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mutagenic compound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Effect of R. leguminisarum Pre-incubated with Inducers, Naringenin and Methyl-jasmonate, on Nitrogen Fixation and the Growth of Pea at Different Salinity Levels

  • Lee, Kyung-D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2-367
    • /
    • 2008
  • The legume-rhizobia symbiosis is an important source of plant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for many agricultural syst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inity stress on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of pea (Pisum sativum L.), which has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chemical mutagen, inoculated with R. leguminosarum bv. viciae cultured with additional plant-to-rhizobia signal compounds, naringenin (NA,15 uM), methyl-jasmonate (MJ, 50 uM) or both,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ree salinity levels (0.6, 3.0 and $6.0\;dS\;m^{-1}$) were imposed at 3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through daily irrigations. Addition of signal compounds under non-stress and stress conditions increased dry weight, nodule numbers, leaf area and leaf greenness. The inducers increased photosynthetic rate under non-stress and stress conditions, by approximately 5-20%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non-induced control treatment. Under stress conditions, proline content was less in plants treated with plant-to-bacteria signals than the control, but 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e study suggested that pre-incubation of bacterial cells with plant-to-bacteria signals could enhance pea growth, photosynthesis, nitrogen fixation and biomass under salinity stress conditions.

Antioxidant Properties of Tannic Acid 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in Mice

  • Choi, Je-Min;Han, Jin;Yoon, Byoung-Seok;Chung, Jae-Hwan;Shin, Dong-Bum;Lee, Sang-Kyou;Hwang, Jae-Kwan;Ryang, R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28-734
    • /
    • 2006
  • The tannins represent a highly heterogeneous group of water-soluble plant polyphenols tha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function of tannic acid in comparison to other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catechin, chlorogenic acid, cinnamic acid, ellagic acid, and gallic acid for their ability to scavenge several stable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bullet}DPPH^+$, ${\bullet}ABTS^+$,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The ability of tannic acid to decrease paraquat-induced lipid oxidation in mouse liver and lung through its antioxidant properties was also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almost all the tested compounds have stabl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cept cinnamic acid. Tannic acid, gallic acid, and ellagic acid demonstrated remarkable ROS scavenging properties toward $H_2O_2$, ${\bullet}OH^-$, ${\bullet}O_2^-$ and especially only tannic acid could inhibit paraquat-induced lipid peroxidation effectively in mouse liver and lung. Based on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increased number of galloyl and ortho-hydroxyl groups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and tannic acid is evaluated as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among all the tested compoun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nnins, especially tannic acid, can be used as therapeutic agent for various diseases caused by ROS.

복숭아 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reacted with polyphenol oxidase extracted from peach)

  • 함승시;최경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82-86
    • /
    • 1992
  • 복숭아로부터 polyphenoloxidase를 추출하여 polyphenol 화합물인 caffeic acid, hydroxyhydroquinone, homocatechol 그리고 pyrogallol과 반응시켜 얻어진 4종류의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생리작용을 검토한 결과 rec-assay와 돌연변이원성시험에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종류의 시료모두 S-9Mix를 첨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활성 실험에서 B(a)p, Trp-P-1의 변이물질에 대한 Ca-PEBRP와 HCa-PEBRP가 80% 이상의 강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ec-assay에서도 강한 대조구인 MMC와 MNNG에 대해 Py-PEBRP경우 생육저지대차를 17 mm에서 5 mm로 감소시켜 돌연변이 억제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Hca-PEBRP, HHQ-PEBRP 그리고 Py-PEBRP에 $Zn^{2+}$의 첨가로 생육저지대의 차가 5 mm로써 DNA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초균에서 폴리페놀로 유도된 DNA 손상에 대한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on Polyphenol-Induced DNA Damage of Bacillus subtilis)

  • 김안근;김유경;강영숙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0-334
    • /
    • 2005
  •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EBRPs)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spore rec-assay with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 $(rec^+)\;and\;M45 (rec^-)$. The EBRPs tested were prepared from the reactions of five different kinds of polyphenols with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the leaves Perilla frutescens. In the spore rec-assay, most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tested showed positive, whereas only their tested compound showed nega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f polyphenol oxidase inhibitors such as cysteine, glutathione and ascorbic acid to the reaction mixtures consisted with the polyphenol oxidase and polyphenols, the mutagenic effects were increased in the spore recassa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mutagenicity of polyphenols.

Epicatechin Prevents Methamphetamine-Induced Neuronal Cell Death via Inhibition of ER Stress

  • Kang, Youra;Lee, Ji-Ha;Seo, Young Ho;Jang, Jung-Hee;Jeong, Chul-Ho;Lee, Sooyeun;Jeong, Gil-Saeng;Park, Byoungduc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2호
    • /
    • pp.145-151
    • /
    • 2019
  • Methamphetamine (METH) acts strongly on the nervous system and damages neurons and is known to cause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and Parkinson's. Flavonoids, poly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green tea, red wine and several fruits exhibit antioxidant properties that protect neurons from oxidative damage and promote neuronal survival. Especially, epicatechin (EC) is a powerful flavonoid with antibacterial, antiviral, antitumor and antimutagenic effects as well as antioxidant effects. We therefore investigated whether EC could prevent METH-induced neurotoxicity using HT22 hippocampal neuronal cells. EC reduced METH-induced cell death of HT22 cells.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EC abrogated the activation of ERK, p38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HOP and DR4. EC also reduced METH-induced ROS accumulation and MM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 may protect HT22 hippocampal neurons against METH-induced cell death by reducing ER stress and mitochondrial damage.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weetpotato Tips Extract)

  • 이준설;신미진;박양균;안영섭;정미남;김학신;김정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3-310
    • /
    • 2007
  • 고구마 용도 다양화와 지상부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하여, 괴근에서 자라난 싹 중 부드러운 잎과 잎자루를 포함한 줄기끝 10 cm의 끝순을 수확하여, 끝순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 식중독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 식품안전성과 관련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2. 고구마 끝순의 80% ethanol 조추출물의 수율은 12.5 g이었고, 용매분획별로는 water 분획물이 8.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hloroform 분획물이 1.6 g이었고, 나머지 용매 분획물은 $0.7{\sim}1.1g$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3.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 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4. Listeria monocytogenes에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16시간까지는 3 log 이상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20 mg/ml butanol 추출물은 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다 12시간 이후에는 완전히 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도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0.5{\sim}1$ log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5. 고구마 끝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 활성을 조사한 결과 TA98은 $29{\sim}33$ CFU/plate이었고, TA100은 $159{\sim}188$ CFU/plate로 돌연변이 활성이 없었다. 6. 직접 돌연변이원 물질인 2-NF와 MMS를 처리하여 복귀돌연변이수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에서 돌연변이로 인한 복귀변이원성 집락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고구마 끝순 추출물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Flavonoids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in Plant Origin Food)

  • 김건희;최미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135
    • /
    • 1999
  • Effective synthetic antioxidants such as butylated hydroxyanisole(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BHT)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but they are suspected to be toxic and carcinogenic effec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afely available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flavonoids and selenium is essential. In particular, flavonoids, 2-phenyl-benzo-${\alpha}$-pyrones, are polyphenolic compounds that occur ubiquitously in food of plant origin. flavonoids occur in foods generally as O-glycosides with sugars bound usually at the C\ulcorner position. And variations in their heterocyclic ring gibes rise to flavones, flavonols, flavanones, flavanols, catechins, anthocyanidins, chalcone and isoflavones. Vegetables, fruits, and beverages are the main dietary sources of the flavonols, primarily as quercetin, kaempferol, and myricetin and the corresponding flavones, apigenin and luteolin. These flavonoids have bi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timutagenic, anticarcimogenic antiallerg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Flavonoids posses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acting as oxygen radicals scavenger, metal chelators and enzyme inhibit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is determined by their molecular structure and more specially, by the position and degree of hydroxylation of the ring structure. All flavonoids with the 3`, 4`-dihydroxy(ortho-dihydroxy) posses marke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substituted on the A-and B-rings. There is as yet no certainty about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a double bond between C\ulcorner and C\ulcorn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 PDF

유색미 색소체 및 페놀성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항변이원성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with Content of Pigments and Phenolic Compounds of Colored Rice Seeds)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68-974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3품종 유색미의 색소 및 페놀성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과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색소의 함량은 LK 1-3-6-12-1-1>LK ID 2-7-12-1-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wx 124-163-45-7-1-1-1, LK 1A-2-12-1-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폴리페놀화합물의 양은 IR 17491-5-4-3-3 품종이 현미 100g 당 0.244g으로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LK 1-3-6-12-1-1>LK ID2-12-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 LK IA-2-12-1-1 등의 순이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유색미 함유 생리활성 성분 중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색도상의 lightness는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과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redness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부의 상관성을 보였다.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s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37-17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자들 중에서 특히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 대표적인 아마씨와 들깨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간접돌연변이 $AFB_1$ (0.7 mg/plate)에 대해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86% 및 94%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4% 및 75%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직접 돌연변이인 MNNG (0.6 mg/plate)에 대한 들깨 및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첨가농도 1.25 mg/plate일 때부터 활성이 나타나 5 mg/plate 일 때는 각각 78, 63%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AFB_1$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두 가지 종자인 들깨와 아마씨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보다는 간접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저해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들깨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더 우수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한편,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을 0.5, 1, 2 mg/ml의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1 mg/ml 첨가농도에서 64%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2 mg/ml 농도에서 79%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 mg/ml일 때 68%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처럼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0.5 mg/ml에서부터 활성을 타나내어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72%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0.5 mg/ml에서는 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64%로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아마씨 및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ml에서 각각 65% 및 5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