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s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9초

사과(Ralls Janet)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pple (Ralls Jane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6-322
    • /
    • 1983
  • 사과 및 그 가공품의 효소적갈변(酵素的褐變)에 대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얻고 나아가서 그 방지책(防止策)을 조사(調査)하는 목적으로 국광으로 부터 polyphenol oxidase(EC 1.10.3.1)를 추출(抽出)하여 그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였다. 국광 polyphenol oxidase의 반응최적(最適) pH는 6.0이었으며 최적(最適) 반응온도(反應溫度)는 $30^{\circ}C$였다. 본효소(本酵素) pH 4.0에서 가장 안정성(安定性)이 높았으며, pH 5.0~9.0에서도 80% 이상(以上)의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열(熱)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은 $40^{\circ}C$ 1시간(時間) 처리(處理)조건에서도 극히 안정(安定)하였으며 $60^{\circ}C$에서 30분(分) 처리(處理)로 효소(酵素) 활성(活性)이 50% 감소(減少)되었다. $Cu^{2+}$, $Fe^{3+}$, $Mg^{2+}$, $Mn^{2+}$의 첨가(添加)로 활성(活性)이 저해(沮害)되었다. 본효소(本酵素)에 대한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저해제(沮害劑)는 cysteine, sodium, metabisulfite, ascorbate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광 polyphenol oxidase는 o-diphenol인 chlorogenic acid와 catechol을 크게 산화(酸化)시키는 것으로 보아 o-diphenol화합물(化合物)이 주(主) 기질(基質)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내재휴면기 온도처리가 사과 '홍로' 와 '후지'의 발아와 내부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s on Germination and Internal Compositions of 'Hongro' and 'Fuji' Apple Trees during Endodormancy)

  • 조정건;류수현;이슬기;한점화;정재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2-357
    • /
    • 2019
  • 본 연구는 사과나무 '홍로'와 '후지'의 내재휴면 기간 중 휴면타파에 유효한 한계온도 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저온 축적에 의한 내재휴면 타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 처리구별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홍로' $-5^{\circ}C$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지'의 온도 처리구별 발아율은 $-5^{\circ}C$ 처리구에서도 86.3%로 휴면이 타파되었다. 탄수화물과 무기성분의 변화는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경향이나 특이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당 분석 결과 sorbitol 함량은 휴면 타파 여부에 따라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홍로' $-5^{\circ}C$ 처리구의 경우 29.62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휴면이 타파된 것으로 판단되는 처리구는 낮은 수준이였다. 호르몬 분석결과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홍로' $-5^{\circ}C$ 처리구의 경우 ABA (abscisic acid)와 JA (jasmonic acid)는 각각 176.48, 15.72n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휴면이 타파된 것으로 나타난'후지'의 경우 ABA, JA, SA(salicylic acid) 함량이 '홍로' 품종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휴면 타파에 유효한 한계온도 범위는 품종에 따라 다르며 '홍로'는 $-5^{\circ}C$에서 발아율이 30.3%로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지'는 $0^{\circ}C$ 이하인 $-5^{\circ}C$에서도 86.3%로 높게 나타나 저온 축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 김귀란;윤성란;이지현;여수환;정용진;윤경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6-624
    • /
    • 2010
  • 국내에서 소비가 활발한 시판 과실식초(사과, 포도, 감)에 대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초시료의 총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시료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색도, 탁도 및 전반적 색차(${\Delta}E$)는 감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은 acetic acid 외 oxalic, citric, malic,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함량은 시료마다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판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검출결과 필수아미노산은 포도와 감식초에서 총 9종, 사과식초에서 6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시판 과실식초의 주된 향기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iso valeric acid, isoamyl alcohol, propanoic acid, phenethyl acetate 등으로 이외에 사과식초 17종, 포도식초 12종, 감식초 33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SAW 센서 전자코는 과실식초의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습식 나노화 공정기술 적용 식물 영양제를 살포한 사과의 칼슘과 마그네슘 이동 및 흡수율 비교 (Comparison of the Migration and Absorption of Calcium and Magnesium in Apple Leaves Sprayed with Plant Nutrients Prepared by Wet Nano-grinding Technology)

  • 박재령;김은경;이승현;정일경;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69-7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습식 나노화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식물영양제를 이용하여 사과 잎에 흡수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이동 경로 및 흡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습식 나노화 공정을 통해 불용성 칼슘과 마그네슘을 나노화 처리한 식물영양제의 성분 함량 및 이동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 영양제 살포 후 2주, 4주 및 8주 경과 후 잎자루, 잎몸, 옆면으로 구분하여 SEM, EDS 촬영을 통해 분석하였다. 잎자루는 식물 영양제 살포 후 4주차부터 증가하여 8주차에서는 1,115%까지 증가했으며, 사과 잎몸의 경우 2주차의 미살포구에 비해 살포 후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4주 이후부터는 증가하였으며, 4주차의 뒷면 증가율이 539%로 가장 높았다. 또한, 잎몸의 옆면은 미살포구에 비해 살포구 모두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4주차에 673%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살포구가 미살포구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점점 증가하여 나노화 식물영양제의 불용성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이 사과의 잎자루에서 잎몸까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습식 나노 공정 기술을 통해 제조된 식물영양제를 활용하면 사과 이외의 다른 작물 에서도 칼슘과 마그네슘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식물영양제 이외에도 천연물이나 바이오산업에도 나노 공정 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A저장고의 작동 환경에 따른 감모율 예측 (Weight Loss Prediction by Operating Conditions of CA Storage)

  • 박천완;박석호;김진세;최동수;김용훈;이수장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12-317
    • /
    • 2017
  • 감모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고 온습도 변화, 제상수, VPD방법을 이용해 감모율을 예측하였으며 실제 감모율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저장고 내부의 습도변화를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질소주입과정보다 유닛쿨러의 운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 결상 수분배출 과정이 지배적인 영향을준다. 또한 온습도를 이용한 감모율 예측방법이 실제 감모율과 가장 근사값을 나타냈다. 제상수를 이용해 예측한 결과 감모량은 유닛쿨러의 운전율이 높아질수록 많아졌으며 온습도를 이용한 예측방법보다 운전특성에 따른 감모율 변화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때 유닛쿨러의 운전율은 외기온도와 비례하였으며, 저장고 내부에서 응축된 수분량의 계측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감모율과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VPD를 이용한 감모율 예측은 증산계수(K-value)의 영향이 지배적이며, 보고되어진 본 연구에서 이용한 후지사과의 증산계수값(42)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후지사과의 K-value를 30으로 수정하였을 때 가장 근사한 예측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Interplay between the Gut Microbiome and Metabolism in Ulcerative Colitis Mice Treated with the Dietary Ingredient Phloretin

  • Ren, Jie;Li, Puze;Yan, Dong;Li, Min;Qi, Jinsong;Wang, Mingyong;Zhong, Genshen;Wu, Minn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0호
    • /
    • pp.1409-1419
    • /
    • 2021
  • A growing number of healthy dietary ingredients in fruits and vegetables have been shown to exhibit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Phloretin, a dihydrochalcone flavonoid that is abundant in apples and pears,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ulcerative colitis (UC) mice. The gut microbiota and metabolism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due to the existence of the food-gut axis in the human colon. To investigate the interplay of faecal metabolites and the microbiota in UC mice after phloretin treatment, phloretin (60 mg/kg) was administered by gavage to ameliorate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C in mice. Gut microbes and faecal metabolite profiles were detected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and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LC-MS) analysis,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gut microbes and their metabolites were evaluated by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loretin reshaped the disturbed faecal metabolite profile in UC mice and improved the metabolic pathways by balancing the composition of faecal metabolites such as norepinephrine, mesalazine, tyrosine, 5-acetyl-2,4-dimethyloxazole, and 6-acetyl-2,3-dihydro-2-(hydroxymethyl)-4(1H)-pyridinone. Correlation analysis identified the relations between the gut microbes and their metabolites. Proteus was negatively related to many faecal metabolites, such as norepinephrine, L-tyrosine, laccarin, dopamine glucuronide, and 5-acetyl-2,4-dimethyloxazole. The abundance of unidentified Bacteriodales_S24-7_group was positively related to ecgonine, 15-KETE and 6-acetyl-2,3-dihydro-2-(hydroxymethyl)-4(1H)-pyridinone. The abundance of Christensenellaceae_R-7_group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15-KETE and netilmicin. Stenotrophomonas and 15-KETE were negatively related, while Intestinimonas and alanyl-serine were positively related. In conclusion, phloretin treatment had positive impacts on faecal metabolites in UC mice, and the changes in faecal metaboli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gut microbiota.

2019년 국내 사과와 배 화상병 대발생과 그 특징 (Outbreak of Fire Blight of Apple and Pear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in 2019)

  • 함현희;이경재;홍성준;공현기;이미현;김현란;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39-249
    • /
    • 2020
  • 2019년 국내의 사과와 배에 화상병이 크게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상병 발생한 30개 과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발생 상황과 농가 면담을 통해 경종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화상병은 이미 감염된 지 2년 이상 오래 된 과원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는데, 이런 원인은 (1) 농가가 병 증상을 정확히 알지 못하여 농작업과 방화곤충 등을 통해 과원 내에서 퍼지게 되고, (2) 방화곤충이나 농작업자 등에 의해 처음 발생 과원에서 주변 과수원으로 확산되었고, (3) 동일 경작자 또는 공동 농작업자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확산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4) 이런 일련의 과정이 새롭게 확산된 지역에서 반복되다가 농가들이 화상병을 알게 되면서 신고가 증가한 것이 2019년 화상병 대발생의 일련의 원인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화상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진단을 위한 철저한 농업인 교육과 무병징 식물체에서도 화상병균 진단이 가능한 정량적 검출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큰 열매를 주로 생산하는 국내 재배법에 적합한 약제방제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화상병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가지의 궤양 증상, 묘목, 양봉장 등의 전염원 관리를 위해서 과원별 병원균의 분자역학연구를 통해 정확한 확산경로를 구명할 것을 제안한다.

중생종 '홍로'와 만생종 '후지'사과에서 머리뿔가위벌(Osmia cornifrons)의 영소활동 특성과 화분매개효과 (Pollination Effect and Nesting Behavior of Osmia cornifrons on 'Hongro', Early and 'Fuji', Late-season Apple Cultivars)

  • 이경용;이정애;윤형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23-133
    • /
    • 2021
  • 머리뿔가위벌을 사과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중생종 '홍로'와 만생종 '후지'에서 머리뿔가위벌의 영소활동과 화분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후지'에서의 영소활동이 '홍로'보다 2.5배 많았다. 영소율과 증식률에서 '후지'가 '홍로' 보다 각각 1.5배, 3.8배 높았다. 품종에 따른 화분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중심화결실률에서 '후지'가 '홍로'보다 1.6배 높았다. 과실의 품질에서 사축과율은 '후지'가 '홍로'보다 2.5배 낮았고, 사과종자의 수는 1.9배 많았다.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개화기 기상환경과 머리뿔가위벌의 활동량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머리뿔가위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는 온도로 나타났다 (R2 = 0.578). '후지'(평균 17.4 ~ 최고 24.1℃)의 개화기 기온은 '홍로'(평균 12.5 ~ 최고 20.2℃)보다 4 ~ 5℃ 높았기 때문에 '후지'에서 영소활동과 화분매개효과가 '홍로'보다 큰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생종 '홍로'에서는 머리뿔가위벌보다 기상환경에 영향을 적게받는 뒤영벌과 같은 화분매개곤충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만생종 '후지'에서는 머리뿔가위벌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과 재배 농가에게 사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인하여 머리뿔가위벌의 화분매개활동이나 증식률이 변할 수 있다는 결론은 식생과 곤충상에 변화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선형회귀를 이용한 사과의 색상과 당도 분석 (Analysis of Apple Colors and Sugar Contents Using Linear Regression)

  • 김선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01-20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같은 지역에서 수확된 사과 영상에 대해 선형회귀를 이용하여 RGB, HSV, La*b* 색상과 당도와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색상 레벨에 따른 당도와의 상관계수를 조사한 결과, 색상 레벨에 따라 양의 계수를 갖는 (+) 영역과 음의 계수를 갖는 (-) 영역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균값으로 대표되는 색상과 당도와의 상관계수는 La*b* 색상 공간에서 0.342로 RGB, hsv 공간에서의 계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이는 당도는 La*b* 공간에서의 색상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당도와 관련이 높은 영역으로 구성된 복합 색상에서는 R2=0.3627로 나타났으며, 이는 당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9개 모든 색상 공간에서는 R2=0.3668로 나타났다. 이 경우 v와 b*의 계수가 당도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보아 노란색을 대변하는 b*가 높을수록 당도도 높게 나타난다는 경험적인 예측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crop load on the yield, fruit quality, and fruit mineral contents of 'RubyS' apples

  • Nay Myo, Win;Dongyong, Lee;Yang-Yik, Song;Juhyeon, Park;Young Sik, Cho;Moo-Yong, Park;Youngsuk, Lee;Hun Joong, Kweon;Jingi, Yoo;In-Kyu, Kang;Jong-Chul, 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421-430
    • /
    • 2022
  • Crop load management in apple trees is important for achieving optimum productivity and crop value. Henc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fferent crop loads on the fruit quality, mineral content, and yield of the 'RubyS' apple variety. After 4 weeks of full bloom, the crop load was adjusted by hand thinning to different (5, 10, and 15 fruits·cm-2) trunk cross-sectional areas (TCSA), representing low, medium, and high crop loads. The low crop load increased the fruit size and weight, the development of the red-blushed area, and the peel color a* at harvest; however, it reduced the total number of fruits·tree-1 and yield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crop loads. The medium crop load improved the fruit weight, flesh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and reduced the fruits·tree-1 but did not affect the fruit size and yiel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tratable acidity and starch index among the crop loads. The fruit mineral content (phosphorus and potassium) was higher in the low and medium crop loads compared to the high crop load. However, the nitrogen,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in the fruits were not affected by the crop load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 low crop load improves the fruit size and weight, but its effect on the quality and fruit mineral content is similar to that of a medium crop load. Therefore, the optimum crop load level for the 'RubyS' apple trees was approximately 10 fruits·cm-2 TC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