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dipogenesi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4초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Artemisia scopari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Downregulating the MAPK Pathway)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99-1006
    • /
    • 2018
  •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유라시아 지역 분포하며, 염생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다. 비쑥은 민간요법에서 이뇨제, 소염제, 간염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비쑥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지방세포 내에서의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방전구세포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세포분화 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이를 통해 비쑥 추출물은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인자 조절을 통해 지방 생성과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쑥 추출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추출물의 AMPK 신호전달을 통한 지방생성 억제 효과 (Extract of Ranunculus sceleratus Reduced Adipogenesis by Inhibiting AMPK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김예지;조성필;이희주;홍금란;김경현;류시윤;정주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37
    • /
    • 2022
  • Objectives: Adipogenesis is the process by which pre-adipocytes are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ipocyte formation and lipid accumulation. Ranunculus sceleratus (R. sceleratus) extracts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hepatitis, jaundice, and tuberous lymphadenitis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its effect on adipogenesi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 sceleratus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Methods: Cells were treated with 50, 100, and 200 ㎍/ml of R. sceleratus and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To differentiate the 3T3-L1 preadipocytes, a 3-isobutyl-1-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MDI) solution were us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esis-related proteins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MDI solution differentiated the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and accumulation of lipids was observed in the differentiated 3T3-L1 cells. Interestingly, the amount of lipid droplets was reduced after R. sceleratus treatment.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𝛼 (C/EBP-𝛼)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𝛾 (PPAR-𝛾) were also reduced after R. sceleratus treatment. Furthermore, R. sceleratus increased AMP-activated kinase (AMPK)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expression.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R. sceleratus reduce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inhibiting C/EBP-𝛼 and PPAR-𝛾 levels via the AMPK pathway. Therefore, we suggest that R. sceleratus may be potentially used as an anti-adipogenic agent.

흑양파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의 고지방식이 유도 C57BL/6 비만 동물모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lack onion vinegar o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model)

  • 김미숙;백지윤;최예정;강기성;서원택;김지현;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13-319
    • /
    • 2022
  • 비만의 원인이 되는 고지방식이 섭취는 체내에서 과다한 지질 축적 및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동물 모델에서 흑양파식초 섭취가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흑양파즙 및 흑양파식초를 각각 6주간 투여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HFD군은 정상 식이를 섭취한 NC군에 비해 체중 및 장기 무게가 증가하여 비만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흑양파식초를 투여한 HFD + BV군은 HFD군에 비해 체중 및 장기 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흑양파즙 및 흑양파식초를 각각 투여한 군은 HFD군에 비해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수치를 개선시켰다. 뿐만 아니라, 흑양파식초 투여군은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유의적으로 개선시켜 고지방식이로 손상된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고환 지방 및 간 조직에서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켰다. 흑양파식초의 비만개선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위해 간 조직 내에서 adipogenesis 및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 측정 결과, 흑양파즙 및 흑양파식초 투여군은 HFD군에 비해 adipogenesis 및 염증 관련 인자를 감소시켰다. 특히 흑양파식초 투여는 흑양파즙 투여에 비해 지방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흑양파식초 투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adipogenesis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비만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항비만 기능성 식초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천궁(川芎)의 정유 추출물이 3T3-L1 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nidii Rhizoma on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Adiopocytes)

  • 최수민;김소영;박나리;김정민;양두화;우창훈;김미려;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25
    • /
    • 2018
  • Objectives We investigated anti-obesity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nidii Rhizoma (CR) in immature adipocytes to magnify it's clinical therapeutic usage. Methods Essential oil of CR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or petroleum ether and through steam distillation, respectively. Oil red-O staining for monitoring its inhibition effect on adipogenesis and differentiation in murine 3T3-L1 adipocytes and 3-(4,5-methylthiazol-2-yl)-2,5-diphenyletetra zolium bromide (MTT) assay for cell safety were done. Also phospho-adenosine monophosphate (AMP)-activted protein kinase (P-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acetyl-CoA carboxylase (P-ACC), acetyl-CoA carboxyla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PPAR-${\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expressions as obesity-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Protein expressions of P-AMPK, P-ACC and PPAR-${\alpha}$ were increased in essential oils-treated adipocyt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Furthermore, protein expressions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decreased in essential oils-treated adipocyt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ssential oils of CR inhibit adipogenesis and differentiation. Also they promote the oxidation of fatty acids in adipocytes. Thus, results suggest that essential oils of CR could be used as a valuable material for anti-obesity therapeutics via control of lipid metabolism.

산달래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 of Allium macrostemon extracts on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 이주연;정예주;김진아;김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41-449
    • /
    • 2020
  • 산달래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산달래를 전체(WAE), 비늘줄기(BAE), 잎(LAE)으로 분리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BAE에 비해 WAE와 LAE는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 역시 BAE에 비해 WAE와 LAE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산달래 전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잎에 유효성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LAE의 항비만 효능을 알아보았다. LAE는 농도의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독성에 의한 3T3-L1 세포 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세포생존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LAE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은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EBPα 유전자 발현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lipogenesis에 필수적인 효소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를 통해 산달래 추출물 중 LAE는 adipogenic 전사인자와 SCD1 유전자 조절을 통해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밝혔고 항비만 기능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달래가 항비만 효과가 있는 식품임을 입증하고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상품화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Silibnin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 (Silibinin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 이슬기;권택규;남주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7-34
    • /
    • 2017
  •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delta ($C/EBP{\beta}$, ${\delta}$)는 지방세포분화 과정의 초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지방생성 주요 조절인자인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의 발현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silibinin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및 이러한 효과가 지방세포 분화초기에 $C/EBP{\beta}$$C/EBP{\delta}$의 발현 조절을 통해 일어난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ilibinin은 지방세포 내 지질축적을 억제하고 세포분화 과정 동안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lipoprotein lipase (LPL),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P2) 및 adiponectin과 같은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Silibinin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는 $C/EBP{\beta}$$C/EBP{\delta}$의 발현억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Silibinin은 capspase-3 활성을 통해 분화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Rubus crataegifolius Leaf Water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Mee-Kyu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87-19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산딸기 잎의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산딸기 잎 추출물을 처리한 후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고 지방생성과 관련된 여러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측정하였다. 산딸기 잎은 열수로 추출·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추출물의 수율은 4.76%였다. 산딸기 잎 추출물에 의한 3T3-L1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13%의 성장 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시료 처리 농도를 500 ㎍/mL까지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중성지방의 생성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감소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100, 300, 500 ㎍/mL에서 각각 28.7, 40.8, 51.6%를 나타내었다. 또한 PPARγ, C/EBPα 및 SREBP-1c, FAS 및 ACC의 발현 억제, p-AMPK 발현 증가로 지방합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산딸기 잎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관련 인자들을 조절함으로서 비만 개선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Nakai)

  • 박성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142
    • /
    • 2014
  • 씀바귀 80%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12.6%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01{\pm}0.63$ GAE mg/g 와 $0.05{\pm}0.01$ RE mg/g을 나타내었다. 3가지의 항산화 측정 모델(DPPH, ABTS, reducing power)을 통하여 씀바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보다는 낮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p<0.05)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로 하여 항비만 활성을 평가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Oil red O 시약에 의하여 염색된 지방구는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씀바귀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용매에 따른 울금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및 항비만 효과 (Radical Scaveng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Various Extrac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 박정진;이정민;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08-19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울금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울금의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68{\pm}0.80%$, $3.94{\pm}0.74%$$9.01{\pm}0.73%$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물 추출물에 비해 메탄올 추출물에서 $6.88{\pm}0.44%$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로부터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울금 추출물들을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했을 때, 메탄올 추출물은 분화과정 중 세포내 지방축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울금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메탄올 추출물이 전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 Park, Mi-Young;Seo, Dong-Won;Lee, Jin-Young;Sung, Mi-Kyung;Lee, Young-Min;Jang, Hwan-Hee;Choi, Hae-Yeon;Kim, Jae-Hy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192-197
    • /
    • 2011
  •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ti-adipogenic activities in various Korean cereals, we assessed water extracts of nine cereal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of 3T3-L1 adipocytes with Sorghum bicolor L. Moench, Setaria italica Beauvois, or Panicum miliaceum 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determined by measuring oil red-O staining, triglyceride accumulation, and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mong the nine cereals, P. miliaceum L. showed the highest anti-adipogenic activity. The effects of P. miliaceum L. on 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and th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th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 miliaceum L. extract changed the ratio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in adipocytes, which is related to biological activity and cell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cereals efficiently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 miliaceum L.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adipogenic gene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adip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