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ubstance(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Lactobacillus bulgaricus가 생산한 항균물질(抗菌物質)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Lactobacillus bulgaricus)

  • 김동신;정승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109-116
    • /
    • 1989
  • 본(本) 실험(實驗)은 Lactobacillus bulgaricus의 우유 배지(培地)에서 항균물질(抗菌物質)을 추출(抽出) 및 정제(精製)하여 항균효과(抗菌效果)를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칼처의 항균물질(抗菌物質)을 methanol-acetone으로 추출(抽出)하고 Sephadex G-50 gel filteration 그리고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精製)하였다. 칼처의 산중화려액(酸中和濾液)이 탁도법(濁度法)에 의하여 Bacillus subitilis의 발육(發育)을 억제(抑制)하였으므로 산(酸)외에서 항균물질(抗菌物質)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精製)된 항균물질(抗菌物質)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fluorescens,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vulgaris 및 Shigella dysenteriae의 발육(發育)을 억제(抑制)하였다.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精製)한 항균물질(抗菌物質)은 항균작용(抗菌作用)을 나타내는 $H_2O_2$나 유산(乳酸)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 PDF

산약(Disocorea batatas) 에탄올추출물의 L. gasseri, S. mutans,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능과 성장억제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Dioscorea Batatas Ethanol Extract Against L. gasseri, S. mutans and P. gingivalis)

  • 윤현서;박충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9-157
    • /
    • 2023
  • Purpose : In this study, to prov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Disocorea batatas, which is widely used for food, and to confirm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 gasseri, S. mutans, and P. gingivalis was verified.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verify the utility a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composition for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Methods : RAW 264.7 cells were used to verify the cell survival rate and NO (Nitric Oxide) inhibitory effect on Disocorea batatas ethanol extract (DBEE). In order to verify the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L. gasseri, S. mutans, and P. gingivalis, concentrations of 125, 250, and 500 ㎎/㎖ of DBEE were used and measured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In order to confirm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600 ㎚ at 3, 6, 12, 18, and 24 hours using the liquid medium dilution method, an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measur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 cell viability for DBEE was 91 % at 50 ㎎/㎖,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was shown from 10 ㎍/ml,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the greater the inhibitory effect. As for the antimicrobial effect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antibacterial effect. At 125 ㎎/㎖ and 250 ㎎/㎖, S. mutans and L. gasseri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nd at 500 ㎎/㎖,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higher in L. gasseri.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in DBEE was concentration-dependent a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and all of them began to show growth inhibitory effects from 6 hours. Conclusion : Considering that it is widely used as an edible and medicinal material, Disocorea batatas has shown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substance to prevent and alleviat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d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can be applied to oral health care products.

광촉매를 이용한 셀룰로오스섬유의 기능화에 관한 연구 - 항균·소취성 및 자외선 차폐성을 중심으로 -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ellulose Fabric Treated with TiO2 - Focusing on Antibacterial activity, Deodorization & UV cut ability -)

  • 권오경;문제기;손부헌;최영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95-398
    • /
    • 2003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deodorization, UV cut ability, whiteness and SEM, according to the size($5{\mu}m$, $15{\mu}m$) of $TiO_2$, concentration(3%, 5%, 10%) and dipping temperature($50^{\circ}C$, $70^{\circ}C$) with using anatase type of $TiO_2$ photocatalyst. Photocatalyst is the substance which carries out functions, such as decomposition, removal, deodorization, antibacterial, etc. of a contaminant, in a place with light based on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Antibacterial activities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TiO_2$'s concentration, and $TiO_2$ has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Staphylococcus aureus but it has low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Klebsiella pneumoniae. The deodorization and UV cut ability is very good, therefore be able to get good effects with using only 3% of $TiO_2$. Every effects are increased by using small size of $TiO_2$ and high dipping temperature.

Pseudomonas aeruginosa EL-KM에 의한 환경친화적 항균물질의 생산과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Antimicrobial Substance by Pseudomonas aeruginosa EL-KM)

  • 이상준;이경민;이오미;차미선;박은희;박근태;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40
    • /
    • 2002
  • An antimicrobial substance-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Based of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its morphological, cultural,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lignment,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aeruginosa, and we named Pseudomonas aeruginosa EL-KM.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 for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was 1% mannitol, 0.4% yeast extract, 0.5% Nacl, 0.2% $K_2SO_4$, 100$\mu$M $MgSO_4$.$7H_2O$, 10$\mu$M $CaCl_2$.$2H_2O$, 1$\mu$M $FeSO_4$.$7H_2O$, 1$\mu$M $MnSO_4$.$4-5H_2O$, initial pH 7 and 200 rpm at 3$0^{\circ}C$. The purification of the antimicrbial substance was perform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s, and fraction with TLC $R_f$ 0.77 value represented good antimicrobial activity. The crude antimicrbial substance was stable within a pH range of 3-10 and temperature range of 4$^{\circ}C$-121$^{\circ}C$ autoclaving. This crude antibacterial substance acted as bacteriolytic agent against Vibrio cholerae non-Ol ATCC 25872, and also exhibited excellent properties, when the substance was demonstrated against many other gram-positive, gram-negative bacteria, yeast and fungi.

한약재 추출물의 피부 염증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 Extracts against Skin Pathogen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143-1150
    • /
    • 2010
  • 한약재 70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4종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는 한약재는 황련, 소목, 오배자, 대황과 단삼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오배자와 황련을 물,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황련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련의 항균성은 berberine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열수 추출물 중 berberi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13.88%로 조사되었다. Berberine에 의한 항균성과 다른 항생제와의 항균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berberine chloride와 3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600 mg/l 이상의 berberine chloride 농도에서 KCCM 35494 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성만 나타내었으며 다른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 사용한 공시균주에 대한 C. japonica 열수 추출물의 항균성은 고 농도의 berberine 또는 다른 물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호라비꽃대 chloroanthus japonica sieb. 의 성분에 관한 연구(I) 결정성분의 분리 및 항균작용 (Studies on Chemical Components of Chloranthus japonica Sieb.(I) Isolation of crystal substance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 정보섭
    • 약학회지
    • /
    • 제12권3_4호
    • /
    • pp.72-75
    • /
    • 1968
  • It has been believed that "Kup kee" (Chloranthus japonica) is good for boils, or dermatopathia, and enteric fever by the Korean folks. However, there is no scientific report on its chemical ingredients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ies so far. The roots of Chloranthus japonica were dried and pulverized. The pulverized powder was then extracted with methanol. Then an extract was obtained by following Stas Otto's method. finally a crystal fraction was obtained through Column Chromatography. Recrystalization from methanol gave white needle crystals, m.p. $198^{\circ}C.$ Generally this compound has shown strong antibacterial effects on Gram negative bacteria. It exerts most powerful effect on Salmonella typhi. on the other hand it shows weak effect on Inaba cholera.

  • PDF

제주도 토양방선균의 수집과 항균물질 생산균의 선별 (Collection of Soil Actinomycetes from Cheju Island and Screening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 정완석;김창진;고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99-104
    • /
    • 1999
  • 제주도내 25개 지점의 토양시료로부터 총 703 주의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네 종류의 배지 중 soil extract를 함유한 arginine glycerol salts agar가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하는데 가장 적합하였으며, 목장초지 토양이 다른 지역의 토양에 비해서 방선균의 다양성과 밀도면에서 가장 좋은 분리원이었다 순수분리된 526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및 Pseudomonas solanacearum을 검정균으로 하여, 항균성 물질 생산여부를 검정한 결과, 생산균주의 발생빈도는 분리 및 배양에 사용한 배지의 종류에 따라서 $0{\sim}32.8%$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세 종류의 검정균에 대하여 동시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0개 균주 중에서 pH 안정성과 열 안정성이 비교적 높은 물질을 생산하는 BL106Ba균주를 선택하여 등정한 결과, Streptomyces속에 속하며 S. albosporeu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B1106Ba의 배양액을 양이온 교환수지(AG MP-50)통과와 3차의 분자량 분획(Sephadex G-10)으로 정제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은 그람 음성균 및 양성균에 대해서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효모에 대해서는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정 물질을 TLC와 HPLC로 분석한 결과 네 종류의 서로 다른 항균성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역 추출물로부터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or Streptococcus mutans)

  • 윤소미;장준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9-154
    • /
    • 2007
  • 건조 미역 10.4 kg을 acetone으로 추출, 여과한 다음 액-액 분배,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충치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한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160 mg, 수율 $1.5\times10^{-3}$%) 물질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 미역 30 g 상당량의 추출액을 기준으로 용매 획분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CHCl_3$층이 73.2%로 가장 강하였고, hexane층이 62.0%이었으며, BuOH층이나 물층은 거의 없었다.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산성 획분인 1% $NH_4OH:MeOH(1:1)$용매 획분이 81.0%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실리카 칼럼에서는 $CHCl_3:MeOH(95:5)$용매에서 가장 높은 95.5%의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ODS칼럼에서는 85% MeOH에서 96.4%의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ODS칼럼에서 95% MeOH를 이동상으로 하여 3개의 물질 S1(10 mg), S2(90 mg), S3(60 mg)을 분리 정제하였다. TLC에서 각 성분은 동일한 Rf값 0.42를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이들을 메칠 유도체화한 성분들은 Rf값이 0.95로 바뀌어 이들 물질이 carboxyl기를 가지는 지방산으로 추정되었다. GC분석에서 표품 지방산과 비교한 결과, 이들은 $C_{18:4,n-3}$ 지방산과 retention time이 일치하였다. 또한, 메칠 유도체의 mass spectrum 분석 결과, m/z 290에 분자 이온 peak가 관측되어 $C_{18:4,n-3}$ 지방산의 methyl 유도체의 분자량과 일치하여, 이 물질을 3,6,9,12-octadecatetraenoic acid(stearidonic acid, $C_{18:4,n-3}$) 지방산으로 동정하였다.

생약재 및 향신료의 Streptococcus mutans 증식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유영선;박기문;김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191
    • /
    • 1993
  • In order to find out an anticariogenic substanc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of oregano, thyme, sage, fennel, nutmeg, rosemary, calamus and cassia cortex were show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 mutans.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among other tested medical herbs and spices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activity.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inhibited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of oregano essential oil was determined as 0.05nl/ml.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oregano essential oil.

  • PDF

Bacillus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Bacteriocin-Like Substances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Like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9-346
    • /
    • 2007
  • 메주로부터 항곰팡이 활성을 보이는 균주 1종과 이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3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결과 Bacillus subtilis MJP1으로 명명하였고, 3종의 곰팡이는 ITS-5.85 rRNA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Aspergillus petrakii PF-1, A. ochraceus PF-2, 그리고 A. nidulans PF-3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MJP1은 곰팡이 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 뿐만 아니라 Candida 속 효모들과 그람 양성균에 대한 넓은 범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MJP1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16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균이 사멸기에 접어든 후에도 활성을 그대로 유지한 반면, 항세균 활성은 대수기 중반인 12시간부터 25시간까지 가장 높은 활성 (1,600 AU/ml)을 보이다가 72시간 이후에는 활성을 상실하였다. pH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 모두 pH $6{\sim}10$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한 결과를 보였으나, 열처리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항세균 활성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각종 효소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어떠한 효소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항세균 활성은 단백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 됨으로써 항균 물질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C_{18}$ Sep-Pak column으로 부분 정제한 항균 물질이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소수성을 가지는 물질임을 알 수 있으며, Tricine-SDS-PAGE및 direct detection을 통하여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2.4 kDa 정도이며, 항세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4.5 kDa으로_ 확인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MJP1은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 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 규명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