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agali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상엽 유래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항염증에 대한 상승효과 (Synergic Effect of Quercetin and Astragalin from Mulberry Leaves on Ani-inflammation)

  • 목지예;정승일;김장호;장선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30-836
    • /
    • 2011
  • The leaf of mulberry (Morus alba L)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everal diseas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nhibitory effects of a single compound isolated from the mulberry leaves on inflammatory response. We are isolate a single compound of quercetin (3,3',4',5,7-pentahydroxyflavone) and astragalin (kaempferol-3-O-glucopyranoside) from the mulberry leaves, and then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quercetin, astragalin or quercetin plus astragali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Each compound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NO, $PGE_2$ and IL-6) in LPS-stimulated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the cotreatment of quercetin (2.5 ${\mu}M$) and astragalin (2.5 ${\mu}M$) markedly suppressed the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ese suppressive effects were synergistically increased by their comb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quercetin and astragalin from the mulberry leaves may be useful for therapeutic drugs against inflammatory immune diseases, probably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잎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Leaves)

  • 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61-71
    • /
    • 2006
  • 국내산 주요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상수리나무 잎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의 성분의 특성 및 상호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kaempferol, a stragalin, astragalin-6"-O-gallate, isoquercirin, isoquercitrin-6"-O-gallate 및 myricetin 등 10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상수리나무에서는 gallic acid, kaempferol과 quercetin이 떡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ocatechin, (-)-epigallocatechin, kaempferol, quercetin, guajaverin 및 tamarixin 등 9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으며 갈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ffeic acid, astragalin, quercetin과 isoquercitrin이 졸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 quercitrin, isoquercitrin 및 myricetin 등 7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굴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astragalin, astagalin-6"-O-gallate와 isoquercitrin 등 5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다. Gallic aicd는 모든 수종에서 단리되어 참나무류 잎 추출성분의 지표 화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어수리 어린 잎으로부터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분리 및 함량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with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from the Young Leaves of Heracleum moellendorffii)

  • 박희준;누그로호 아궁;정보람;원유화;정연주;김원배;최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3-398
    • /
    • 2010
  • 식용으로 사용되는 산채의 일종인 어수리의 지상부로부터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hyperoside와 astragalin이 분리되었다.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던 hyperoside는 이 식물재료 중 함량도 높아 어수리 잎은 peroxynitrite 과잉생산시 유발될 수 있는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에 유익한 식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꼬리진달래 신초의 폴리페놀 프로파일링과 추출용매에 따른 유용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Polyphenol Profiling and Comparison of Extraction Solvents on Useful Compon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micranthum Shoot)

  • 강정목;박용우;정은숙;최대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119
    • /
    • 2024
  • 본 연구는 꼬리진달래의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꼬리진달래 신초 추출물의 폴리페놀 프로파일링을 통해 유용성분을 선발하고, 추출용매에 따른 유용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꼬리진달래 신초 추출물에서 37개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chlorogenic acid, astragalin, myricetin, afzelin의 추출용매별 함량을 비교한 결과, 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6.57±0.12 mg/g이었고, astragalin의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29±0.02 mg/g, myricetin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4.77±0.06 mg/g, afzelin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0.10±0.01 mg/g이었다. 꼬리진달래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01±2.36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8.08±3.44 mg/g이었다. 또한 꼬리진달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IC50값은 943.57±10.68 mg/L였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IC50은 641.60±7.58 mg/L였다. 꼬리진달래는 유기용매 추출 시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높았고, 동일 속의 종들과 비교하여 높은 함량의 chlorogenic acid, astragalin, myricetin, afzelin을 함유하고 있어 향후 건강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henolic Compounds of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Han, Suk-Young;Park, Jong-Cheol;Park, Hee-Juhn;Lee, Ji-Hyon;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14-117
    • /
    • 1991
  •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quercetin,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sambubioside and chlorogenic acid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Polygalga japonica

  • Do, Jae-Chul;Yu, Young-Jun;Jung, Keun-Young;Son, Kun-Ho
    • 생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3
    • /
    • 1992
  • From the leaves of Polygala japonica, kaempferol (1), astragalin (2), kaempferol $3-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3) and kaempferol $3,7-di-O-{\beta}-D-glucopyranoside$ (4), have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chemical and spectral means.

  • PDF

작약의 종(種), 부위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 of Medicinal Components by Different Species, Plant Parts and Growth Stage of Paeonia spp.)

  • 김세종;박준홍;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19
    • /
    • 2006
  • 작약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작약의 종 및 품종, 생육시기, 식물체 부위별 성분의 함량 분포와 변화를 HPLC를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의 종 및 품종간 성분의 함량 분포는 야생작약(P. japonica M., P. obovata M., P. anomala L.) 보다는 재배작약(태백작약, 의성작약)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더 높았고, 성분별 분포는 paeoniflo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순으로 높았으며 methyl gallate 는 의성작약에서 0.45%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 함량 분포는 methyl gallate는 꽃잎에서 1.79%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는 0.56% 함유하였고, 뿌리에는 0.01%로서 소량 분포하였다. Astragalin 은 꽃잎과 잎에서 높았고, 작약의 지표 성분인 paeoniflorin 은 뿌리에서 2.52%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도 1.09%나 함유하여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함량 분포는 생육초기인 4월에 가장 높았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므로 잎과 줄기를 이용하려면 뿌리 수확직전인 $8{\sim}9$월이 적기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