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and Sharing of Authority Record-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Project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에 관한 연구 SNAC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 이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교육원)
  • Received : 2021.12.29
  • Accepted : 2022.01.20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nd domestic application plan a national authority database that promotes an integrated access, richer search, an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information sources and archival resources distributed among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through the "Social Networks and Archive Context" project case. As the SNAC project was transformed into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 led by NARA, it was possible to secure a sustainable operating system and realize cooperative authority control. In addition, SNAC authority record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roviding richer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life and history and social and intellectual network information compared to libraries. Through case analysis, First, like SNAC, a cooperative body led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having joint ownership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hould lead the development and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Second, in the cooperative method, take a structure in which divisions are made for each field with special strengths, but the main decision-making is made through the administrative team in which the two organizations participate. Third, development of scalable open source software that can collect technical information in various formats when constructing authority data, designing with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archival authority records, designing functions to control the quality of authority records, and building user-friendly interfaces and the need for a platform design reflecting content elements.

본 연구는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문화유산기관 간에 분산 소장된 역사적 정보원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기록에 대한 보다 풍부한 검색과 이해를 촉진하는 국가적 전거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국내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SNAC 프로젝트는 NARA 주도의 국제적 협력체 조직으로 전환되면서 지속가능한 운영체계를 확보하고 협력적 전거통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SNAC 전거레코드는 도서관에 비해 풍부한 생애와 역사에 관한 맥락 정보와 사회적·지적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사례분석을 통해 첫째, SNAC 처럼, 국가기록원이 주도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공동 오너쉽을 갖는 협력체가 개발을 주도하고 참여기관의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둘째, 협력의 방식에서 특장점을 가진 분야별로 분담하는 구조를 취하되, 두 기관이 참여하는 운영 주체가 주요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셋째, 전거데이터 구축 시 다양한 포맷의 기술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확장가능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개발, 기록관리 전거레코드의 구조와 요소로 설계, 전거레코드의 품질을 통제할 수 있는 기능 설계,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축 및 콘텐츠적 요소가 반영된 플랫폼 설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2005). 기록물 생산자 전거제어를 통한 맥락정보의 구축 및 교환: ISAAR(CPF) 2판과 EAC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61-82.
  2. 김송이, 정연경 (2015). 한국인 저자 전거에 관한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1), 37-403.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037
  3. 김지현 (2013). 대통령기록관의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01-225.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2.201
  4. 김현옥 (2021). 아르코예술기록원의 변천 과정을 통해 본 한계와 개선 방향; 국가문화예술아카이브의 현재와 미래, 국회의원 박정, 최형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세미나, 36-45.
  5. 박지영 (2014). RAMP를 활용한 EAC 기반 전거레코드의 연계 및 공유 관한 연구: 박경리의 전거레코드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61-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61
  6. 서혜란 (2005).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25-41.
  7. 설문원 (2002). 기록물을 위한 단체 전거레코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 39-68. https://doi.org/10.14404/jksarm.2002.2.2.039
  8. 성면섭, 이해영 (2020). 기록관리기관 이용 학술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3), 119-13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119
  9. 심 경 (2006).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명 전거제어의 현황 및 발전 방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221-244. https://doi.org/10.4275/KSLIS.2006.40.4.221
  10. 오명진 (2020). 문익환 옥중서신의 특성과 활용. 기록학연구 제66호, 317-355. https://doi.org/10.20923/KJAS.2020.66.317
  11. 이은영 (2019). 국가문화유산으로서 문학기록의 조직화 방안. 기록학연구 제61호, 31-69. https://doi.org/10.20923/KJAS.2019.61.031
  12. 이해영 (2013). 「기록조직론-한국국가기록연구원 교육총서」, 서울: 선인출판사.
  13. 이혜원 (2013). 기록관과 도서관 전거체계 비교 및 상호운용성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27-246.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2.227
  14. 조윤희 (2008).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5-22.
  15. Adrian Cunningham (2008) Harnessing the Power of Provenance in Archival Descrip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Edition of ISAAR(CPF),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5:1-2, 15-31, DOI: 10.1300/J201v05n01_02
  16. Daniel Pitti, Rachael Hu, Ray Larson, Brian Tingle & Adrian Turner (2015)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From Project to Cooperative Archival Program,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12:1-2, 77-97 https://doi.org/10.1080/15332748.2015.999544
  17. Daniel V. Pitti (2012)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Project: Archival Authority Control. 1-10. 웹 문서
  18. Daniel V. Pitti (2017)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R&D to Cooperative, Library Science Talks, September 2017, CERN Geneva/Zentralbibliothek Zurich, 1-23. 웹문서
  19. David Bearman (1989) Authority Control Issues and Prospects. American Archivist, vol 52, 286-299. https://doi.org/10.17723/aarc.52.3.g562600um1063123
  20. Jean Dryden (2008) From Authority Control to Context Control,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5:1-2, 1-13. https://doi.org/10.1300/J201v05n01_01
  21. John D. Byrum Jr. (2004) NACO: A Cooperative Model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a Shared Name Authority Database,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8:3-4, 237-249, DOI: 10.1300/J104v38n03_18
  22. Jussi Kurki & Eero Hyvonen (2009) Authority Control of People and Organizations on the Semantic Web.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Digital Libraries and the Semantic Web 2009 (ICSD2009), September 2009. Trento, Italy. 2009. pp. 15.
  23. Maurizio Savoja & Stefano Vitali (2008) Authority Control for Creators inItaly: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5:1-2, 121-147 https://doi.org/10.1300/J201v05n01_07
  24. Max J. Evans (1986) An Alternative to the Record Group Concept. The American Archivist, Summer, 1986, Vol. 49, No. 3 (Summer, 1986), pp. 249-261. https://doi.org/10.17723/aarc.49.3.0862585240520721
  25. Per-Gunnar Ottosson (2006) EAC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European Gateways to Archives,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3:2-3, 261-274 웹문서: https://doi.org/10.1300/J201v03n02_19
  26. Ray R. Larson and Krishna Janakiraman(2011) Connecting Archival Collections: The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Project, S. Gradmann et al. (Eds.): TPDL 2011, LNCS 6966, pp. 3-14, 2011.
  27. Sherry L. Vellucci (2004) Commercial Services for Providing Authority Control: Outsourcing the Proces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9:1-2, 443-456, DOI: 10.1300/J104v39n01_12
  28. Stefano Vitali (2006) What Are the Boundaries of Archival Context? The SIASFI Project and the Online Guide to the Florence State Archives, Italy,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3:2-3, 243-260 https://doi.org/10.1300/J201v03n02_18
  29. 국가기록원 기록물생산기관 변천정보.
  30.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지원서비스.
  31. 국립현대미술관.
  32. 국회기록보존소.
  33. 서울기록원 카탈로그 이용방법.
  34. 위키백과 사전.
  3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도서관.
  3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구예술디지털아카이브.
  37.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38.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SNACSchool 3.2 Modules 1-6.
  39. The National Archives AOTUS BLOG - the blog of the archivists of the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