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al authorit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시스템 분석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리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Authority Control System in Collecting Repository -from the case of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mocracy Foundation-)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91-134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적(私的)영역에서 수집되는 기록물, 즉 매뉴스크립트는 물리적 상태가 불량하고 기록물의 전후 맥락과 생산이력에 대한 정보가 파편적으로 수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수집형 기록관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수집되는 기록물에 대한 생산기관(생산자)명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기록물 생산배경을 이해할 때 핵심요소인 출처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수집형 기록관에서 이러한 전거제어와 출처정보 관리는 수집부터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는 수집시 관리과정까지 고려하여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이 개발한 사료관리시스템 가운데 전거제어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 및 출처정보 축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료관리에서 전거제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사료전거제어 기준과 실무절차, 구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료관 사료전거시스템의 특징은 수집, 등록, 기술 등 각 업무 흐름에 따라 전거를 제어하고 출처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사료의 지적 관리와 검색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에 있다. 끝으로 이러한 전거관리 사례를 통해 국제표준인 ISAAR(CPF)를 준용하여 기관마다 적합한 형태로 기술요소를 재구성하고 전거파일 유형을 설정하여 표준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수집형 기록관에서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RAMP를 활용한 EAC 기반 전거레코드의 연계 및 공유 관한 연구 - 박경리의 전거레코드를 중심으로 - (Linking and Sharing EAC Authority Records Using RAMP: Focusing on the Records of "Park, Kyung-ni")

  • 박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82
    • /
    • 2014
  • 기록전거레코드는 이용자가 기록물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이해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런데 기록물의 생산자는 기록 외에 다른 출판물의 생산자이기도 하며, 이용자도 정보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기를 원한다. 게다가 기록전거레코드와 서지제어를 위한 전거레코드는 상이한 특성을 지니면서도 상호 연계가능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전거레코드를 구축하거나 확장하는데 기존의 전거레코드를 반입하여 이용하고, 확장된 기록전거레코드를 다시 공유할 수 있도록 위키피디아와 같은 웹 환경에 반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인 연계 및 공유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기록물을 위한 단체 전거레코드 연구 (A Study of Archival Authority Records for Corporate Bodies)

  • 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9-68
    • /
    • 2002
  • ISAD(G) 등 기록물 기술규칙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기록물의 생산자에 관한 정보와 기록물 자체에 대한 정보고 혼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현대 기록관리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복합출처의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 할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낳은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록물 생산자에 관한 정보를 기술에서 분리하고 별도의 전거레코드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록물을 위한 단체 전거레코드의 특징을 분석하고, 기록물 전거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고려할 점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전거레코드의 특성을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기능적 특성은 도서관 전거레코드와의 비교 속에서 검토하였다. 구조적 특성은 ISAAR(CPF)를 중심으로 살피고, 적용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미국 NARA 시스템과 호주의 연방기록물 관리를 위한 CRS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사례분석을 통해 동적이고 사전적이며, 복합출처를 반영한 전거레코드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록물 생산자 전거제어를 통한 맥락정보의 구축 및 교환 - ISAAR(CPF) 2판과 EAC를 중심으로 - (Establishing and Exchanging Contextual Information Based on the Authority Control of Creators of Archives)

  • 김성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82
    • /
    • 2005
  • 기록 생산에 책임이 있는 개인, 가문, 단체 등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것은 맥락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기록물 생산자 전거제어를 통한 맥락정보의 구축을 기록물 내용표준인 ISAAR(CPF) 2판과 구조표준인 EAC(Encoded Archival Contort)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 등 상이한 정보서비스 기관별로 구축된 맥락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교환하기 위한 모델을 EAC를 적용하여 제시한 유럽의 LEAF Project를 소개한다. 끝으로 전거파일 구축 및 교환에 있어서의 한계를 짚어보고 국가적 차원에서 맥락정보 구축을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한다.

  • PDF

국제표준 기록물 전거제어 기술규칙 초판과 개정판의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n the 1st Edition and the Revised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Authority Record for Corporate Bodies, Personal and Families)

  • 박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41-361
    • /
    • 2007
  • 본 연구는 국제표준 기록물 전거제어 기술규칙 초판과 개정판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록물 전거제어의 필요성 및 전거제어 레코드의 특징, 각 기술규칙의 사용법 및 초판과 개정판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 아카이브즈에서의 활용시 추가, 보완되어야 할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우리나라 기록물 전거제어 기술규칙 제정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기록관과 도서관 전거체계 비교 및 상호운용성 분석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teroperability between Archival Authority and Library Authority)

  • 이혜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7-2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록관 및 도서관 전거체계의 상호운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록물 전거체계인 ISAAR(CPF)와 EAC-CPF, 도서관 전거체계인 FRAD 등을 살펴보고, 유사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과 도서관 전거제어 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확인하였다. 기록관 및 도서관은 각각의 영역에서 전거레코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으나, 개체 간의 관계를 확장하고, 국제적인 차원에서의 레코드를 공유하며, 다른 기관과의 정보교환을 주도적으로 실행한다 등의 주요한 기능들은 공유하였다.

기록물 기술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the Archival Description)

  • 서혜란
    • 기록학연구
    • /
    • 제1호
    • /
    • pp.7-22
    • /
    • 2000
  • It is almost impossible to fulfill the users' information needs efficiently without any finding aids. The idiosyncrasy of archival materials had led the archivists to develop their own descriptive rules until the mid of 1980s. It was the arrival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networks that stimulated the archival community to standardize its variant descriptive practices. The primary purpose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s is to facilitate the cooperative archival data exchange. The Ad Hoc Commission on Descriptive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adopted ISAD(G) and ISAAR(CPF) in 1993 and in 1995 respectively. ISAD(G) guides the formulation of information in each of 26 elements that may be combined to constitute the description of an archival entity. ISAAR(CPF) is to give general rules for the establishment of archival authority records in descriptions of archival documents. Histories, structures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those two international archival standards have been studies in this article. Most of the present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enance and the authority model. The instability of modern organizations and the digitalization of record keeping systems have been making the archivists to review these basic archival principles. It is suggested that Korean archival community should attempt to draft a national archival descriptive standard suitable to the Korean archival practice and Korean language in the framework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기록물 전거레코드 기술 요소의 자동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val Authority Record Elements for Automatic Organization and Production)

  • 박용기;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22
    • /
    • 2007
  • 본 연구는 기록물전거레코드 자동생성을 위하여 전자문서시스템에서 전거레코드 관련 요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록물 생산자 전거레코드인 ISAAR(CPF)와 호주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RMSCA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록물관리시스템인 전자문서시스템과 자료관시스템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 전자문서시스템의 전자결재 기능과 시스템 운영 관리기능을 통해 전거레코드 기술 요소를 자동 생성하도록 제안하였고 전자문서시스템에서 자동 생성되지 않는 기능은 전거시스템 및 아키비스트의 역할, 그리고 기술규칙 제정을 통해 제안하였다.

대학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 분석과 EAC-CPF 적용에 관한 연구: 기록물 기술규칙과 데이터구조표준의 융합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Authority Records through Analyzing Descriptive Elements and Applying EAC-CPF in University Archives: Converging Archival Information Descriptive Rules with Data Structure Standards)

  • 김문경;구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5-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록관의 특성에 맞는 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를 제안하되, 온라인 환경에서도 활용가능한 EAC-CPF와 융합한 기술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근거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실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의 기능에 따른 조직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록물 생산자별 주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표준인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지침과 국제표준인 ISAAR(CPF) 2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들을 제안하되, 이를 다시 EAC-CPF와 매핑하여 최종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기술요소를 토대로 실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기록물 생산자의 맥락정보를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요소들을 제안하고 이를 데이터표준구조와 융합하여 온라인 환경에서도 생산자 맥락정보의 검색이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에 관한 연구 SNAC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and Sharing of Authority Record-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Project)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49-89
    • /
    • 2022
  • 본 연구는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문화유산기관 간에 분산 소장된 역사적 정보원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기록에 대한 보다 풍부한 검색과 이해를 촉진하는 국가적 전거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국내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SNAC 프로젝트는 NARA 주도의 국제적 협력체 조직으로 전환되면서 지속가능한 운영체계를 확보하고 협력적 전거통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SNAC 전거레코드는 도서관에 비해 풍부한 생애와 역사에 관한 맥락 정보와 사회적·지적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사례분석을 통해 첫째, SNAC 처럼, 국가기록원이 주도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공동 오너쉽을 갖는 협력체가 개발을 주도하고 참여기관의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둘째, 협력의 방식에서 특장점을 가진 분야별로 분담하는 구조를 취하되, 두 기관이 참여하는 운영 주체가 주요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셋째, 전거데이터 구축 시 다양한 포맷의 기술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확장가능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개발, 기록관리 전거레코드의 구조와 요소로 설계, 전거레코드의 품질을 통제할 수 있는 기능 설계,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축 및 콘텐츠적 요소가 반영된 플랫폼 설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