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e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2초

불로환(不老丸)을 투여한 흰쥐 뇌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Bulohwan-Decoction on Antioxidant Enzyme in Rat Brain)

  • 박진성;고성규;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0-102
    • /
    • 2001
  • Objectives: Resently Oxidative stress of brain was proved the cause of Alzheimer and stroke sequel. It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rebropathia that Bulnohwan used as formula of senescence delay have antioxidative effe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lnohwan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such a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Glutathione S-transperase (GST), Glutathione (GSH) in rat brain. Method: Sprague -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aline solution administered control group, Bulnohwan extract administered Experimental group I and Bulnohwan adminisrtrated, 40% dietary restricted Experimental group II. Animals were sacrificed at 12 weeks after treatment TBARS, SOD, CAT, GSH-PX, GST and GSH were measured in mts brain. Results: weight of brain was no stastical significance.(p>0.05) TBARS contents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p<0.001) SOD activity was stastical significance in Experimental group II, whereas it was no stastical significance Experimental group II.(p<0.0001) Catalase activites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 (p<0.00l)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es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II. (p<0.000l)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es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p<0.000)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ach other. Glutathione contents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p<0.00l)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Bulohwan has antioxidants effect in rat brain. When Bulohwan goes with diet restriction, there has more Antioxidants effect in rat brain. but this study was perfored retrospectively. So more prospective studies about mutual relation of drugs are needed

  • PDF

매실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 이정현;나명순;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8
    • /
    • 2004
  •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유발된 횐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400 mg/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고,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중 ALT와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D, catalase, xanthi ne oxidase 및 GSH-Px활성을 측정하고, 지질과산화물인 thiobarbituric acid reactant(TBARS) 및 GSM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증가된 유리기해독계 효소인 GSH-Px활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GSH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됨을 보였고, 알코올 투여로 상승된 ALT 및 AST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켜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한 지방간 또는 손상된 간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통 수산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생리적 기능성 효과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es in Sikhae, Traditional Fermented Sea Products)

  • 차용준;조두희;서정화;조우진;정은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our commercial sikhae products (three flat-fish, Pleuronectes herzensteini, Sikhae: product A, B, C; one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ikhae: product D) and Alaska pollack Sikhae (product E). Total acidity, amino nitrogen, salinity and pH in all products were in ranges of $0.47-1.93\;g\%$, $145.94-204.81\;mg\%$, $3.40-4.00\%$ and 4.38-5.55, respectively. All produ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a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except for Salmonella typhimurium. Particularly the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with gram positive bacteria than gram negative bacteria. Antioxidative $(EDA_{50};\;14.20\;mg/mL)$ and Fibrinolytic (0.95 plasmin unit/mL) activities of product E were much stronger than commercial Sikhae products (EDA50; 18.87-34.60 mg/mL and 0.69-0.85 plasmin unit/mL).

Radish(Raphanus sativus L. var. sativus) 추출물의 피부노화 저해효과

  • 김지은;황현익;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3-866
    • /
    • 2001
  • Radish추출물을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나누어 추출하여 DPPH 저해율, SOD 활성율, Catalase 활성, collagen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DPPH 저해율과 Catalase 활성은 수용성 추출물(81.0%, 175units/mg)에서 높게 나타났고, SOD 활성율에서는 지용성 추출물(92.3%)이 높게 나타났다. 콜라겐$(21.45{\mu}g)$내의 pyridinoline의 함량은 control에 비해 수용성과 지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액에서 적었으며, 두 추출물을 비교해 봤을 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활성 산소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에 대한 콤부차 발효 배양액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Effect of Kombucha Broth Against Scenescence Induced Normal Human Diploid Fibroblasts with Oxygen Free Radicals)

  • 이상은;최진석;이강훈;김국환;권영이
    • 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3-97
    • /
    • 2003
  • Kombucha fermentation broth has been used as a popular health beverage and an alternative therapy with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benefit. We tried to establish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Kombucha fermentation in milk and to investigate cytotoxicity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of Kombucha broth against normal human fibroblasts. The optimal conditions of Kombuch culture were established to 3$0^{\circ}C$, 20∼23 hours by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cell growth while no cytotoxicity against primary normal human diploid fibroblasts was found. The activites of glutathione peroxide and catalase in the cells treated by hydrogen peroxide (1 mM) alone and by hydrogen peroxide with Kombucha broth (1 mg/mι)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mbucha broth could be developed as an antioxidant agent for a new cosmetic material.

식이지방산 조성 및 비타민 E의 보충이 제 2 세대 흰 쥐 뇌조직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ty Acid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in Antioxidant Systmes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Sections)

  • 황혜진;엄영숙;정은정;김수연;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1호
    • /
    • pp.14-22
    • /
    • 2001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systems in the rat brain regions. Th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3-4 wks prior to the conception. Experimental diet consisted of 10% fat(wt/wt) which were safflower oil(SO, poor in $\omega$3 fatty acids), mixed oil(MO, P/M/S ratio=1.03:1.45:1,$\omega$6/$\omega$3 ratio=6.3) and mixed oil supplemented with vitamin E(ME:MO+500mg vitamin E/kg diet). At 3 and 9 weeks of age of the newborn rats, frontal cortex(FC), corpus striatum(CS), hippocampus(H) cerebellum(CB) were dissected out from the whole brain.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sub)x, superoxide dismutase(SOD) concentrations of malondialdehyde(MDA) were mesaured. Dietary fatty acids were not effective in antioxidative system for rat brain. However, when vitamin E was supplemented to the diet(ME), the activities of GSH-P(suh)x tended to increase in comparison to MO group. Therefore, the activites of GSH-P(suh)x of FC and H at the age of 3 wee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 activities of Total-SOD tended to decrease in ME group compared to MO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FC and CS at the age of 3 weeks. The activities of Mn-SOD tended to increase and Cu, Zn-SOD tended to decrease when vitamin E was supplemented. The activity levels of antioxidative enzymes at the age of 3 weeks and 9 weeks were similar. Thi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level of antioxidative enzymes reached to the adult level at the age of 3 weeks which is the end point of lactation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MDA were not altered by experimental diets. Whe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compared,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the lowest in H and FC. In conclusion, the antioxidative system were not altered by dietary fatty acid at the age of 3 weeks and 9 weeks, but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E altered the antioxidative systems. Therefore,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n scope of the balance of various antioxidative systems and their interactions(Korean J Nutrition 34(1):14-22, 2001)

  • PDF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IX) - 아까시나무 심재의 항산화활성 물질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IX) - Antionxidative Compounds from Heartwood of Robinia pseudo-acacia -)

  • 최돈하;이학주;이성숙;김윤근;강하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1-57
    • /
    • 2002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아까시나무 심재 에탄올 조추출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탐색할 목적으로 4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MS, NMR 등의 분광학적 방법에 의해 그 화학적 구조를 3-𝛽-stigmast-5-en-3-ol(daucosterol)를 비롯하여 스틸베노이드 화합물인 3,3',4',5-tetrahydroxystilbene과 후라보노이드인 3,3',4',5',7-pentahydroxyflavone(robinetin) 및 3,3',4',7-tetrahydroxyflavanone(fustin)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의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페놀성 수산기가 5개인 3,3',4',5',7-pentahydroxyflavone은 천연항산화제 및 합성항산화제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단리화합물 중 가장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페놀성 수산기가 4개인 3,3',4',5-tetrahydroxystilbene과 3,3',4',7-tetrahtdroxyflavanone도 천연항산화제인 𝛼-tocopherol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나 3-𝛽-stigmast-5-en-3-ol은 항산화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프리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은 화합물의 페놀성 수산기 수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아까시나무의 높은 항산화활성은 3,3',4',5',7-pentahydroxyflavone, 3,3',4',5-tetrahydroxystilbene 및 3,3',4',7-tetrahydroxyflavanone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 이준설;박양균;안영섭;김학신;정미남;정병춘;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8-238
    • /
    • 2007
  •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보다 $16{\sim}122$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sim}18.0%$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sim}3.7$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고지혈증 흰쥐에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의 혈청 지질 대사 영향과 항산화효과 (Effects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 임애경;정희경;홍주헌;오정석;곽정훈;김용해;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2-308
    • /
    • 2008
  •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식이성 고지혈 흰쥐를 정상군(NO), 고지방식이군(CO), 고지방식이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 10%, 20%(w/w) 첨가군(BFF10, BFF20)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 섭취는 체중과 간 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CO군에 비해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 손상시 활성증가가 우려되는 alanine amino transferase와 aspartate amino transferase 수준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의 생성량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