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 user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6초

캐릭터를 지원하기 위한 IoT 플랫폼 서비스 (IoT Platform Service to Support Characters)

  • 오원환;남강현;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43-650
    • /
    • 2018
  • 본 서비스는 BLE 기술이 적용된 비콘을 이용하고, USER APP는 위치 인식 및 장치를 보안 하는 Anchor IPS와 우선적으로 연동된다. 이후 관광지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캐릭터 비콘 들과 연동된다. 서비스 인정된 캐릭터 비콘은 LBS CMS 서버의 API Key를 통하여 사용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UESR CMS 서버의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받게 된다. 서비스망은 캐릭터비콘, Anchor IPS, USER APP, LBS CMS 서버, 그리고 USER CMS 서버로 구성되고, 서비스의 목적은 지역고유 캐릭터를 통해서 지역 관광과 지역의 고유문화를 관광객들에게 홍보하는데 있다.

Cod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User Preferences

  • Kwak, Naejoung;Kim, Doyun;kim, Minho;kim, Jongseo;Myung, Sangha;Yoon, Youngbin;Choi, Jihy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321-326
    • /
    • 2019
  • As AI technology is recently introduced into various fields, it is being applied to the fashion field.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for recommending cody clothes suitable for a user's selected clothe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user app, cody recommendation module, and server interworking of each module and managing database data. Cody recommendation system classifies clothing images into 80 categories composed of feature combinations, selects multiple representative reference images for each category, and selects 3 full body cordy images for each representative reference image. Cody images of the representative reference image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user's preference using Google survey app. The proposed algorithm classifies categories the clothing image selected by the user into a category, recognizes the most similar image among the classification category reference images, and transmits the linked cody images to the user's app.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ResNet-50 model to categorize the input image and measures similarity using ORB and HOG features to select a reference image in the category. We test the proposed algorithm in the Android app,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recommended system runs well.

사용자 맞춤 교육용 APP 개발을 위한 사용자 수준 분석 시스템 설계 (Design of User Level Analysis System for Customized User Education App)

  • 이현섭;강효운;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173
    • /
    • 2012
  • 광범위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관련 APP 시장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APP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교육용 APP이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극히 낮다. 시장 비율이 낮은 이유는 기존 출시된 대다수의 교육용 APP이 가지는 두 문제점 때문이다. 첫 번째는 동일 콘텐츠의 반복학습으로 인해 재사용 빈도가 많이 낮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이끌어 낼 수 없다는 점이며 두 번째는 문제 제공 및 정답 확인의 단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 및 취약 부분을 분석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환경에서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구조 변경 없이 콘텐츠 변경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사용자 맞춤 교육을 위한 교육용 앱 설계에 대하여 제안한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 자연과학 교육용 디지털 앱북 개발을 위한 사용자 상호작용 라이브러리 (User Interaction Library for Natural Science Education Digital App-Book on Android Platform)

  • 이강운;백아람;최해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0-121
    • /
    • 2015
  • 디지털 앱북은 기존의 전자책에서 발전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서 동영상, 소리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기기의 발전으로 이러한 디지털 앱북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제작 노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급이 그 늘어난 수요를 따라가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은 자연과학 교육용 디지털 앱북의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핵심 요소인 사용자-기기간 상호작용 기능들을 라이브러리로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제안 라이브러리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 기기 동작부, 콘텐츠 동작부로 구성되며, 각 부의 명령을 조합하여 다양한 상호작용 함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는 코드의 재사용성, 개발자의 쉬운 이해와 활용성, 넓은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다. 구현된 라이브러리는 상용화를 위한 자연과학 교육용 디지털 앱북 콘텐츠 제작에 직접 이용되었으며, 그 결과 코드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개발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제작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43-155
    • /
    • 2017
  • 모바일 우선주의 시대에 수많은 모바일 앱이 쏟아지면서 사용자들이 보유하는 앱의 숫자도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의 숫자는 적고 많은 앱들이 언젠가 사용되기 위해 보관되고 있다. 이런 앱들을 사용자가 필요한 순간에 스마트폰에서 빠르게 찾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앱아이콘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서 앱아이콘 정리, 앱아이콘 인지 및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서 고찰하고 5가지 정리 유형(사용빈도, 유사성, 사용성, 심미성, 외부영향)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30명의 아이폰 사용자들의 모바일 화면을 관찰 분석하여 유사성, 심미성, 외부의 영향을 3가지 주요 유형으로 확정하여 사용자 유형을 나누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폰에서 앱아이콘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여 사용자 유형별 아이콘 탐색 시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자주 사용하는 앱의 경우는 대부분의 피험자들이 2초 이하로 빨리 찾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의 경우에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가 평균 6초로 가장 빨리 찾았고 심미성을 고려해서 정리한 사용자가 평균 1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또한, 사용자 유형별 인터뷰 결과 유사성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 보다는 앱 이름의 기능 유추 여부가 중요하며, 심미성을 고려하여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의 칼라가 중요하고, 폴더 사용 없이 폰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앱을 배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수많은 앱 아이콘들 사이에서 빠르게 시선을 잡아줄 수 있는 앱아이콘의 가시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고려하면서 앱 아이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dicting numeric ratings for Google apps using text features and ensemble learning

  • Umer, Muhammad;Ashraf, Imran;Mehmood, Arif;Ullah, Saleem;Choi, Gyu Sang
    • ETRI Journal
    • /
    • 제43권1호
    • /
    • pp.95-108
    • /
    • 2021
  • Application (app) ratings are feedback provided voluntarily by users and serve as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for apps. However, these ratings can often be biased owing to insufficient or missing vot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between numeric ratings and user reviews.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numeric ratings of Google app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It exploits numeric app ratings provided by users as training data and returns authentic mobile app ratings by analyzing user reviews. An ensemble learning model is proposed for this purpose that considers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features. Three TF/IDF features, including unigrams, bigrams, and trigrams, were used. The dataset was scraped from the Google Play store, extracting data from 14 different app categories. Biased and unbiased user ratings were discriminated using TextBlob analysis to formulate the ground truth, from which the classifier prediction accuracy was then evalua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e high potential for machine learning-based classifiers to predict authentic numeric ratings based on actual user reviews.

브랜드앱(Branded App)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 모델(TAM)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Branded App :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 장성현;이정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76
    • /
    • 2014
  • As the smart phone devices gain popularity, companies no longer consider mobile application marketing as an auxiliary marketing tactic. The branded mobile application (branded app) becomes an important part of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tecedents of the use intention of the branded app from the perspective of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takes a macro perspective in explaining the adoption process by incorporating a set of new, yet promising additional variables into the TAM model such as flow experience, benefits, innovation inclination, and customization feature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urvey research. A total of 270 response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25 individuals were removed from the data set due to the insincere responses, leaving the final sample size of 245. Findings support all but one hypotheses of the study. Both perceived utilitarian benefits and customization features of the branded app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randed app. Also, the innovation inclination and perceived entertainment of branded app user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branded app.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bout the use of the branded app influenced positively the flow experience and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Also, the ease of use perceived by branded app use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However, the ease of use of branded ap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experience among users. Moreover, the flow experience from the use of branded app users influenced positively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Finally,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branded app.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academicians are provided.

정보기술성공 모형 기반의 공공앱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 공공웹 서비스품질과 공공가치의 조절효과 (An Empirical Analysis of Public App Performance Based on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e Moderating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Public Web and Public Value)

  • 이수인;김상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147-178
    • /
    • 2023
  • Purpose The mail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users' satisfaction of public application with the emphasis of service quality of public web and public value. For this purpose, we applied IS success model to develop the research model that explains users's satisfaction and public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IS success model along with two moderating effects - Service Quality of Public Web and Public Value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proposed causal relationships withing the model. A total of 377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by form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0. Finding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ervice,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y from IS success model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us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blic app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app performance is positively moderated by public valu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pp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sn't moderated by public web service quality.

최종사용자 만족도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End-User Satisfaction in Application Market)

  • 김현모;박재홍;이상철;서영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1-218
    • /
    • 2012
  • Over the last two decades, many information system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variables of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measurement of user satisfaction. In context, this research developed the measurement of user satisfaction in smartphone application market and compared the difference of user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Adroid market and App st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atisfaction of App store was more than that of Adroid market. The information system and customer-oriented factors of App store were higher than that of Adroid market.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부동산 서비스 앱 리뷰 분석 (Real Estate Service App Review Analysis Using Text Mining)

  • 강성안;김동연;류민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4호
    • /
    • pp.227-24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pps. Differences are based on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real estate service apps and derived by the topic modeling result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onducts topic modeling to find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real estate service apps using user reviews. Sentiment analysis is additionally conduct on the derived topics to examine the user responses. Findings Users give high sentiment scores for services that can manage factors such as usefulness of information, false sales, and hype. In addition, managing the basic services of app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