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internet shopping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인터넷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혼합 선택에 따른 소비자 의복 쇼핑 성향 및 쇼핑 행동 차이 연구 (The Differences i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Behaviors by the Multi-store Selection of Internet and Offline Stores)

  • 김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64-77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behaviors by the multi-selection of internet and offline sto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three as internet-store users,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OVA, post-hoc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par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Regarding the offline shopping orientation, the groups showed difference in the impulsive orientation, and regarding the online shopping orientation, the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he goal oriented and enjoying orientation. In all the three cases, the internet users showed strongest orientation, and the next were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The cause of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as the familiarity and experience with the channel. Second, the clothing shopping behaviors were also par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store type and benefits sought,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hopping. The internet-store users showed most positive attitude, and the next were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응용한 인터넷쇼핑행동 고찰 (An Investigation on Consumer's Internet Shopping Behavior Explained B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구동모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141-17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s internet shopping behavior of consumers.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shopping markets is solely dependent on the voluntary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medium by the personal users. But the studies on this topic are very limited.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recognizing the internet shopping medium as an innovation, studies how consumers understand and use innovative internet shopping medium by applying and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roposed by Davis et. al.(1989).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947 consumer panel reveal that compatibility, system quality have posi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perceived ease of use, system quality, and compatibil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but computer-efficacy has no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Meanwhile, it i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compatibility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internet shopping behavior, but perceived ease of use has no effect. In addition, perceived security and social norm, as opposed to the hypotheses, are shown to have no effect on internet shopping behavior. Lastly, applications and related limitations are discussed.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소비자 쇼핑 인식 (Consumer shopping perceptions of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이민선;이현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5
    • /
    • 2021
  •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gained enormous popularity in various fields of industry. An IoT shopp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convenient use by consumers. Perceived values (including convenience and privacy risks) of IoT shopping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shopping intentions. The current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 value-based adoption model, which integrated perceived benefit and sacrifice, shopping attitude, and shopping intention in an IoT shopping environment. As potential customers,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were recruited through a marketing research firm. Responses collected via an online questionnaire valida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 results confirm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benefit, including both remote control and access convenience, and consum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IoT shopping.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rivacy risk and consumers' shopping attitudes was not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s of two benefits of IoT shopping on shopping intention were also significant and positiv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study can help marketers and service providers manage their IoT shopping platforms or applications more effectively to attract consum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oT shopping environment are suggested.

긍정적, 부정적 쇼핑감정이 쇼핑가치와 인터넷 의류 쇼핑사이트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Shopping Value and Approach Behaviors of the Internet Apparel Shopping Site)

  • 박효은;여은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이용하여 의류 구매시 느끼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이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점포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Babin and Attaway가 오프라인 쇼핑 사이트 연구에 활용한 연구모형을 인터넷 쇼핑상황에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험자료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의류상품을 쇼핑하는 과업을 수행하고 제시된 설문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278명의 결과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으며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과 Amos 6.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인터넷 의류 쇼핑 사이트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사이트에 대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낮았으며,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사이트에 대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높았다. 이렇게 지각된 인터넷 의류쇼핑사이트의 쾌락적, 실용적 가치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재방문의도에는 실용적 가치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 PDF

인터넷 자기효능감으로 인한 웹쇼핑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Web Shopping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Internet Self-Efficacy -Focus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이종호;신종국;김미혜;공혜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0권
    • /
    • pp.1-26
    • /
    • 2002
  • 본 연구는 웰쇼핑 구매시에 인터넷의 첨단기법과 기술로 인해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저하될 때 그로 인한 웹쇼핑 태도와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인터넷에서 특정활동, 즉 구매행동이나 쇼핑을 성공적으로 잘 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및 자신감을 말한다. 이것은 과거에 행했던 것과의 관련이 아니라, 미래에 잘행할 수 있다는 판단과 관련이 있다. 아울러, 인터넷 수용에 대한 장애요인이 되는 복잡성, 지식과 새로운 사용자에 의해 직면하게 되는 불편 등은 인터넷 자기효능감의 부족으로 해석 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쇼핑에서의 인터넷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등과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고, 이로 인한 구매태도와 구매의도까지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용이성, 즉 인터넷의 사용이 쉽다는 것에 영향을 미쳐서, 이러한 지각된 용이성이 다시 유용성과 즐거움 등을 통해 웹쇼핑 구매태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지각된 용이성을 매개로 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케터는 무엇보다도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높여서 결과변수인 웹쇼핑의 구매태도와 구매의도를 획득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 PDF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세분시장에 따른 국내 뫼 해외브랜드에 대한 태도, 쇼핑태도,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Sportswear Benefit Segments: Attitude toward Domestic and Imported Brands, Shopp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90-700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segment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sportswear benefits sought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regard to domestic vs imported brand attitudes, internet vs department store attitudes, and sportswear purchasing behavior. The subjects used for the research were 773 male and female consumer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sportswear benefit segments: figure compensation/ ostentation, individuality, comfort/function, and youth-oriented groups.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four sportswear benefit segments were different in regard to imported brand attitudes, department store attitudes, and sportswear purchasing behavior. For example, figure compensation/ ostentation segment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imported brands and department stores, considered design and advertisement important as sportswear selection criteria, and had a highest expenditure on sportswear purchas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and Risk of Internet Shopp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 나윤규;홍병숙;강성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13-1225
    • /
    • 2008
  • This study looks at the customer's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of Fashion merchandise e-commerce and the Shopping-mall trust of the Internet shopping-mall these external variables are applied to the innovative technical use model, the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see the effect on the Shopping-mall attitude toward using the Internet shopping-mall and intention of purchase. Through this, the external variabl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e-commerce can be studied. The result showed that purchase intention of an individual differs by shopping-mall type and different factors affect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for each shopping-mall type.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 제품 분류 방식의 효과 (The Effect of the Fashio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n Online Shopping Sites)

  • 한서영;조윤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7-30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on user perception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online shopping sites. The caus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re also examined. The analysis was based on an online survey with 247 responses. Four types of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developed and used as a stimulus. The results of the mean comparis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variety, information overloa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attitude towards the site varies significantly with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There was also of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structure on perceived variety and information overload.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variety positively influenc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owever, information overload had a negative effect on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Both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si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assification method influences customer perception and attitude. It offers interesting insights on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s a strategic tool for online shopping.

소비자 관점에서 본 온라인 판매 제휴 성과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포털과 인터넷 쇼핑몰간의 판매 제휴에서 태도의 영향- (A Study on the Determinant of On-line Selling Alliance Performance in Consumer‘s Perspective -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the Selling Alliance Between Shopping mall and Portal Site -)

  • 고인곤;홍성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3호
    • /
    • pp.15-36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포털사이트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제휴를 통한 인터넷 쇼핑서비스에 대하여 전략적 제휴의 한 종류인 판매 제휴의 영역에서 소비자의 종합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태도와 제휴 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제휴는 규모 및 활용에서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비슷한 방문자수를 가지고 있는 포털사이트들에 입점한 동일 쇼핑몰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에 착안하여, 이의 원인을 밝히고 사이트 간의 판매 제휴의 성과에 대한 결정 요인을 소비자의 태도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온라인 상에서 제휴하는 두 브랜드(사이트)에 대한 개별적인 태도와 이들 두 브랜드 간의 적합성 인지가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털사이트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태도는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판매 제휴에 있어서는 각 파트너들(포털 및 쇼핑몰)에 대한 사전적인 태도뿐만 아니라 적합성까지도 아울러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포털에 비하여 입점몰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포털이 쇼핑몰 파트너를 선정하는데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쇼핑서비스에 대한 태도에의 영향력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사이트 간의 적합성 인지가 타 요소들에 비하여 영향력이 가장 작은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오프라인과는 구별되는 온라인만의 특성이 잘 나타난 흥미로운 결과이다.

  • PDF

인터넷쇼핑몰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of Internet Shopping Mall)

  • 김광석;신종국;구동모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주요차원을 고객이 쇼핑몰에 진입한 후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를 거치는 등의 쇼핑과정을 토대로 AIDA모형 관점에서 점포, 제품, 촉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VMD의 주요차원(primary dimensions)으로는 점포디자인, 머천다이징,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점포다자인의 하위차원으로는 차별성, 간결성, 위치확인성을, 머천다이즈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구색, 명성, 정보성을,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추천 및 링크를 설정하여 VMD태도와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세 차원은 종속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