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6초

임상에서 분리된 CTX-M형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를 생산하는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유행 (Prevalence of CTX-M-typ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Klebsieilla pneumoniae Isolates in General Hospitals in 2005)

  • 김윤태;김태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2-351
    • /
    • 2006
  • 병원내 항생제 다제 내성을 일으키는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lebsielia pneumoniae의 생성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균주로 인한 감염증치료와 역학적 조사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효소의 유전형을 규명하였다. 2005년 7월-12월에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종합병원에서 분리된 E. coli와 K. pneumoniae 각각 153주, 52주를 수집하였다. 그 중에서 ESBL을 생성 하는 균주를 검출하기 위해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여서 E. coli 23주와 K. pneumoniae 13주를 분리하였다. 균주의 동정은 Vitek system GNI card(bioMerieux Vitek Inc., Hazelwood, Mo., U.S.A.)로 확인하였고, 항생제감수성시험은 disk diffusion method 와 agar dilu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의 내성을 일으키는 ESBL유전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Isoelectric focusing(IEF),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DNA sequencing을 시행하였다. A병원의 13주와 B병원의 10주로 총 23주의 E. coli(15.0%)와 A병원의 7주와 B병원의 6주로 K. pneumoniae 13주(25.0%)가 double disk synergy test 양성으로 ESBL 생성균주로 판정하였다. ESBL 생성 36균주를 대상으로 bla$_{TEM}$, bla$_{SHV}$, bla$_{CTX-M}$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을 시행한 결과 bla$_{TEM}$ 유전자는 13주(36.1%), bla$_{SHV}$ 유전자는 13주(36.1%), bla$_{CTX-M}$ 유전자는 32주(88.9%)가 양성반응을 보여서 bla$_{CTX-M}$ 유전자를 가진 균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bla$_{TME}$, bla$_{SHV}$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1주(2.8%)만 나타났고 bla$_{TEM}$, bla$_{CTX-M}$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9주(25.0%), bla$_{SHV}$, bla$_{CTX-M}$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가 10주(27.8%)로 나타나 bla$_{CTX-M}$을 포함하는 복합유전자가 많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 pneumoniae에 대한 cefutaxime의 MIC는 256 $\mu$g/m1 이상으로 ceftazidime의 16-256 $\mu$g/mL 이상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즉, CTX-M형 ESBL 유전자를 지닌 균주에 대한 cefotaxim의 MIC는 ceftazidime의 MI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대학병원 뿐 만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ESBL의 만연과 변종 CTX-M형 ESBL의 출연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Suscepti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Fresh-Cut Products and Organic Vegetable to Organic Acids and Sanitizers

  • Park, Kyung Min;Baek, Minwoo;Kim, Hyun Jung;Kim, Byeong Sam;Koo, Minseo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33
    • /
    • 2013
  • 신선편의 샐러드와 유기농 채소에 오염되어 있는 식중독균인 B. cereus, S. aureus 그리고 E. coli를 대상으로 살균소독제와 유기산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여 신선편의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의 확보를 위한 올바른 세척제와 사용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aureus는 2% ace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와 1% CaO에 대하여 고농도의 염소계, 과산화수소계 보다 높은 살균 효과를 보였고 E. coli의 경우에는 1% acetic acid와 CaO처리에 의해 80%의 분리주가 감소하여 50% 에탄올과 4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대등한 감소율을 보였다. B. cereus 분리주에 대한 1% CaO, 0.5% acetic acid, 2% malic acid와 tartaric acid 처리는 200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고, 1%의 과산화수소와 대등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따라 천연 물질 유래 살균 소독제인 CaO와 유기산은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살균 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유기산은 고품질의 신선편의 채소를 안전성으로 공급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담수어에서 분리되는 운동성 aeromonads의 표현형적 특성과 약제감수성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motile aeromonads isolated from freshwater fish in Korea and Japan)

  • 한현자;고빈다사미비빅카난한;히로노이쿠오;아오키타카하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9-25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담수어에서 분리된 운동성 aeromonads 7균주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분양받은Aeromonas hydrophila 4균주의 표현형적 특성을 API20E와 APIZYM 방법으로 평가하고, 7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최소 성장 억제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를 측정하였다. API20E 시험 결과 시험한 모든 균주는 (n=7) 운동성 aeromonads로 동정되었다. API20E시험에서lysine decarboxylase와mannitol, rhamnose, amygdalin, arabinose를 포함한 4종류의 carbohydrates의 산 생성은 균주에 따라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APIZYM 시험을 이용한 효소 활성능을 평가한 결과, 모든 시험된 균주가val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α-chymotrypsin, α-galactosidase, β-glucuronidase, α-glucosidase, α-mannosidase, α-fucosidase반응에서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비록 그 효소 활성의 강도에서 차이는 있었으나alkaline phosphatase, esterase-lipase, leucine arylamidase, β-galactosidase, N-acetyl-β-glucosaminidase 모든 균주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최소 성장 억제농도를 시험한 결과, 시험된 모든 균주는 ampicillin sodium (MIC>100㎍/ml) 에 내성을 가지며 chloramphenicol (MIC≤1.6㎍/ml)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998년 이후에 분리된 3균주 (AC9804, AC0202, GMA0361)는 tetracycline (MIC=50㎍/ml) 모두 저항성이 있었으며, AC9804는 oxolinic acid (MIC=12.5㎍/ml), GMA0361는 kanamycin sulfate (MIC>100㎍/ml)와 streptomycin sulfate (MIC>100㎍/ml)에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시판 어패류에서 분리한 장염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Commercial Marine Products)

  • 류승희;황영옥;박석기;이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08-513
    • /
    • 2010
  •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시판 수산물 2,239건에서 분리한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류 789건을 검사하여 42주(5.3%)의 V. parahaemolyticus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패류 735건 중 27건(3.7%), 연체류 387건 중 12건(3.1%), 기타 수산물 328건 중 12건(3.7%), 총 93건(4.2%)에서 V. parahaemolyticus가 분리 동정되었다. 내성률이 높은 항생제는 ampicillin 93.5%, cephalothin 90.3%, streptomycin 87.1%, ticarcillin 55.9%, 그리고 amikacin 40.9%이었으며, 감수성률이 높은 항생제는 nalidixic acid, chloramphenicol 및 ampicillin/sulbactam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98.9%, gentamicin 및 tetracycline 82.8%, ceftriaxone 63.4%이었다. 중등도 내성률은 kanamycin 79.6%, ciprofloxacin 64.5%, amikacin 47.3%, cefoxitin 43.0%순이었다. 항생제 내성양상은 3제 내성이 37.6%, 4제 내성 24.7%, 5제 내성 17.2%, 6제 내성 11.8%, 2제 내성6.5%, 7제 내성 2.2% 순이었으며, 가장 많은 내성 양상은 AM-CF-S의 3제 내성(22.6%), AM-CF-S-TIC 4제 내성(18.3%), AM-AN-CF-S-TIC 5제 내성(9.7%) 순이었다.

Shigella균속의 항균제내성 및 전달성 R-Plasmid에 관한 연구 (Drug Resistance and R-Plasmids of Shigella Strains Isolated from Humans, Korea)

  • 김지연;이연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4
    • /
    • 1984
  • Shigella remains to be an important enteric pathogen in this country for the present. Moreover, most of the isolates have become multiple resistant to various antibiotics which used to be drugs of choice for shigellosis. This study was made as an attempt to assess the present stage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incidence and transferability of R factors of Shigella. A total of one hundred and seventeen strains of Shigella isolated from patient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 between 1982 and 1983 were tested for their resistant to antimicrobial agents and transmission of R-plasmid. Antibiotic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by an agar dilution method. Muller hinton agar were used for the assay of drug resistance and tryptic soy broth were used for propagating medium for conjugation. Shigella isolated found to be one or more antibiotics were considered potential donor of R-plasmi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117 strains of Shigella isolated, 111 strains(94.9%)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one or more drugs tested and 97.3% of these resistant strains were multiply resistant, indicating the multiply resistant strains were more than the single resistant strains. Only six strains were susceptible to all drugs tested. 2. Among 117 strains of Shigella isolated, 107 strains(91.5%)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Tc), 106 strains(90.6%) to Chloramphenicol(Cp) and Streptomycin(Sm), 97 strains(82.9%) to Ampicillin(Ap), 68 strains(58.1%) to Cephaloridine(Cr), 10 strains(8.5%) to Nalidixic acid(Na), 5 strains(4.3%) to Kanamycin(Km) and 2 strains(1.7%) to Rifampicin. No strain was resisfant to Amikacin(Ak) and Gentamicin(Gm). 3. All drug-resistant Shigella strains, except three, were multiply resistant to two or more drugs. Fifty eight strains were resistant to five drugs, followed by 26 strains resistant to dour drugs, 12 strains resistant to three drugs and 11 strains resistant to six drugs. 4. The 73% of multiply drug-resistant Shigella transferred their resistance to E. coli by conjugation and the resistance was considered to be mediated by R-plasmid. Resistance to Nalidixic acid and Rifampicin were not transferred by conjugation to recipient. As for the transferability of resistance to each seperate drug, Ap resistance was transferred with 73.2% frequence and Cm and Tc resistance were transferred with approximately 50-60% frequence whereas Sm and Cr resistance were transferred in 19.1-21.4% The other four drugs resistant failed to transfer their resistance to recipient. 5. As for the incidence and transferability of resistance to each seperate drug, the strains resistant to Tc and Cm were encountered most frequently with the rate of 91-92%, whereas transfer of Tc and Cm were low, 51-52%. The incidence of Sm resistance was very high(90.6%) but transferability of drugs resistance was much lower(25.4%). Though the incidence of Km reristance was much lower(4.3%) transferability of Km resistance was considerably higher(60%). 6. The greater the multiplicity of resistance, the greater was the likelihood that part of all of the resistance markers would be transferable.

  • PDF

대전지역의 입원환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의 분자역학조사(2008년에서 2014년까지) (Molecular Analysis of Carba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Patients Hospitalized in Daejeon between 2008 and 2014 Years)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06-413
    • /
    • 2018
  • 최근 P. aeruginosa의 carbapenem에 대한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metallo-{\beta}-lactamases$ (MBLs)는 carbapenem의 고도 내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Sequence type 235 (ST235)는 다제내성 클론으로써 국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MP-6와 VIM-2 유전자의 확산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3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에서 MBL 유전자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역학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고, MBL 유전자의 분석을 위해 PCR과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역학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를 실시하였다. 110 균주의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 중, 32균주(29.1%)가 MBL를 생성하였고, IMP-6 (29균주, 90.6%)가 주요하게 확인되었다. VIM-2는 3균주(9.4%)에서 확인되었으며, 모두 ST357로 확인되었다. IMP-6를 생성하는 P. aeruginosa는 모두 다제내성을 보였고, ST235로 확인되었다. ST235 (55균주, 50.0%)는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된 클론이며 7년 동안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다제내성 ST235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carbapenem의 과도한 사용을 제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한 대학병원에서 수집된 Mupirocin 내성 포도알균의 내성 유전자 및 항생물질 감수성 분석 (Resistance Determinan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Mupirocin-Resistant Staphylococci Isolated from a Korean Hospital)

  • 민유홍;이종서;권애란;심미자;최응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3-101
    • /
    • 2012
  • 서울의 한 종합병원에서 포도알균 임상균주들을 2003, 2005, 2006 및 2009년에 각각 100, 195, 151 및 112주를 수집하여 mupirocin 내성율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의 mupirocin에 대한 고도내성(최소억제농도 ${\geq}512{\mu}g/ml$) 빈도는 감소 추세로 2005년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S. aureus의 저도내성(최소억제농도 $8-256{\mu}g/ml$)은 2005년까지 나타나지 않았으나 2006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9년에는 6.9%에 이르렀다.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의 전체적인 내성율은 S. aureus와 달리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2003년 CNS의 고도내성율은 16.0%이었으나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09년에는 31.5%에 이르렀다. CNS의 저도내성율은 2003년 8.0%이었고 이후 11% 정도의 일정 수준을 나타내었다. 모든 고도내성 균주들에서 ileS-2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모든 저도내성 균주들에 대하여 ileS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도내성의 원인으로 알려진 V588F 변이가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S. aureus에서 V458G, 그리고 CNS에서 D172A, Y490H, I750V 변이들이 새로 발견되었다. Mupirocin 내성 균주들의 oxacillin 및 피부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외용 항생물질들에 대한 내성율을 측정한 결과, 고도내성인 S. aureus 1주는 이들 모든 항생물질에 내성이었고 저도내성인 S. aureus 10주는 fusidic acid를 제외한 모든 항생물질에 내성이었다. Mupirocin에 고도내성(61주) 및 저도내성(27주)인 CNS 균주들은 감수성인 CNS 균주들(167주)보다 이들 항생물질에 대하여 상당히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포도알균에 의한 피부감염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선 mupirocin 내성 균주의 출현을 방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