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platelet agent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눈개승마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sis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김미선;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5-521
    • /
    • 2014
  • 한방에서 지혈 및 어혈 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눈개승마는, 최근 약용 산채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고자 눈개승마 지상부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눈개승마의 에탄올 추출물(0.5 mg/ml)에서 1.4~2.3배의 우수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내인성 혈액응고 인자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분획물에서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aPTT 연장효과를, butanol 분획에서는 혈액응고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anol 분획은 0.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 0.5 mg/ml 에 해당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활성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아, 눈개승마가 천연물 유래의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활성분획들이 높은 함량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를 포함함을 고려할 때, 활성물질의 정제시에는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다.

수태의 항혈전 활성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Sphagnum palustre)

  • 이예슬;정수진;김미선;손호용;정인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7-421
    • /
    • 2014
  • 수태(Sphagnum palustre)는 물이끼과(Sphagnaceae)의 연한 녹색 선태식물로 분재, 기저귀, 수술용 붕대, 토양 첨가제 등으로 이용된다.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생육하며 매우 저렴하게 생산되지만, 이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태의 열수 추출물과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한 후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혈소판 응집저해를 평가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물 잔류물에서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혈소판 응집 촉진 활성을 동시에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태가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며, 이는 수태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이화누룩의 항혈전 활성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Ehwa Nuruk)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2-306
    • /
    • 2014
  • 이화누룩은 증자하지 않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고, 이를 솔잎으로 띄워 발효시킨 한국 전통누룩이다. 이화누룩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고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은 강력한 thrombin time, prothrombin time, aPTT 연장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기용매 분획후의 물 잔류물에서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화누룩의 ethylacetate 분획이 신규의 항혈전제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며, 이는 이화누룩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Effect of Silsosangami on Platelet Aggregation, Hemolysis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 Kim Chang Hwan;Kim Han Geu;Ahan Jong Chan;Lee Soo Kyung;Chung Tae Wook;Kim June Ki;Choi Dall Yeong;Kim Cherl Ho;Park Won 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277-1283
    • /
    • 2002
  • Silsosangami(SSG) is a formula of treaditional korean medicines as an effective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for augmenting host homeostasis of body circulation. Little is know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SSG an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their anti-thrombosis8).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the SSG due to the recent finding by our group that SSG and each constituent herbs of SSG were able to inhibit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synthesis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bacterial endotoxi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SSG on platelet aggregation and hemolysis in human blood were studied. SSG provoked remarkable inhibiting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 and APTT were sensitive to the presence of this SSG. Using an in vitro system, APTT was delayed with the incre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these seven compoun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SG might be used as a novel antithrombotic therapeutic agents in post-myocardial infarction. A SSG reduced NO production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without the influence on the activity of iNOS being observed. SSG significantly reduced mouse paw edema induced by carrageena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SSG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The results indicate that SSG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hich could be due to a decreased expression of iNOS.

Extracts from Rhizopus oryzae KSD-815 of Korean Traditional Nuruk Confer the Potential to Inhibit Hypertension, Platelet Aggregation, and Cancer Metastasis in vitro

  • Lee, Sang-Jin;Bae, Hyun-Jin;Ryu, Ji-Yeon;Lee, Dae-Young;Kim, Gye-Won;Baek, Na-Min;Kwon, Moo-Sik;Hong, Sung-Yo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23-1429
    • /
    • 2009
  • Rhizopus oryzae KSD-815 was isolated from nuruk that has been used to make Korean traditional win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es of R. oryzae KSD-815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cancer metastasis. Firstly, these cultures were sequentially fractionationed with n-hexane (TAHe), ethylacetate (TAE), n-butanol (TAB), and $H_2O$ (TAW). The TAE inhibited the activity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nd TAB suppress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TAE and TAB inhibited cell motility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Furthermore, TAW interrupted the formation of neovasculature and tube-like structure,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hypoxia-inducible factor-$1{\alpha}$ (HIF-$1{\alpha}$) in breast cancer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ltures of R. oryzae KSD-815 display the inhibitory activities on hypertension, platelet aggregation, and metastasis, and suggest that these cultures might be further probed for the purposes as therapeutic agents or dietary supplements.

우국생 탁주 주박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Lees of Takju (Wookukseng))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2015
  • 각각의 나라는 민족의 공감성과 문화성이 깃든 고유의 술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유의 전통주 막걸리(탁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향장소재 개발을 목표로, 상업적 시설에서 대량생산된 우국생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로부터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한 후,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우국생 주박의 수분함량은 80.3%, pH 3.94, brix 13.0 및 알코올 함량은 약 1.8%이었으며, ethanol 추출의 경우 추출효율은 6.62%로 열수 추출의 2.1%보다 3.15배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주박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폴리페놀 함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128 mg/g).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는 5 mg/ml 농도에서 TT, PT, aPTT 모두 15배 이상의 연장된 응고시간을 나타내어 매우 강력한 thrombin, prothrombin 및 coagulation factor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능 평가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분획 및 물 잔류물에서 항혈전제로 사용되고 있는 aspirin 보다 우수한 응집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10종 시료들은 0.5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호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 및 비료로 활용되고 있는 우국생 주박의 활성분획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부가가치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발효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및 심혈관개선 효과 (The Effects of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Cardiovascular Improvement of Fermented Garlic Extrac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67-57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발효 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및 심혈관개선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심혈관 질환(CVD)의 발생률은 선진국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CVD는 현재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을 나타내고 있다. 천연물 및 대체의학은 CVD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은 항염증제, 항산화제 및 항혈소판 활동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 우리는 발효 과정에서 생산된 생리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제품의 발효 제제가 발효되지 않은 형태보다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쥐 혈소판으로부터 표준 광투과 응집 측정법 및 생체외 과립 분비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외 혈소판 응집 분석을 통해 이들 화합물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발효된 조제물이 시험관내 및 생체외 양쪽에서 혈소판 응집이 보다 강력하고 유의적인 억제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마찬가지로, 조밀한 혈소판 과립으로부터의 ATP 방출은 발효되지 않은 조제-처리된 쥐의 혈소판과 비교하여 발효된 조제-처리된 쥐 혈소판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발효 과정이 발효중에 생산된 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 결과 시험관내 및 생체외에서 혈소판 기능에 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 제품은 혈소판 관련 CVD에 대한 강력한 치료제로서 항혈소판 및 항혈전제로 사용될 수 있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Lees of Sweet Potato Soju)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8-266
    • /
    • 2014
  • 고구마 소주는 전분과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를 발효시킨 후 상압증류하여 제조되어 특유의 부드러운 맛과 향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을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여 각각의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 시료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박의 ethanol 추출 효율이 열수 추출 효율보다 1.36배 높았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total polyphenol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추출물 및 분획물(0.5 mg/ml)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EA 분획물에서만 광범위 항세균 활성과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에서만 아스피린과 유사한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이 신규의 항세균 및 항혈전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상동나무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the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the Aerial Parts of Sageretia thea)

  • 표수진;이윤진;박성익;이창일;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3-451
    • /
    • 2020
  • 현대사회는 고지방의 서구화된 식사,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비정상적인 혈액응고 및 과다한 혈소판 응집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혈전성 질환 위험성도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특용식물인 상동나무(Sageretia thea)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잎(ST-L), 줄기(ST-B), 열매(ST-F)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혈전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flavonoids·phenolic acids 조성을 검토하였다. ST-B 추출물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ST-F 추출물보다 6.7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ST-L 추출물은 ST-F 추출물보다 2.7배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 결과, ST-F 추출물은 aPTT에서만 혈액응고시간 연장이 미약하게 나타났으나, ST-L 및 ST-B 추출물은 기존 항혈전제인 aspirin 및 베리류 및 한방 약재 추출물보다 트롬빈, 프로트롬빈, 응고인자들에 대해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 역시 ST-L 및 ST-B 추출물은 aspirin보다 우수한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은 1 mg/ml 농도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ST-L 및 ST-B 추출물의 phenolic acid 및 flavonoids 분석결과, rutin, isoquercitrin 및 astragalin이 주요 활성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상동나무 잎과 줄기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며, 상동나무를 이용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상동나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isoquercitrin의 항혈전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utcome of 980 nm diode laser vaporizatio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prospective study

  • Mithani, M. Hammad;El Khalid, Salman;Khan, Shariq Anis;Sharif, Imran;Awan, Adnan Siddiq;Mithani, Shoaib;Majeed, Irfan
    •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 /
    • 제59권6호
    • /
    • pp.392-398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initial experience and outcome of photo-selective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PVP)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n Pakistan with the use of a 980 nm diode laser.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rom November 2016 to December 2017. A total of 100 patients diagnosed with bladder outlet obstruction secondary to BPH who planned for PVP were enrolled in the study. PVP was carried out with a diode laser at 980 nm (Biolitec Diode 180W laser) in a continuous wave with a 600 nm (twister) fiber.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perioperative data were compared. Postoperative outcomes were evaluated by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post void residual (PVR) and maximum urinary flow rate (Qmax) at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age was $65.82{\pm}10.42$, mean prostate size was $67.35{\pm}16.42$, operative time was $55.85{\pm}18.01$ and total energy was $198.68{\pm}49.12kJ$. At 3 months and 6 month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noted (p<0.001) in IPSS $7.04{\pm}1.69$ (-18.92), Qmax $19.22{\pm}4.75mL/s$ (+13.09) and and PVR $18.89{\pm}5.39mL$ (-112.80). Most frequent problems were burning micturition (35%) and terminal dysuria (29%).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hemoglobin was seen in patients who were on anti-platelet drugs. Conclusions: PVP with a diode laser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BPH and is also safe in patients who are on anti-platelet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