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hatching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고도와 기온변화와에 따른 박새류의 번식생태 (Breeding Ecology according to Altitude and Temperature Variation in Titmouse)

  • 김동민;오흥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66-675
    • /
    • 2013
  • 이 연구는 2009년 3월에서 2012년 7월까지 한라산에 설치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박새류(Titmouse)의 고도변화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박새류의 최초산란일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고, 고도상승에 따른 기온감소가 최초산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번식기(4~6월)의 평균기온과 산란일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는 않았다(p>0.05). 인공둥지 이용률은 지역과 연도별 차이는 없었으나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 두 종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배산란수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05) 고도와 연도별 차이는 없었다(p>0.05). 부화성공률, 이소성공률, 번식성공률은 각각 2011년 67.3%, 99.5%, 67.0%이었고, 2012년에는 71.3%, 96.8%, 69.0%로 이소성공률은 높았고, 부화성공률과 번식성공률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고도 차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가 번식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되었으나 다른 번식생태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기온변화가 박새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미기후요인과 먹이원 등의 조사를 통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먹이의 영향 (Effect of Diets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Rice Armyworm, Pseudaletia separata (Lepidoptera: Noctuidae))

  • 김길하;고해랑;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5-89
    • /
    • 2002
  •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먹이(옥수수잎, 벼잎, 배추잎,양배추잎, 콩잎 그리고 누에인공사료)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과 번데기기간은 먹이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유충기간은 유의성이 있었다. 총발육기간(알에서 성충까지)은 옥수수잎에서 32.5일로 가장 짧았고 콩잎에서 46.6일로 가장 길었다. 부화 후 16일째의 유충 무게는 벼잎과 누에인공사료에서 무거웠던 반면, 고구마잎과 양배추잎에서는 가벼웠고 용화하지 못했다. 번데기 무게는 벼잎에서 가장 무거웠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 옥수수잎에서 70.6%로 가장 높았고, 콩잎에서 39.8%로 가장 낮았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먹이간에 큰차이는 없었다. 암컷 한 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 벼잎, 옥수수및, 누에인공사료에서 사육한 경우가 배추및, 콩잎보다 많았다. 1세대 순증가율(R$_{0}$)은 누에인공사료에서 1218.5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자연증가율(R$_{0}$)의 범위는 0.115-0.175로 옥수수잎에서 가장 높았다.

인간융모성생식선자극 호르몬과 잉어 뇌하수체에 의한 해산송사리, Oryzias dancena 인공산란 유도 (Artificial induction of spawning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and carp pituitary extract i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323-331
    • /
    • 2020
  • 해산송사리(Oryzias dancena)를 대상으로 한 발생공학 연구시, 현재의 자연산란법은 매우 수동적이고 불편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정 시간에 해산송사리의 수정란을 획득하고자 인공산란을 위한 인간융모성생식선자극 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과 잉어 뇌하수체(carp pituitary extract; CPE)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정자활성도, 산란율, 수정 후 3일에서의 수정란 생존율 및 부화율은 100 HCG IU kg-1 BW (body weight)와 CPE 5 mg L-1에서 가장 높았다(p<0.05). 본 종에서의 수정란 필요시, HCG와 잉어 뇌하수체 주사를 통하여 적정시간에 미수정란과 정자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해산송사리의 실험동물화 개발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Oviposition Activity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under Artificial Illumination

  • Park, Kwan-Ho;Han, Moon-Hee;Lee, Seokhyun;Kim, Eun-Sun;Song, Myung-Ha;Kim, Won-Tae;Choi, Ji-Young;Kim, Hong 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5권2호
    • /
    • pp.100-105
    • /
    • 2017
  • Under natural conditions,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 (Diptera: Stratiomyidae), colonizes in warm temperate regions, and is active in Korea from May through October. Information on black soldier fly rearing, which is affected by seasonal factors in Korea, is limited. Oviposition by black soldier flies is dependent on light intensity and wavelength. Therefore, continuous mass rearing of this fly requires determination of optimal artificial conditions of illumin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number of eggs laid under an artificial light source (750 watt HPL lamp) versus nature sunlight. Our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oviposition under natural sunlight, the use of one or two lamps for 7 hours, resulted in only 43 and 76%, of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under natural sunlight, respectively. We also investigated the hatchability of oviposited eggs under artificial illumination and under natural sunlight. The hatching rate under the former was much significantly lower than under the latter. Further detailed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methods for successful mass rearing of black soldier fly throughout the year by means of an indoor system.

Embryonic Development of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i under Hatchery Conditions: An Image Guide with Embryological Descriptions

  • Park, Chulhong;Lee, Sang Yoon;Kim, Dong Soo;Nam, Yoon K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5-23
    • /
    • 2013
  • Normal embryonic development at a constant temperature ($18^{\circ}C$) has been described for the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i (Acipenseriformes). Hormone-induced spawning and artificial insemination were performed to prepare embryonic batches for embryologic examination. After insemination, early cleavages of the Siberian sturgeon embryos continued for 7 h post-fertilization (HPF), showing the typical pattern of uneven holoblastic cleavage. Blastulation and gastrulation began at 9 HPF and 19 HPF, respectively. Epiboly formation (2/3 covered) was observed at 25 HPF during gastrulation. Neurulation was initiated with the formation of a slit-like neural groove from the blastopore at 33 HPF. During neurulation, the primary embryonic kidney (pronephros) and s-shaped heart developed. The embryos underwent progressive differentiation, which is typical of Acipenseriform species. A mass hatching was observed at 130 HPF, and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prolarvae was 10.5 mm. The hatched prolarvae possessed a typical pigment plug (yolk plu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not only as a reference guide for the artificial propagation of Siberian sturgeon in hatcheries but also as the basis for the derivation of developmental gene expression assays for this species.

부세(Larimichthys crocea)의 수정란 및 종자생산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fertilized eggs and seedling of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 박충열;송지훈;황남용;양사랑;양석우;박준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3호
    • /
    • pp.205-213
    • /
    • 2022
  • The experimental fish transplanted from China in 2015 was used after seedling production and cultivated. Breeding management for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020 to February 2021. Also, it succeeded in inducing artificial maturation three to four months earlier than wild broodstock and secured good quality fertilized eggs. The average size of fertilized eggs was 1.22 mm, at 20℃ Blastodisc (15 minutes post-fertilization), 2 cell (50 minutes), 4 cell (1 hours), 8 cell (2 hours), 16 cell (2 hours and 30 minutes), 32 cell (2 hours and 50 minutes), morula (3 hours), blastula (8 hours), gastrula (15 hours), skull formation (20 hours), organ formation (30 hours) and hatching yolk larvae stage (35 hours). The total length of the just hatched larvae were 2.50 ± 2 mm, and then gain growth of 42.5 mm by 60 days, reaching 45 ± 5 mm.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와 은연어(O. kisutch)간의 잡종 및 잡종 3배체 생산 (Production of Hybrid and Al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oho Salmon (O. kisutch))

  • 박인석;김병기;김종만;최경철;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3-140
    • /
    • 1996
  • 경제성이 높은 어종인 무지개송어와 은연어를 대상으로 두 종간의 장점을 갖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간 잡종 및 잡종 3배체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잡종의 부화율은 $51.7\%$로 여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잡종 3배체의 부화율은 $77.6\%$로 무지개송어 3배체와 유사한 부화율을 보였다. 또한 부화 2개월후의 생존율은 잡종인 경우 $1.7\%$로 매우 낮았으나 잡종 3배체는 $54.5\%$로 무지개송어 3배체의 $56.6\%$ 생존율과 유사하였다. 잡종의 세포 및 핵의 평균 크기는 양친으로 사용된 두 종의 중간을 보였으며 잡종 3배체의 세포 및 핵의 크기는 잡종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잡종의 염색체수는 60개로 나타나 n=30의 염색체수를 가진 무지개송어 난자와 n= 30의 염색체수를 가진 은연어 정자와 교배된 개체만이 생존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종 3배체의 경우 그의 염색 체수는 $90\~93$개로 Robertsonian형의 전좌에 의한 염색체 다형현상을 보여주었다.

  • PDF

대하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a Prawn, Penaeus orientalis)

  • 김권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8
    • /
    • 1968
  • 1963년도부터 대하의 양식을 목적으로 부화시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난은 야간에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이 오후 10시경까지 완료되었으며 모하 한마리의 평균 방난수는 3만립에서 15만립 내외였다. 2. 방난된 난은 수온 $25\~26^{\circ}C$에서 18시간 경과되면 (부화수조내에서는 13시간)난내 Nauplius 기로 되었고 다시 40분이 지나면 제1기 Nauplius 기로 되었다. 3. 제1 Nauplius 기에서 Zoea 기까지의 기간을 약 4일간이였고, 제1 Zoea기에서 제1 Mysis기까지는 약 $3\~4$ 일간이였다. 4. 방난후 post larva까지는 $3\~4$주일간이 요했다. 5. 1966연의 변화율은 $1.4\~14.9\%$로서 평균 $6\%$였고, 1967연의 부화율은 $10\~35\%$로서 평균 $20\%$였다, 연구중 여러가지로 지도하여 주신 일본국 "KURUMA" PRAWN 양식주식회사 궁재광무박사 동회사 적영안언씨에 대하여서는 깊은 사의를 표하는 바이다.

  • PDF

해삼, Stichopus japonic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및 수용밀도의 영향 (Influence of Food and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1999
  • 해삼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산란유발, 유생발달 과정, 유생 사육시 먹이와수용밀도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유발은 수온자극에서 6.0~17.5%의 반응이 있었으며, 간출자극에서는 1.4~4.0%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산란량은 50~500만개였고, 수정률은 84.0~96.0%였으며, 부화율은 71.4~84.6%로 나타났다. 해삼의 수정난은 $154{\mu}m$이며, 난발생은 수온 $23^{circ)C$에서 수정후 2시간 10분만에 4세포기, 3시간 40분이 지나면 16세포기로 되며, 14시간 30분 후에는 포배기로 되면서 부화하였다. 그 이후 3일째에는 auricularia 유생으로 되었고, 11일째에는 doliolaria 유생, 15일째에 pentactula 유생으로 변태하였다. 유생의 먹이로는 Chaetoceros calcitrans와 Pav-lova lutheri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중 Chaetoceros calcitrans는 변태가 빠르고 생존율도 높아 해삼 유생의 먹이로 가장 좋았으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밀도는 2개체/m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