 공수도의 대중화를 위한 방안으로 우수한 지도자 육성이 시급하며, 이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직무분석 방법 중 하나인 DACUM을 이용하여 공수도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직무와 작업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고, 공수도 양성교육과정 개발 및 구성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여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수도지도자의 직무수행 능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CUM을 이용하여 핵심작업별 지식, 기능, 도구, 태도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과목을 도출하게 되고, 다시 각 교과목의 교육내용을 재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성 모형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Likert scale의 7단계를 이용하여 관리자 28명과 지도자 108명을 대상으로 직무영역의 중요도와 교육필요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밝히기 위하여 DACUM과 SPSS WIN Ver. 14.0을 이용하여 t-test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요구분석 과정을 통해서 핵심작업을 도출하고, 각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공수도 지도자에게 필요한 지식, 기능, 도구, 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작업에 대한 지식, 기능, 도구, 태도 분석결과 47개의 핵심작업에 대해서 167개의 지식항목, 143개의 기능항목, 60개의 도구항목, 16개의 태도 항목을 재분류하여 총 18개의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공수도 지도자 양성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모형은 '공수도 실기전문가 영역', '공수도 이론전문가 영역', '공수도 도장경영전문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운영방식은 1단계 기본과정, 2단계 통합과정, 3단계 심화보충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한국 임상수의사의 전문직업성 및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Veterinarians)

  • 천명선;김진석;이문한;류판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48
    • /
    • 2012
  • This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as aimed to analyze the veterinarians' attitude toward their profession and educational needs in Korea. Two hundred and ninety nin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dered nontechnical competenc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skills, important as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veterinaria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terinarians'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groups of gender, region, specialty, employment status, and work hours. The factor analysis of adjusted Hall's professionalism scale showed 4 dimensions of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belief in self-regulation, belief in public service, using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t, and autonomy.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needed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veterinary students and veterinarians.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전인건강에 대한 태도 유형: Q-방법론적 접근 (Attitude Styles toward Holistic Health in Male Baby Boomers using Q-methodology)

  • 정현옥;신은정;박경란;유광자;김희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1-51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ttitudes of male baby boomer toward holistic health using Q-methodology. Methods: Q-methodology is analysed through the subjectivity of each type of attitudes. Thirty-five q-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45 statements. These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six areas (Physical, psychological, spiritual, work and leisure, love and friendship, culture). The recruited P-sample consisted of thirty-four male baby boomers from one town and two cities. The 35 selected Q-statements from each of 35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shape of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PQMethod Program 2.11. Results: Four types of male baby boomer attitudes towards holistic health were identified. The first is a relationship oriented-marital relationship oriented type, the second type is an economic oriented- job seeking type, the third type is a nature friendly oriented-independent living type, and the fourth type is health oriented-physical health seeking ty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fferent approaches to holistic health promotion program c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four types of holistic health attitudes among baby boom generation males in Korea.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 : 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Obstructing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and Job Burden Perceived by Police Officers Who are Providing Special Protection for Them)

  • 홍순혜;박윤숙;원미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223-240
    • /
    • 2003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이 신변보호담당과의 업무부담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도모해야 하며 어떤 사회적 기술 습득을 지원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변화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갖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은 그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갖고 있는 장애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20개 항목을 구성하여 148명의 신변보호담당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립능력, 생활태도, 사회문화적 적응, 신변보호담당관의 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들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었으며, 4개 요인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장애요인들 중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요인만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향상되었고 다른 요인들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이 지각하는 신변보호 업무량, 업무난이도, 신변보호담당관과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는데, 생활태도와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