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ubstanc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MRSA Bacteriocin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cin Product

  • Ahn, Byeong-Ki;Min, Kyung-Cheol;Cho, Sang-Hyun;Lee, Dong-Geun;Kim, Andre;Lee, Sang-Hye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1-137
    • /
    • 2021
  • This study aimed at isolating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iocin activity from fermented shrimp. We selected three strains, named Weissella sp. S1, S2, and S3, using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ll strains showed appropriate growth in an MRS medium containing 5% (w/v) NaCl and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The strains exhibited similar growth rates at 0-5% NaCl, with approximate reduction in growth rate observed at 9% NaCl. Weissella sp. S1, S2, and S3 exhibited maximum growth rates at pH 7, 9, and 8, respectively. The crude bacteriocin was prepared from Weissella sp. S3 and subjected to characterization. The remaining activities after 30 min of exposure at each temperature were 100%, beyond 75%, and 49% at 4℃ and 37℃, 50℃ and 70℃, and 100℃, respectively. The remaining activities after 24 h of exposure at each pH were 100%, 75%, and 49% at pH 3 and 5, 7 and 9, and 10, respectively. Use of 50% (v/v) ethanol or isopropanol treatment did not diminish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cteriocin, while the 50% (v/v) hexane treatment reduced the activity by 51%.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was nearly 6 kDa that was quantified using tricine-SDS-PAGE. Our findings suggest that Weissella sp. S3 may be considered a probiotic and useful source of antimicrobial substances in the development of bio-preservatives for food or in MRSA treatment.

Streptococcus mutans 대한 Lavender와 Peppermint Oil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lavender and peppermint oils on Streptococcus mutans)

  • 박충무;윤현서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210-215
    • /
    • 2018
  • Objectiv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wo essential oils, lavender and peppermint, against dental caries and to review their synergistic effect when used in combination.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use of these two substances towards the prevention and cure of dental caries. Methods: The sample solutions of lavender and peppermint oils were prepared in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30%, 50%, and 70% (v/v)) by diluting them with third-distilled water and Tween 20. Streptococcus mutans was selected as the bacterial species for test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ample solutions. For generating growth curves and measuring the number of clusters of the bacterial, the liquid medium-dilution method was used; the absorbance of the medium was measured at 600 nm after 3, 6, 12 and 24 hours. Results: Whe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tested via the disk diffusion method, the activity improv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ll the sample solutions of peppermint, lavender, and the blen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ith respect to the type of oil. In the growth curves of S. mutans, growth inhibition was observed after 12 hours. The inhibitory effect of 30% lavender oil on growth was 64.9% and 80.1% after 12 and 24 hours of treatment,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peppermint oil was 71.3% and 80.1% after 12 and 24 hours of treatment,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lended oil was 71.9% and 81.0% after 12 and 24 hours of treatment, respectively.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still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lavender and peppermint oils, as well as other essential oils, for wider use in preventing dental caries.

Marine Sponges as a Drug Treasure

  • Anjum, Komal;Abbas, Syed Qamar;Shah, Sayed Asmat Ali;Akhter, Najeeb;Batool, Sundas;Hassan, Syed Shams 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4호
    • /
    • pp.347-362
    • /
    • 2016
  • Marine sponges have been considered as a drug treasure house with respect to great potential regarding their secondary metabolites.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ponge's derived compounds to examine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compounds proved to have antibacterial, antiviral, antifungal, antimalarial, antitumor, immunosuppressive, and cardiovascular activity. Although, the mode of action of many compounds by which they interfere with human pathogenesis have not been clear till now, in this review not only the capability of the medicinal substances have been examined in vitro and in vivo against serious pathogenic microbes but, the mode of actions of medicinal compounds were explained with diagrammatic illustrations. This knowledge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to be known especially for transforming medicinal molecules to medicines. Sponges produce a different kind of chemical substances with numerous carbon skeletons, which have been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interfering with human pathogenesis at different sites. The fact that different diseases have the capability to fight at different sites inside the body can increase the chances to produce targeted medicines.

Fusarium graminearum이 생산하는 몇가지 물질의 분리정제 및 항균 활성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Several Substances Produced by Fusarium graminearum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 김병섭;김건우;이종규;이인원;조광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8-164
    • /
    • 1995
  • 토마토의 엽권에서 분리한 Fusariym graminearum이 분비하는 물질은 벼 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의 여러 종의 식물병원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활성물질을 PDA에서 본 균을 배양 한 후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HPLC에 의하여 5종류의 활성 물질을 분획하였으며, 그중 1번(F402) 화합물을 벼 도열병균(P. oryzae)을 포함한 22개 식물 병원 진균에 대하여 살균 활성범위를 조사한 결과, 이 화합물은 50$\mu\textrm{g}$/ml 농도에서 Pythium ultimum,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은 전혀 억제하지 못하였으며, Phytophthora spp., Cladosporium fulvum, Fusarium spp., Corynespora cassicola에는 어느 정도의 활성이 있었지만 낮게 나타났고, P. oryzae, Cochliobolus miyabeanus, Alternaria solani는 100% 억제하여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내 세균에 대한 활성을 MIC로 비교할 때 Streptococcus pyogenes, Streptococcus faecium에 대하여는 각각 12.5, 25 $\mu\textrm{g}$/ml였고 Staphylococcus aureus는 25-50$\mu\textrm{g}$/ml으로 나타났으며,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aerogenes, Enterobacter cloacae에서는 100$\mu\textrm{g}$/ml 이상으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F402를 200$\mu\textrm{g}$/ml의 농도로 직접 살포한 식물체에서의 방제효과는 벼도열병, 벼 깨씨무늬병, 보리 흰 가루병에 대하여는 80%이상이었으나, 벼 잎집무늬마름병, 오이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녹병에서는 낮았다.

  • PDF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 첨가량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물성평가와 세균부착 억제 효과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Adherence Inhibi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BGn))

  • 전수경;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42-549
    • /
    • 2018
  • 본 연구는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TM}$에 제조한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 BGn)를 0.5, 1.0, 2.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제를 조성하고 세균부착실험을 통한 세균부착 억제 효과와 물성을 평가 하였다. 물흡수도와 용해도는 ISO 4049(2009) 규격에 맞추어 직경 10 mm, 두께 2 mm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세균부착효과는 S. mutans, S. aureus, E. coli 3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물흡수도는 BGn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용해도는 첨가될수록 낮은 용해도를 보였다(p<0.05). 세균부착실험 결과 대조군 $Concise^{TM}$과 비교하여 BGn을 첨가한 S. mutans 실험군에서 다소 낮은 부착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 aureus 실험군과 E.coli 실험군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는 BGn의 세균부착 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BGn 첨가양에 따른 효율성과 폭 넓은 물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 분변에서 분리한 Pediococcus acidilactici GMB7330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Pediococcus acidilactici GMB7330 Isolated from Infant Feces)

  • 강지희;이명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2-156
    • /
    • 2005
  •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Pediococcus acidilacti GMB7330은 내산성(pH 2-3) 및 내담즙성$(1.0\%)$을 가지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P. acidilactici GMB7330의 H. pylori에 대한 저해 특성을 H. Pylori의 균수와 urease 활성 변화, 그리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구조 파괴를 관찰하므로써 조사하였다. P. acidilactici GMB 7330의 배양여액(pH 4.5)은 배양 24시간만에 H. pylori의 중식을 약 4 log 감소시켰다. 이때 P. acidilactici GMB7330의 배양여액의 pH를 중성으로 조절하였을 경우에는 pH 4.5의 경우보다 항균력이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았다. 뿐만 아니라, P. acidilactici GMB7330과 유사한 농도의 젖산을 생성하는 유산균주 Lactobacillus sp. GM7311의 경우 H. pylori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P. acidilactici GMB7330의 항균 활성에는 배양 중 생성된 젖산 이외의 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P. acidilactici GMB7330은 pH값에 관계없이 H. pylori의 urease 활성을 $50\%$이상 감소시켰으며, P. acidilactici GMB7330의 배양여액을 처리한 H. pylori 균주는 세포벽 구조의 파괴로 인한 세포 내부물질의 유출이 관찰되었다.

소목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Brazilin의 구조분석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nd Structural Analysis of Its Related Brazilin)

  • 권현정;김용현;남궁우;김선기;방인석;한만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5-111
    • /
    • 2010
  • 소목은 전통적으로 타박상, 염증 등의 질병치료를 위해 민간의학에서 오래 동안 사용되어 온 한약재야다. 소목의 섬재로부터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MeOH 추출에 의한 hexane, $CHCl_3$, EtOAc, n-BuOH, MeOH 및 $H_2O$ 분획을 얻었다. 분획 시료 중 3.94%의 가장 높은 수율의 EtOAc 분획이 조사된 인채 병원성 세균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활성 나타냈다. 또한 EtOAc 분획의 항균활성은 Gram (-) 균주 보다 Gram (+) 균주에 더 효과적이며, Gram (-) 균주에 대해서는 세균에 따른 항균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EtOAc 분획은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수득한 주요 성분은 채결정을 통하여 얻어진 단일물질을 HPLC를 이용하여 순도를 측정하였다. 300g의 C. sappan으로부터 3.94%의 EtOAc 분획을 얻었으며 EtOAc분획물은 분석한 결과 10 mg에는 1.67 mg의 brazilin을 포함하였다. 분리된 활성울질은 짧은 황색 결정의 단일 화합물로 MS에 의해 분자량이 285로 나타났으며, $^1H$-NMR, $^{13}C$-NMR에 의한 구조분석으로 brazilin($C_{16}H_{14}O_5$을 동정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목의 MeOH 추출에 의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S. aureus와 같은 인체 병원성 Gram (+)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을 시사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항균 및 부착억제 효과 (Effects of Antibacteria and Adhesive Inhibi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 백종윤;김용현;권현정;김은님;김완종;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7-373
    • /
    • 2008
  • 천연물 황금으로부터 여러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어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 에 대한 항균활성, 배지 내 환경변화, 그리고 부착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1. 구강 질병인 치아우식증의 대표적 원인균 S. mutans에 대한 황금 ethyl acetate 추출물 (IPK-3)의 최소억제농도는 125 mg/ml 이었다. 2. 황금 IPK-3 추출물 50 mg/ml의 농도로 S. mutans의 배지 내 투여하였을 때 균의 생장 량과 최대 생장시간은 대조군보다 지연되었다. 3. 황금 IPK-3 추출물 50 mg/ml의 농도로 S. mutans의 배지 내 투여하였을 때, pH 변화는 대조군은 18시간에서 pH 5.63으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황금 IPK-3 추출물이 50 mg/ml의 배지에서는 6.50이상을 유지하여 pH가 변화가 없었다. 4. 황금 IPK-3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 내 탄수화물, 단백질 및 균체 외 다당류의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게 생산되었다. 5. 균체를 형광염료(DAPI)로 염색하여 S-HA 부착억제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S.mutans의 hydroxyapatite(HA)에 부착 정도가 증가되었으나, 황금 IPK-3 추출물이 첨가된 시험군에서는 S-HA에 균의 부착이 매우 적었다. 이같이 황금의 IPK-3 (ethyl acetate 추출물)이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S. mutans 에 대한 항균활성효과 뿐만아니라 hydroxyapatite에 부착 억제 효과도 있었다.

  • PDF

고려인삼의 세근을 이용한 항균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Compounds from Korea Ginseng Fine Root)

  • 김아름;이명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44-1250
    • /
    • 2011
  • 인삼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부산물로 취급되어 대부분 폐기되는 세근을 발효공학적 기법으로 항균성 물질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발효에 적합한 균주의 선별과 발효에 사용될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를 선별하여 발효 시킨 후 항균성 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8종의 유용 미생물 중 L. plantarum이 가장 적절한 균주로 선정 되었으며, 영양원인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는 5%로 밝혀졌다. 또한, 발효 추출물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분석 결과 항균성은 있으나 항바이러스 활성은 미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비발효 추출물 보다 발효 추출물이 약 2배 정도 증가되었고, Gram Positive 균주에서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발효에 의한 항균 활성 물질의 성분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서 HPLC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ginsenoside Rg1, Re, Rd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이 중 가장 많은 함량 변화를 보인 성분은 Rd로 약 50 ${\mu}g/g$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삼 세근 발효물 중 항균 활성을 보이는 주된 물질은 ginsenoside Rd 성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잘피 게바다말로부터 폴리페놀 물질(MP-1)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Polyphenol Substances (MP-1) from Seagrass,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 김해선;박년호;석호영;유상권;우정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0-54
    • /
    • 2022
  • BACKGROUND: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Zosteraceae. This species is native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found attached to rocks on the seashore. As with all seagrass species, P. japonica is also known to play a major role in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and studies on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suggestive of it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pur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olyphenol substances derived from P.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An polyphenol substance MP-1 was purified from the 70% aqueous methanol extract of P. japonica using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 and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The purified MP-1 was identified as rosmari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60 and a molecular formula of C18H16O8 through electrospray ionization (ESI)-mas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ic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cesse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olyphenol substance derived from P. japonica. Rosmarinic acid, the polyphenol derived from P. japonica identified by this study, is a kind of bioactive substance mainly present in plants. These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and are valuable for future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in seagr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