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 tunic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멍게, Halocynthia roretzi에서 분리된 해양버나바이러스의 특성과 물렁증과의 관련성 (Isolation of marine birnaviru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and its relation with tunic softness syndrome)

  • 송진경;윤현미;최병대;오명주;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37
    • /
    • 2009
  • The causative agent for the tunic softness syndrome of the culture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from Jan 1999 to Feb 2009 was identified using virus isol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d virus MABV UR-1 strain was determined by experimental infection trials. The cytopathic effects was observed in CHSE-214 cell line at a level 5.1% (4/78) in normal ascidian and 1.8% in abnormal ascidian showing tunic softness syndrome signs. MABV gene was detected in 16.8% (18/107) of normal and 13.1% (5/38) of abnormal organisms by PCR. The ratio of MABV isolation and gene detection was similar level in normal and soft tunic diseased ascidian. Based on the VP2/NS junction region sequences, eight strains of virus isolated from ascidian, were included in the same genogroup with MABV which is originally isolated in wide ranges of marine fish and shellfish species. The UR-1 strain caused 60% mortality (36.5% mortality in control group) by immersion infection and 37% mortality (same mortality in control group) in injection infection indica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cted and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cidian can act as reservoir of the MABV, and this virus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the ascidian mortality.

Sprague-Dawley계 쥐에서의 우렁쉥이껍질의 항당뇨.항고지혈증 기능활성 (Antihyperlipidemic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the Ascidian Tunic in Sprague-Dawley Rats)

  • 이승주;하왕현;최혜진;조순영;최종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7-57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emic activities of a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in rats in vivo. Rats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 including dried ascidian powder (200 mg/kg body weight) for 4 weeks, and then th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blood were analyzed. On the ascidian tunic powder diet, the triglyceride level decreased by more than 20.9% and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by more than 24.4%. In comparison, th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blood of rats fed ascidian meat powder decreased only slightly. Therefore, the ascidian tunic powder might be a healthy food with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성분-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 최병대;강석중;최영준;염말구;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4-350
    • /
    • 1994
  • 우렁쉥이 껍질 및 육중의 carotenoids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 및 껍질의 서식장소별 색소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껍질속의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 껍질의 색소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계절에 따른 색소함량의 변화에서 한산도산은 5월부터 색소함량이 증가하였다가 8월 이후 감소하였고, 월례산은 7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껍질의 주된 카로테노이드는 alloxanthin으로 그 함량($31.3\%$)이 가장 높았고, halocynthiaxanthin($15.5\%$), diatoxanthin($11.9\%$), diadinochrome($11.6\%$), mytilo-xanthin($10.8\%$), astaxanthin($7.8\%$)으로 각각 나타났다.

  • PDF

산란계 사료에서 우렁쉥이껍질 첨가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Ascidian Tunic Shell into Laying Hen Diet on Egg Quality)

  • 김은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45-54
    • /
    • 2002
  • 본 내용은 미이용수산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의 성분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착색제, 난각과 타우린 강화제로의 이용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폐기되고 있는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합성색소의 생체기능학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축산농가의 생산비 절감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란계사료에 우렁쉥이 껍질을 1$\sim$5% 첨가했을 때의 산란율과 계란의 무게가 일반사료구(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우렝쉥이 껍질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색도는 우렁쉥이 껍질 최소첨가량인 1$\sim$2% 첨가구에서 이상적인 Roche color fanscore (RCFS) 12$\sim$13 수준을 나타내고 3%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15 이상의 RCFS를 나타내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카로티노이드의 축적량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4% 이상에서는 축적률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계란 비중과 파괴강도는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는 점차 감소하거나 유지되었으나 우렁쉥이 껍질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2주부터 뚜렷하였으며 3주째에는 4% 첨가구의 경우 일반란보다 2.4%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난각의 파괴강도와 계란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4% 이상 첨가구에서는 그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 타우린 함량은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계란내 단백질 함량은 일정한데 비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 18.53$\pm$3.09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반면 우렁쉥이 껍질 4% 첨가구인 경우 108.10$\pm$2.44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료에 첨가한 우렁쉥이 껍질내 타우린(2.13%)이 계란으로 잘 이행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 결과에 따라 우렁쉥이 껍질은 첨가량에 따라 산란계 사료용 합성 착색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착색제(색소원)로 사용 가능하며 부가적인 효과로 난각 강화 및 타우린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멍게껍질 카로테노이드의 색조 화장품 원료의 항산화, 항염증 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As a Source of Color Cosmetics)

  • 티카버나데스;로마줄리야티;바터든뭉크자갈;박시향;최병대
    • KSBB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36-41
    • /
    • 2013
  • Carotenoids are fat-soluble red-orange colored pigments found in plants and seafood-derived products, including algae, seaweeds, and fish muscle. In this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using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 viability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of carotenoids < 10 ${\mu}g/mL$. This treatment also showed negative inhibition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itric oxide (NO) and cyclooxygenase-2 (COX-2).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arotenoids was 47.2% at 100 mg/mL. It also has a potential reducing power (1.025) comparable with ascorbic acid (1.584). The ascidian tunic carotenoids would make a candidate for the commercially interesting biologically active cosmetic pigments.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이 보리새우 Cholesterol 축척 및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Cholesterol Accumulation and Pigmentation of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 최병대;강석중;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3-408
    • /
    • 1996
  • 우렁쉥이 껍질 색소추출물을 astaxanthin 함량으로 환산하여 100ppm, 200ppm 및 400ppm 첨가 한 후 보리새우를 8주간 사육하여 성장도, 착색정도,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육과 머리의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성장율은 대조구(Diet 1)가 가장 낮아 0.610이었고, carophyll pink 첨가구(Diet 2)가 1.065, 껍질 색소추출물 첨가구인 Diet 3(100ppm), Diet 4(200ppm), Diets (400ppm)는 각각 1.227, 1.292, 1.264로 Diet 4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총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대조구가 8주 후 육 및 껍질 중 0.176mg, 1.429mg으로 감소하였으나, 색소추출물구인 Diet 4와 5는 각각 2.337mg, 6.331mg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Astaxanthin monoester가 free형보다 착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 및 머리 중 지질함량도 Diet 4, 5가 8주 후 각각 1632.7mg, 1691.4mg, 1973.5mg, 2071.1mg으로 가장좋았고, 육 및 머리의 콜레스테롤 축적량은 Diet 2가 8주 후 각각 481.5mg, 199.5mg이었으나, Diet 4는 각각 978.2mg, 563.8mg으로 성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리 지질 중 총지질(TL) 및 중성지질(NL)의 지방산조성은 모노엔산의 함량이 높고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함량은 낮았으나, 이와는 반대로 국성지질(PL)은 모노엔산 함량은 낮고 PUFA 함량은 높아 인지질 중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색소추출물이 필수지방산 공급원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멍게껍질 추출색소 및 CLA (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ber japonicus)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a Diet Fortified with CLA an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Extracts)

  • 박은정;김종태;강석중;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81-588
    • /
    • 2010
  • To exa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in fish, we compared mackerel fed ascidian tunic extract and CLA (CA25) and a control group. The daily growth index of CA25 was 1.92 compared to 1.86 in the control group. The viscerosomatic index of CA25 was 36.7%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8 weeks, the protein content decreased from 19.7 to 17.5% in the CA25 group. The ascidian tunic extract content in the viscera was much higher than in muscle (0.13 vs. 0.03 mg/100 g) after 8 weeks. At the start,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the experimental fish was 25.2% in muscle and 23.7% in viscera. The CLA content in muscle in the CA25 group was 2.1% after 4 weeks and 2.3% after 8 weeks. By contrast, the CLA content in viscera did not change after 8 weeks.

우렁쉥이 껍질 카로테노이드의 가열분해로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의 특성 (Volatile Compounds Formed by Thermal Degradation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 ;최병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19-524
    • /
    • 1997
  •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추출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식품첨가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DE(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concentration) 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이를 GC 및 GC-MS로 분석하여 총 63성분의 휘발성 화합물을 동정하였고, 대부분의 화합물이 카로테노이드의 가열분해로 생성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정된 화합물중 대표적인 화합물은 1,3,5-trimethylbenzene, 3,5,5-trimethyl-3-cyclohexen-1-ol, 3,5,5-trimethyl-3-cyclohexen-1-one, 1,1,2,3-tetramethyl-2-cyclohexen-5-ol, 1,1,2,3-tetramethyl-2-cyclohexen-5-one, 2,3,4,4-tetramethyl-6-hydroxy-2-cyclohexene-1-one, 1,2,3,8-tetrahydro-3,3,6-trimethyl-1-naphtol, dihydroacetinidolide, ${\beta}-ionone$, 2-(1,1,5-trimethyl-3-hydroxy-5-cyclohexen-6-yl)-1-to-lylethene, 2,6-dimethyl-8-(1,1,5-trimethyl-3-hydroxy-5-cyclohexen-6-yl)-1,3,5-octatriene-7-yne 등 이었다. 이중 몇가지 화합물의 생성기작도 추정해 보았다.

  • PDF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2. 무지개송어 육색 개선을 위한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의 최적 첨가량-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2. Optimum Level of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Tunic for the Pigmenta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강호;강석중;최병대;최영준;염말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0-246
    • /
    • 1994
  • 우렁쉥이 껍질 색소추출물을 이용한 무지개송어 체색 및 육색 침착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농도별, 기간별 급이실험을 하였다. 1. 체색의 개선효과는 사료급이 4주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6주후부터는 색소추출물 4(1,600ppm), 5구(3,200ppm) 및 pink구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명도(L)는 급이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배측부위가 꼬리부위보다 약간 높았고, 적색도(a)는 8주후 꼬리부위가 배측부위보다 높아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가 각각 4.7, 5.1, 5.9로 나타났다. 황색도(b)의 경우 배측부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꼬리부위는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는 증가하였지만 다른 구들은 변화가 적었다. 2. 육색의 개선효과는 체색의 개선효과보다 낮았으나 8주후에는 배측부위에서의 적색도(a)는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가 각각 4.3, 4.6, 5.1로, 꼬리부위에서는 각각 4.7, 5.0, 5.4로 나타났다. 명도(L)는 색소추출물구가 증가한 반면 pink구는 거의 비슷하였다. 황색도(b)도 색소추출물구가 높아 전체적인 육색은 색소추출물구가 pink구보다 밝은 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우렁쉥이 껍질 색소 추출물의 적정 투여량은 1,600ppm이상, 투여기간은 8주 이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LA와 멍게 껍질 추출물 급이에 따른 무지개송어 색소조성 (Composition in Carotenoids of Rainbow Trout Fed with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 강석중;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Astaxanthin is a valuable pigment source for many aquacultured species, including salmonoids, shrimp, sea bream, and ornamental species.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were mixed with the basal diet of rainbow trout to investigate their pigmentation effects. Synthetic Carophyll Pink and natural carotenoids that came from the tunic extracts were incorporated into muscle and skin tissues. The main carotenoids found in muscle after 8 weeks were canthaxanthin in CP12 (13.4%), and CP52 (17.2%), and astaxanthin in CP12 (58.5%), and CP52 (59.2%) in the Carophyll Pink group, while those in skin were canthaxanthin in CP14 (34.5%), and CP54 (29.2%), and astaxanthin in CP14 (32.0%), and CP54 (36.5%) in the ascidian tunic extract group.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in skin (53.0-69.3 mg/kg) was greater than that in muscle (9.5-13.8 m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