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ingent effec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Saurus chinensis) 추출물의 미용 활성 (Beauty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rus chinensis by ultra-fine ground)

  • 박혜진;박기태;홍신협;김나현;박미정;홍은진;안동현;안봉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9-905
    • /
    • 2016
  • 삼백초를 기능성 미용식품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추출물의 미용활성을 측정하였다. 삼백초 물 추출물의 경우 tyrosinase 저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ethanol 추출물의 경우 초미세 분쇄의 경우 20% 이상의 미백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삼백초를 초미세분쇄 시 tyrosinase 활성저해 물질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삼백초 ethanol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100~1,000 ppm으로 조절하여 tyrosin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 1,000 ppm phenolic 첨가농도에서 100% 가까운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효과는 삼백초의 phenolic 첨가농도가 1,000 ppm이상의 농도에서 30% 내외의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미세 분쇄보다 초미세 분쇄 추출물이 더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삼백초 ethanol 추출물의 수렴성의 경우 250 ppm이상에서 70% 이상의 좋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 추출물은 일반 미쇄 추출물보다 미백,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등의 미용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주름개선, 모공축소 등의 기능성 미용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스팀 및 동결 전처리가 건조 감잎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t-water leachate prepared from persimmon leaf dried after steaming or freezing treatment)

  • 정헌식;윤광섭;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83-990
    • /
    • 2023
  • 감나무(Diospyros kaki T.) 잎의 유효활용을 위한 가공저장 기술개발의 방편으로, 생잎의 건조 전 스팀 열처리나 동결처리가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떫은 감잎을 무처리, 스팀 데치기(100℃, 30 sec) 또는 동결처리(-20℃, 15일)하고 열풍 건조(50℃, 12 h) 후 열수 추출(80℃, 10 min)하여 얻은 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기계적 색도 중 L*값(lightness)은 무처리구와 동결 처리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a*값(redness)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스팀 처리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흡광도로 측정한 갈변도는 대조구보다 동결 처리구에서는 높았지만 스팀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스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동결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으로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스팀 처리구에서는 sucrose 함량이 동결처리구에서는 glucose와 fructose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보였다. 총폴리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대조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는 높았고 동결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이로써, 감잎의 수확 후 스팀 및 동결 전처리는 건조 감잎 열수 추출물의 수율, 색, 항산화능 및 성분 특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결처리는 분해와 갈변반응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RAW 264.7 세포에서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증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erification of Ambrosia trifida L. extract in RAW 264.7 Cells)

  • 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9-89
    • /
    • 2020
  • 본 연구는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84.1%와 92.5%의 효과를 나타냈고, 수렴활성 측정을 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94.7%의 효과를 보였다.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RAW 264.7세포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에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0 ㎍/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Nitric oxide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NO 생성이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효과를 western blot을 통해 25, 50, 100 ㎍/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단백질 발현효과는 100 ㎍/ml 농도에서 8.6%, 25.1%의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ERK1/2, p38, JNK와 Iκ-Bα의 단백질발현 효과는 인산화를 통해 확인하였고,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RT-PCR을 통해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NOS, COX-2, interleukin (IL)-1β, IL-6, TNF-α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항염증 소재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thanol Extract on Melanoma Cell (B16F10))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8-157
    • /
    • 2019
  • 개망초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500{\mu}g/ml$에서 82%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500{\mu}g/ml$에서 8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mu}g/ml$에서 6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0{\mu}g/ml$에서 32.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망초 추출물에 대한 수렴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u}g/ml$에서 80%이상의 우수한 수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96%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관련 실험을 세포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mu}g/ml$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ITF, TRP-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과 tyrosinase 발현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 단계 유전자인 ERK와 CREB의 발현양은 미비했으나,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CREB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농도 별로 처리하였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및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그 하위 유전자 및 상위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신귀화식물 개망초를 기능성 천연 미백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저장조건이 탈삽감의 저장 후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Change after Storage of Deastringencied Persimmons)

  • 정혜승;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1
  • 저장한 방법 및 기간이 탈삽감의 저장 후 shelf-life 동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떨은감인 '청도반시'를 $25^{\circ}C$에서 70% $CO_2$+5% $O_2$의 기체조성비로 39시간 동안 탈삽처리하고 $0^{\circ}C$의 CA(5% $CO_2$+3% $O_2$, 8% $CO_2$+3% $O_2$), MAP(0.06 mm LDPE, 5.2% $CO_2$+6.8% $O_2$) 및 air 방법으로 15, 45, 75, 105일 동안 각각 저장한 다음 1$0^{\circ}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0^{\circ}C$에서 저장한 기간이 45일 이상부터 저장방법 별 차이를 보여 CA(8% $CO_2$+3% $O_2$) 저장한 과실에서 감소가 가장 억제되었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0^{\circ}C$에서의 저장 일수가 75일이 경과하면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CA와 MAP 저장보다 air 저장한 과실에서 약간 많은 감소를 보였다. 적정산도는 $0^{\circ}C$에서 저장한 기간이 75일 이하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저장한 방법의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중 color, hardness 및 overall acceptability는 CA저장한 과실이 다른 방법으로 저장한 과실보다 우수하게 유지되었으나 order, juiciness 및 sweetness는 저장한 방법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이산화탄소 탈삽감의 저장조건인 방법 및 기간은 저장 후 shelf-life 동안에도 과실의 품질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tudy on the Five Tastes in the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Medicine

  • 문영옥;안민섭;박진수;김훈영;이시형;금경수;박민철;조은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247-1260
    • /
    • 2009
  • 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the five tastes in the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Medicine. Medicinals as well as Foods are classified by the five tastes: sweet, sour, bitter, salty and pungent, which can be tasted by the tongu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dealing with the medicinal properties, some flavors are summarized out of clinical actions of medicinals, therefore,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flavors of medicinal herbs and the tastes got by tongue. Each taste acts on or has direct influence on a specific vital organ, and each of which has different physiologic actions. Taste also has a long-term or post digestive effect on the body and its metabolism. When each taste is consumed in moderation, it benefits the corresponding organ. Over-indulgence in any taste harms the organ and creates imbalance among the five vital organ systems. The Korean medicinal herbs with same flavor mostly possess similar actions while the medicinal herbs with different flavors show different actions in the treatment, which are shown as follows. Sour has absorbing, consolidating and astringent actions and acts on the liver. Bitter has the actions of drying or resolving dampness, purging and lowering and acts on the heart. Sweet has the nourishing, harmonizing and moistening actions and acts on the spleen. Pungent has an action of dispersing and promoting circulation of gi and blood and acts on the lungs. Salty has the effects of softening hard nodes or masses and promoting defecation, etc and acts on the kidneys. The five organ systems control and support each other. Proper coordination only exists when there is no one organ stronger or weaker than the rest. Since the five tastes have direct influences on the five organs, the diet we take should have a good combination of the five tastes in order to promote internal balance and harmony. They control our well-being and create dietary balance. Excessive consumption of any of these could result in adverse effects. In a word, when the properties of the five tastes respectively are distinguished, their natures and flavors cannot be separately considered. I think the harmonization of food and medicinals should be stressed on good nutritional diet to maintain good health. The traditional belief that food and medicine share the same origin is a part of Korean medicine tradition.

Āyurveda(아유르베다)의 약물 지식에 관한 연구 - 『Suśruta-saṃhitā·Sūtrasthāna (수슈르따-상히따·수뜨라스타나)』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Āyurveda Herbal theory in the 『Suśruta-saṃhitā·Sūtrasthāna』)

  • 서지영;이병욱;김학동;김기욱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5-156
    • /
    • 2014
  • Through a simple translation and analysis of the "Su$\acute{s}$uta-saṃhit$\bar{a}$(The fascinating tales) S$\bar{u}$trasth$\bar{a}$na(The Introduction)", I hav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to the $\bar{A}$yurveda Herbal theory. 1. The title of chapter 40 is "dravya-rasa-guṇa-vip$\bar{a}$ka-vij$\tilde{n}$anīya(Medcation Taste Nature Effects Digestion)", and it states theoretical knowledge on materia medica. It says that 'matter'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that it decides the curing effect. Although it does acknowledge the reason behind the doctors that emphasized things like 'taste', it mainly has a critical tone. The difference in philosophies and medical theory can be seen when we compare this to the "Caraka-saṃhit$\bar{a}$", 'theory on taste'. 2. The title of chapter 41 is "dravya-vi$\acute{s}$eṣa-vij$\tilde{n}$anīya(A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 Medica)", and the contents of the chapter have a similar tone to the thoughts of the S$\bar{a}$mkhya(數論派). All 'matter' was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ve elements of earth, water, fire, wind, and ether, and the predominant element makes it have an earth, water, fire, wind, or ether nature. Earth has an unmoving and down going nature, and makes the body strong. Water has an irrigating nature, and moistens the tissue and induces secretion and excretion. Fire has an upward-going nature, and improves sight and complexion. Wind relaxes and dries the body, and makes the mind and body agile. Ether gives flexibility, porosity, and candidness. The title of chapter 42 is "rasa-vi$\acute{s}$eṣa-vij$\tilde{n}\bar{a}$nīya(A Discussion on the Types of Rasa(taste))". "Rasa" is an important concept in $\bar{A}$yurveda. Sometimes it is translated as 'one of the seven types of bodily tissue' and seen as chyle, and sometimes it is seen as the tastes that can be felt with the tongue such as spicy, sweet, sour, bitter, salty, and astringent(澁). Volume 1, chapter 42 of the "Caraka-saṃhit$\bar{a}$" is dedicated to the "types of taste", and in chapter 26, it theorizes the concept of 'taste'.

소리쟁이 잎과 뿌리 성분 분석 및 사람 조골 유사 MG-63 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umex crispus and their Effects on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 박혜진;정재훈;현한빛;김지혜;김해성;오현일;황혜성;김하형
    • 약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307-313
    • /
    • 2014
  • Rumex crispus (curled dock), which is a perennial wild plant, has long been used as a laxative, astringent, and medicine to treat blood and skin diseases. We recently reported that the roots of R. crispus are an effective nutraceutical for bone. This study prepared ethanol extrac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nd analyzed the major constituen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such as cell viabilit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llagen content, and mineralization, were compared. The chromatogram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wo extracts exhibited quite different profiles: quercetin and quercitrin were identified as major peaks in the leaf extract, whereas cinnamtannin B1 and procyanidin isomers were the major peaks for the root extract. Neither extract was cytotoxic at concentrations of < $25{\mu}g/ml$. ALP activity and collagen synthesis-which are markers of the early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addition of the root extract compared with the addition of the leaf extract. In contrast, the leaf extract had a more stimulatory effect on mineralization-which is marker of the late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than did the root extract. In conclusion, extracts of both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stimulated the bone-forming activity of osteoblasts; in particular, the root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early stage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le the leaf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late stage. This difference in anabolic activity may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ppear to complement each other as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품종별 곶감(Diospyros kaki)의 영양성분 분석, 산화방지 효과 및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 (Nutritiona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brain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cultivars of dried persimmon (Diospyros kaki))

  • 김종민;박선경;강진용;박상현;박수빈;유슬기;한혜주;이수광;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25-2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5가지 공시품종인 상주둥시, 고종시, 고동시, 갑주백목,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가공된 곶감의 유리당, 지방산, 무기성분, 구성 아미노산, 바이타민 C와 같은 영양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in vitro 상에서 ABTS,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FRAP, 지방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MC-IXC 뇌 신경세포에서 신경세포 생존율과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세포막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유리당 분석에서는 상주둥시 품종이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고, 지방산 함량은 상주둥시 품종에서는 올레산(oleic acid)이, 고동시, 고종시, 갑주백목, 반시에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포타슘과 인의 함량이 다른 무기성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트산(aspartic acid)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바이타민 C 역시 5 품종 모두 검출되었다. 또한, 총 페놀성 화합물을 상주둥시의 9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ABTS, DPPH 라디칼 제거 활성과 FRAP, 지방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활성 그리고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 활성에서 갑주백목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 신경세포 생존율은 갑주백목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와 뇌 신경세포 세포막 보호효과 역시 갑주백목이 가장 큰 억제 활성과 보호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곶감은 뛰어난 산화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근간으로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리활성능력은 임산물의 고부가가치 소재개발에 있어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재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생리활성 물질의 검증이 부족하고, 산화방지 활성이 in vitro 상의 효과에 국한된 점에서 향후 물질분석과 인기지능 개선 효과 검증을 통해 인기지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봉감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면역증강 효과 (Beneficial Effects of Daebong Persimmon against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Immunity in vivo)

  • 이희재;임소영;강민경;박정진;정현정;양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91-496
    • /
    • 2015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떫은 감 품종인 대봉감과 반시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면역증강 효과를 탐색, 비교하였다. 쥐 모델을 대상으로 4주간 대봉감과 반시의 섭취는 식이섭취량과 체중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B지역의 대봉감 섭취는 고지방식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카탈레이즈 활성 수준을 증가시켰으며,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인 말론디알데하이드 수준은 고지방식이 대조군 대비 A지역 대봉감을 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A지역 대봉감의 섭취는 염증인자인 IL-1 beta의 수준을 고지방식이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 다른 대표적인 염증인자인 IL-6는 고지방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A지역과 B지역의 대봉감을 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TNF-alpha 수준은 A지역의 대봉감을 섭취한 군에서 고지방식이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A지역 대봉감 섭취는 IgG의 수준을 고지방식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IGF-1의 수준은 고지방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A, B, C 지역 대봉감 섭취군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봉감의 섭취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와 면역증강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