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chidic acid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육성 조와 기장 품종의 영양성분 특성 (Nutritional Compositions of Varie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Developed in Korea)

  • 최지명;곽도연;최명은;송석보;박장환;고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37-14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조 8 품종과 기장 4 품종의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조 품종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함량은 73.90~77.58%, 6.39~9.57%, 3.69~4.24% 범위로 나타났고, 기장은 73.40~75.61%, 9.74~12.06%, 2.83~3.40%로 나타나 조가 기장보다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방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와 기장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은 단아메(조), 금실찰(기장)이고, 지방 함량이 높은 품종은 조황메(조), 만홍찰(기장)이었다. 전체 다량 무기질 함량은 조가 기장보다 높고, 측정 무기질 중 K 함량이 가장 높았다. 조 품종 중에서 경관 1호의 Ca, K 함량이 가장 높았고, 경관 2호는 Mg 함량이 높았다. 기장은 품종 간에 Ca 함량이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조, 기장 모두 leucine, phenylalanine, valine이 가장 높았으며, 조가 기장 보다 단백질 함량이 낮은 반면에 전체적인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경관1호(조), 황실찰(기장)이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조와 기장 모두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에서 육성된 조, 기장 품종에 대한 영양성분에 관련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신품종 육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AS LB 박막의 열자격 변위 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ly-stimulated displacement current(TSDC) of the PAAS Langmuir-B1odgett(LB) films)

  • 이호식;김상걸;송민종;최명규;이원재;김태완;강도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제2회 학술대회 논문집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전문연구회
    • /
    • pp.11-14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thennally stimulated displacement current(TSDC) of polyamic acid alkylamine salts(PAAS) Langmuir-Blodgett(LB) films, which is a precursor of polyimide(PI). The TSDC measurements of PAAS LB film were performed from room temperature to about $250^{\circ}C$ and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at a rate of $0.2^{\circ}C/s$. This show that this is TSDC peaks at about $70^{\circ}C$ in the arachidic acid LB films, and at about $70^{\circ}C$ and $160^{\circ}C$ in the PAAS LB films. Results of this measurements indicate that one small peak at $70^{\circ}C$ is resulted from a softening of the alkyl group and the large peak at $160^{\circ}C$ is possibly due to dipole moment of C-O group in the PAAS molecule. We have calculated the vertical component of dipole moment of the P AAS LB film out of the TSDC curves. It shows that the dipole moment of PAAS LB film is about -40mD at $70^{\circ}C$ and about 200mD at $160^{\circ}C$ in the first measurement of TSDC. In the second measurement of TSDC of PAAS LB film after cooling down to room temperature, the TSDC peaks are almost disappeared.

  • PDF

STM을 이용한 온도 변화에 따른 Merocyanine Dye J-aggregation 특성측정 (The measurement into Merocyanine Dye J-aggregaion of characteristic as various temperature by STM)

  • 양창헌;이지윤;김경철;권영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Techno-Fair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65-166
    • /
    • 2008
  • We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J-aggregation as take advantage of LB technic.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tions possible for the molecular electronic device,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merocyanine dye were investigated by AFM. ${\pi}-A$ curves investigated the surface pressure of the LB film from a liquid to a solid state ranged between 90 and 100 mN/m. We observed aggreg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by using visible reflection spectroscopy. We have observed morphology of merocyanine dye on gold surface by STM. focuses on results obtained in mercocyanide dye of J-aggregation. When LB films of merocyanine dye are mixed with arachidic acid, J-aggregate formation is exhibited. J-aggregate formation has been serving as typical systems in revealing the physical and structural aspects of nano-sized molecular aggregates constructed as muiltilayers.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고감도 형광 분석법 (A Sensitive Fluorescent Detection Method for Prostaglandi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용문;문동철
    • 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6-511
    • /
    • 1992
  • The Prostaglandins were derivatized rapidly with monodansyl cadaverine as a fluorophore in mild conditions. The carboxylic moiety of prostaglandins was activated with diethyl phosphorocyanidate and successively coupled with fluorophore in dimethylformamide at room temperature. The labeling yield was reached about 95% at 15 min using arachidic acid $(C_{20:0})$ as a test sample. This derivative showed constant fluorescent intensity at $4^{\circ}C$ for 180 days. The derivatives of prostaglandins were shown high solvent selectivity with tetrahydrofuran in reversed-phase column. therefore, these derivatives could be successfully separated on YMC pack A-212(S-5 120A C8) column in tetrahydrofuran-based eluents. The detection limits of these derivatives was ca. 500 fmol and determination limits was ca. 5 pmol as injected amount in fluorescent detection $({\lambda}ex.\;340\;nm,\;{\lambda}em.\;520\;nm)$. In this method, the ranges of recovery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93.6{\sim}102.7%$ and $4.3{\sim}5.8%$, respectively.

  • PDF

한국산 재래종 잇꽃 종실의 지질 성분 (Lipid composition of Korean safflower seeds)

  • 노완섭;박종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1992
  • 잇꽃 종실의 일반 성분 조성은 수분 7.2%, 탄수화물 34.5%, 조단백 18.2%, 조지방 34.8%, 회분 5.3%로서 다른 식물성 식용유지의 원료작물과 비교해 볼 때 지질함량이 높으며, 지질의 물리적 특성은 비중 $0.922{\sim}0.927$, 굴절을 $1.468{\sim}l.469$, 발연점 $210^{\circ}C$, 융점 $-15{\sim}18^{\circ}C$, 지방산의 titer가 $15{\sim}18^{\circ}C$로서 식용유의 물성보다 우수하며, 화학적인 특성은 요드가 $140{\sim}152$, 검화가 $186{\sim}192$, 산가 $2.6{\sim}3.5$, ester가 $179{\sim}186$, 불검화물 함량 $0.8{\sim}l.3%$ 포화지방산 함량 $6.6{\sim}7.2%$로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지방산의 조성은 myristic 0.1%, palmitic $5{\sim}8%$, stearic $2.5{\sim}3.0%$, oleic $10{\sim}20%$, linoleic $70{\sim}78%$, linolenic $2{\sim}3%$, arachidic 0.4%로서 식용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불포화지방산중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72.0{\sim}8l.4%$에 이르고 있어 국내 유지 자원 작물중에서 가장 양질의 식용유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Function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Seed Extracts from Two Mulberry Fruits

  • Kim, Eun-Ok;Yu, Myeong-Hwa;Lee, Yu-Jin;Leem, Hyun-Hee;Kim, Shin-Ae;Kang, Dae-Hun;Choi,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98-104
    • /
    • 2010
  • The seeds from two mulberry fruits [Morus alba (MA) and Cudrania tricuspidata (CT)] were examined for their oil content, and fatty acid, phytosterol and tocopherol compositions and contents. Moreover, polyphenolic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two defatted seed residue extracts were also evaluated. Oil contents of MA and CT seeds were 29.36% and 16.69%, respectively, while MeOH extracts of the defatted MA and CT seed residues were 5.10% and 6.22%, respectively. The two seed oils were composed of 81.4 and 74.37% linoleic, 5.75 and 11.39% oleic, 8.40 and 10.18% palmitic acid, and 3.52 and 3.0% stearic acids, and two other minor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and arachidic acids. MA seed had higher contents of phytosterols (507.59 mg/100 g of oil), tocopherols (99.64 mg/100 g of oil), and total flavonoid (106.50 mg/100 g of seed) than CT seed, whereas CT seed had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 than MA seed. The MeOH extract of MA seed residue showed higher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melanogenic activity than that of CT seed residue. trans-Resveratrol (9.62 mg/100 g), quercetin (54.83 mg/100 g), and 4-prenylmoracin (48.70 mg/100 g), were found to be the main polyphenolic components in the MeOH extract of MA seed resid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 seeds are good sources of essential dietary phytochemicals with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melanogenic activity.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국내 유통 콩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변이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 김선림;이영호;지희연;이선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8-357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sim}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sim}33.1g$(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역상(逆相)-HPLC와 $Ag^+$-HPLC에 의한 잣기름의 트리아실글리세롤분자종(分子種)의 상호분리(相互分離) (Studies on Resolution of the Molecular Species of Triacyl-glycerols in the Seed of Pinus koraiensis by HPLC in the Reverse-phase and Ag-ion Modes.)

  • 우효경;조용계;김성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
    • /
    • 1998
  • The lipids from the seeds of Pinus koraiensis mostly composed of triacylglycerols (TGs), in which linoleic acid (46.2 mol%) and oleic acid (25.6 mol%) are present as main component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rprisingly, they also have unusual fatty acids with ${\Delta}^5$-double bond systems such as ${\Delta}^{5.9.12}-C_{18:3}$ (16.0 mol%), ${\Delta}^{5.9}-C_{18:2}$ (2.3 mol%) and ${\Delta}^{5.11.14}-C_{20:3}$ (0.8 mol%). Saturated fatty acids of palmitic, stearic and arachidic acid were present in less than 8.0 mol%. TG was resolved into 17 fractions by reverse-phase HPLC according to so-called partition number (PN) suggested by Plattner, in which TG molecules with ${\Delta}^{5}$-NMDB acyl chains eluted later than did those with ${\Delta}^{9}$-MDB acyl radicals. $Ag^+$-HPLC separated the TG into 14 fractions more clearly than did those with ${\Delta}^{9}$-MDB acyl radicals. $Ag^+$-HPLC separated the TG into 14 fractions more clearly than did reverse-phase HPLC, and the complexity of ${\Delta}^{5.9.12}-C_{18:3}$ moiety with silver ion impregnated in the column bed was in the level between ${\Delta}^{9.12.15}-C_{18:3}$ ($C_{18:3{\omega}3}$) and $C_{18:2{\omega}6}$ (${\Delta}^{9.12}-C_{18:2}$). In the $Ag^+$-HPLC, it was found that the molecular species having a given-numbered double bonds widely spreaded in the acyl chains eluted earlier than those concentrated in one acyl chain. The main molecular species are $(C_{18:2{\omega}6})_2/{\Delta}^{5.9.12}-C_{18:3}$ (14.8 mol%), $C_{18:1{\omega}9}/C_{18:2{\omega}6})_2$ (12.8 mol%) and $C_{18:1{\omega}9}/C_{18:2{\omega}6}/{\Delta}^{5.9.12}-C_{18:3}$ (10.9 mol%).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와 발아홍화씨의 화학성분 비교 (Chemical Comparison of Germinated- and Ungerminated-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Seeds)

  • 김은옥;이기택;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62-1167
    • /
    • 2008
  • 홍화씨를 이용한 골다공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홍화씨의 소화성, 기능성 및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발아홍화씨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tocopherols, 수용성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홍화씨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화씨는 발아하면서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감소한 반면,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소 및 회분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및 oleic aicds가 약 80% 이상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외 palmitic, stearic 및 arachidic acids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고, 발아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각각 744.7 및 809.0 mg%로서 발아 후 64.3 mg% 증가하였으며, 홍화씨의 주된 아미노산으로 asparagine, arginine, proline, glutamic acid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발아함에 따라 그들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threo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및 histidine 등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홍화씨에는 3종의 리그난(8'-hydroxyarctigenin 4'-O-$\beta$-D-glucoside, 8'-hydroxyarctigenin 및 matairesinol)과 4종의 세로토닌유도체[N-ferul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feruloylserotonin, N-(pcoumar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p-coumaroyl)serotonin] 그리고 2종의 플라보노이드(acacetin 7-O-$\beta$-D-glucuronide, acacetin) 화합물이 존재하였으며, 발아함에 따라 세로토닌유도체를 함유한 모든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홍화씨를 발아함에 따라 섬유소 및 유용 기능성성분의 증가와 더불어 설사를 유발하는 고미성분의 감소 그리고 소화성 및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홍화씨 껍질의 분리 및 효율성 확대를 이룰 수 있기에 향후 발아홍화씨는 항골다공증 및 항고지혈증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