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chidic 산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유기단분자막의 전극거리에 따른 전류 측정 (The Current Measurement by Electrode Distance of Organic Monolayers)

  • 이경섭;전동규;오재한;강용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2
    • /
    • 1998
  • We have investigates a surface pressure, a displacement current and a charge measurement by distance of between electrode 1 and water surface of organic monolayers. And the displacement current was generated during compression of Arachidic acid mono1ayers at a air-water interface. The result from our work show that the displacement current of a Langmuir(L) film for Arachidic acid monolayers has the different maximum points according to the electrode distance. We are known that the displacement current and a charge was generated in inverse proportion to electrode distance d.

  • PDF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Phycomyces sp. 포자낭병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Sporangiophores of Phycomyces sp.)

  • 이해익;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5-111
    • /
    • 1979
  • 재래식 메주로 부터 분리(分離)한 Phycomyces속(屬)의 포자낭병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체중(乾體中)의 지질(脂質)을 18.2%로서 그 조성(組成)은 중성지질(中性脂質)이 69.2%, 당지질(糖脂質)이 24.3% 그리고 인지질(燐脂質)이 6.5%였다.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구성성분(構成成分)은 carotene,탄화수소(炭化水素), estrified sterol, 지방산(脂肪酸) ester, triglyceride,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유리(遊雌) sterol등이고 주성분(主成分)은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과 triglyceride로서 각각 45.6%와 30.9%를 차지하였다. 3. $AgNO_3-TLC$에 의한 방법(方法)으로 triglyceride에서 12개(個), diglyceride에서 8개(個)의 lipid molecular species를 분별(分別)하였다. 4. 총(總) 지질(脂質)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stearic, linoleic. arachidic, linolenic acid이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stearic, linoleic, arachidic acid 등이었다.

  • PDF

부로일러육의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oiler (male , female) Breast and Thigh Meat)

  • 문윤희;공양숙;정인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7-251
    • /
    • 1988
  • 본 실험은 같은 조건에서 8주령까지 사육된 부로일러 암ㆍ수의 가슴과 다리근육의 지질, 지폐산 및 총 Clesterol함량을 분석 비교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ㆍ수 부로일러 모두 가슴근육이 다리근육에 비하여 총지질과 중성지질 함량이 낮았으며 인지질과 당지질 함량은 많았다. 부로일러육의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중성지질과 인지질은 다리근육, 당지질은 가슴근육이 높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당지질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낮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중성지질의 palmitoleic acid, 인지질의 palmitoleic, stearic. linolenic, arachidic 및 arachidonic acid 그리고 당지질의 palmit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많았다. 총 cholesterol 은 지방조직을 제거한 근육은 수컷의 다리, 지방조직을 제거하지 않은 것은 암컷의 다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쌀겨 추출물로부터 스핑고당지질의 분리와 구조결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Glycosphingolipid from Rice Bran Extract)

  • ;;강병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72-76
    • /
    • 2007
  • 대표적인 스핑고지질인 글리코실세라미드의 생리적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쌀겨 추출물로부터 cerebroside를 분리하였다. 정제하지 않은 글리코실세라미드를 flash system 칼럼으로 분리한 후 ELSD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순상 HPLC로 정제하였다. 클로로포름 : 메탄올 : 증류수(99:11:1, v/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주요 cerebroside를 얻을 수 있었고, MALDI/TOF-MS, FAB-MS, GC, 600MHz $^1$H-NMR로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성당은 글루코오스였고 cerebroside의 구성 지방산은 2-hydroxy-arachidic산이었다. 장쇄 염기는 sphinga-4,8-dienine이었다.

국내산 및 중국산 참기름과 변조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 강치희;박재갑;박정웅;전상수;이승철;하정욱;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0
    • /
    • 2002
  • 경남 도내에서 유통 중인 국내산 참기름과 중국산 참기름 각각 30건과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 등의 식용유지를 첨가하여 변조한 참기를 12건에 대한 지방산 함량을 GC에 의한 정량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참기름의 주요 지방산 평균 함량은 palmitic acid 8.26$\pm$0.04%, stearic acid 4.57$\pm$0.05%, oleic acid 39.25$\pm$0.05%, linoleic acid 46.82$\pm$0.07, linolenic acid 0.52$\pm$0.02%, arachidic acid 0.58$\pm$0.03%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참기름은 palmitic acid 9.24$\pm$0.03%, stearic acid 5.11$\pm$0.04%, oleic acid 38.65$\pm$0.04%, linoleic acid 46.02$\pm$0.06%, linolenic acid 0.42$\pm$0.04%, arachidic acid 0.56%$\pm$0.04%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내산 참기름은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중국산 참기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nic acid는 반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국내산 참기름에 콩기름을 0%, 3%, 9%씩 첨가했을 때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각각 0.52$\pm$0.02%, 0.73$\pm$0.05%, 1.25$\pm$0.04%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옥수수기름을 0%, 5%, 9%씩 첨가했을 때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46.82$\pm$0.07%, 50.22$\pm$0.06%, 51.14$\pm$0.05%로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참기름의 산지별 확인과 식용유지를 첨가한 변조참기름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방산 함량에서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지역에서 구입한 국내산과 중국산 참기름에서 유사한 결과치를 보여 앞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참깨나 참기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잣 종자(種子)의 아미노산(酸), 지방산(脂肪酸), 비타민 분석(分析) (Analysis of Amino Acid, Fatty Acid, and Vitami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s)

  • 한상섭;황병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45-351
    • /
    • 1990
  • 잣종자의 영양분(營養分) 함량(含量)을 알기위하여 일반분석(一般分析), 아미노산(酸) 분석(分析),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비타민 분석(分析)을 행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분석(一般分析)에서 잣종자에 함유(含有)된 수분(水分)은 4.4%,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8.3%, 조지방(粗脂肪)은 67.3%, 조섬유(粗纖維)는 4.7%, 회분(灰分)은 2.2%, 가용성(可溶性) 무질소물(無窒素物)은 3.1% 였다. 2. 아미노산(酸)은 모두 18종(種), 즉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등이 분석(分析)되였으며 이중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성분(成分)은 glutamic acid 였다. 3. 필수(必須) 아미노산(酸) 10종(種) 즉, arginine, histidine,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 등이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방산(脂肪酸)은 모두 13종(種) 즉,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ic acid, 9 icosenoic acid, 9, 11-icosenoic acid, 8, 11, 14-icosatrienoic acid, 그리고 알 수 없는 2종(種)의 8읍 지방산(脂肪酸)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은 linoleic acid 였다. 5. 비타민 A, $B_1$, $B_2$, E, niacin 등 5종(種)의 비타민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중 가장 많은 것은 비타민 E 였다.

  • PDF

한국산 잣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Seeds of Pinus koraiensis)

  • 윤태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97
    • /
    • 1987
  • 한국산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의 종자 즉 잣에는 수분이 3.6%, 정제한 상태의 총지방질이 70.4%, 회분이 2.5% 함유되어 있었으며, 잣 수확년도에 따른 일반성분 차이는 없었다. 잣 총지방결의 지방산에는 14:0에서 22:0까지 21종류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5-olefin계 지방산으로 18:3(5,9,12), 20:2,11), 20:3(5.11.14) 등 3종류가 검출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도 잣 수확년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방산 중 47.9%의 $18:2{\omega}6$, 28.4%의 $18:1{\omega}9$, 11.1%의 18:3(5,9,12) 등 3종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 PDF

천연 및 인조 Nuts의 이화학적 조성 비교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tureal and Imitation Nuts)

  • 김재남;조대희;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5-241
    • /
    • 2000
  • 화학적 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지질에서는 조지질과 유리지질 함량이 imitation nut가 각각 58.7%, 45.9%로 네 종류의 천연 nut 류 중 ha-zelnut을 제외하곤 더 높았으나 부분 경화 대두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결합지질의 양이 천연 nut류에 비해 적게 나타났고, 극성지질인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도 역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지의 불포화도를 알 수 있는 요오드가도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imitation nut가 천연 nut류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지방산 조성에서는 천연 nut류 중 peanut에서만 arachidic acid, eicseno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를 분석할 수 있었고, imitation nut류 역시 대두유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linolenic acid를 검출 할수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의 경우 천연 nut류와 imitation nut모두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imitation nut가 천연 nut류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김아라;이현주;정해옥;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8-127
    • /
    • 2014
  • 본 연구는 모시잎 분말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물량 기준으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일반성분 함량을 비교해 보면,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식이섬유소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이며,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 필수아미노산 함량 및 총 구성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 모두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rachidic acid, linolenic acid인 것으로 나타났고,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열풍건조로 인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감소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A 및 C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Ca, K, Mg, Mn, Fe, Na, Zn 순으로 검출 되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유기산은 oxalic acid, succinic acid 및 citr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고, 구성당은 glucose, fructose, galactose, rhamnos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총 유기산 및 총 구성당 함량 모두 열풍건조 시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