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 obesity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36초

적소두(赤小豆) 외피(外皮)(Phaseolus angularis shell)의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에서 항비만, 항고지혈증 효과 (The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on Soyang-in Metabolic Syndrome with Obesity)

  • 곽진영;박정환;고영미;박정미;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6-153
    • /
    • 2017
  •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on metabolic syndrome. Methods Each 5 C57BL/6J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normal diet group, high-fat diet(HFD) control group, high-fat diet plus 15.6 mg/kg/day of Orlistat(HFD-Orlistat) group, high-fat diet plus 100mg/kg/day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extract(HFD-PAS_E) group. Weight, the blood chemical and hematologic parameter was med. The mRNA expression was assayed through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Results In HFD-PAS_E group, the body weight gain, weight of liver, and the level of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level of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adipocyte in HFD-PAS_E group was smaller than HFD group's. In HFD-PAS_E group, the expression of leptin, PPAR-${\gamma}$, AP2/FABP4 mRNA in liver adipocyte tissue wa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UCP-2 mRNA in liver adipocyte tissue was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Leptin, C/EBP-a, AP2/FABP4 mRNA in epididymal adipocyte tissue was de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aseolus angularis shell has inhibitory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by reducing the body weight and the levels of lipid contents in high-fat-diet induced obese mice.

여주의 페놀성 화합물인 Protocatechuic Acid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및 신경염증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Protocatechuic Acid, Phenolic Compound of Momordica Charantia,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ion in C6 Glial Cell)

  • 김지현;최정란;조은주;김현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9
    • /
    • 2020
  • Objectives: Oxidative stress-mediated neuroinflammation has been supposed as a crucial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pathogenesis of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ctivity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ion of protocatechuic acid (PA), active phenolic compound from Momordica Charantia. Methods: Protective activity of PA from oxidative stress was performed under in vitro conditions. Our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mechanism of PA from neuroinflammation in cellular system using C6 glial cell.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the effects on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ion, we induced oxidative stress by H2O2 (100 μM) stimulation and induced neuroinflammation by treatment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 ㎍/mL) and interferon-gamma (IFN-γ) (10 ng/mL) in C6 glial cells. Results: PA showed strong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1,1-dipenyl-2-picrylhydrazyl, hydroxy radical (·OH) and nitric oxide (NO). Under oxidative stress treated by H2O2, the result showed the increased mRNA expressions of oxidative stress markers such as nuclear factor-kappaB (NF-κB),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iNOS). However, the treatment of PA led to reduced mRNA expressions of NF-κB, COX-2 and iNOS. Moreover, PA attenuat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6 and scavenged NO generated by both endotoxin LPS and IFN-γ together. Furthermore, it also reduced LPS and IFN-γ-induced mRNA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Conclusions: In conclusion, our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PA, phenolic compound of Momordica Charantia, could be a safe anti-oxidant and a promising anti-neuroinflammatory molecule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홍화씨 추출물 유래 세로토닌 유도체의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효능에 대한 연구 (Inhibitory Effects of Serotonin Derivatives on Adipogenesis)

  • 정은선;김승범;김무한;신승우;이종성;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6
    • /
    • 2011
  •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홍화씨에서 유래하는 특이적인 세로토닌유도체로 주로 식물이 병원균을 방어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hydroxycinnamic acid amides계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oil-red O염색과 triglyceride 양 측정, GPDH 활성 측정 등을 통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두 물질 모두 유의적으로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효능 비교물질로 세로토닌을 처리했을 때 세로토닌 자체로는 지방분화에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세포분화억제를 통한 항비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creening Moringa species focused on development of locally available sustainable nutritional supplements

  • Kim, Ye-Jung;Kim, Hee S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6호
    • /
    • pp.529-534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e leaves of Moringa oleifera (MO) and Moringa stenopetala (MS) commonly grown in Ethiopia possess potential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ried leaf powder from two Moringa species to develop sustainable nutritional supplements for Ethiopians from locally grown plant sources. MATERIALS/METHODS: Freshly harvested and air-dried MO and MS leaves were authenticated and the nutritional contents, such as protein, ash, lipids, and selected vitamins and minerals, were analyzed using standard analytical procedures. Amino acid compositions were also determined by an amino acid analyzer. Nine-week-old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Moringa. The first group was fed a basal diet, the second group a high-fat diet, and the others were fed a high-fat diet containing 0.1% Moringa leaf powder from each species. After seven weeks, serum indices related to lipid profiles from each mouse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sent study revealed high protein (28-29%) and ash (7-11%) content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and leucine were the most abundantly found amino acids in both species. The predominant minerals in the leaf powder were calcium (826-1,530 mg/100 g), potassium (794-904 mg/100 g), and magnesium (286-431 mg/100 g). Pyridoxine (475.06 mg/100 g) and vitamin E (34.2 mg/100 g) were found only in MS. Niacin was found only in MO at 32.21 mg/100 g, whereas ascorbic acid was found in both species (3.89 and 6.19 mg/100 g dry weight for MO and M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imal study showed that mice on a high-fat diet containing 0.1% MO leaf powder alleviated the elevation of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duced by the high fat diet. MO was more effective than MS in preventing hypercholesterolemia and fat deposition.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work confirmed that Moringa leaves of both MO and MS possessed high nutritional value but MO was better at preventing the harmful effects of the high-fat diet than MS.

Wnt/β-catenin 신호 활성화를 통한 미세전류 자극의 지방생성 억제 효과 (The Micro-Current Stimulation Inhibits Adipogenesis by Activating Wnt/β-Catenin Signaling)

  • 황동현;이한아;이민주;조승관;김한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235-24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MCS) on adipogenesis regarding with Wnt/β-catenin pathway using the ob/ob mouse and 3T3-L1 cell line. 6-week old ob/ob male mice were equally assigned to four groups: obese group(ob), obese with MCS groups(50 μA, 200 μA, and 400 μA). 6-week old C57BL/6J male mice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ON). We analyzed abdominal adipose tissue volume by using in vivo micro-CT and measured the body weight, feed intake, liver weight and triglycerides in serum. All the MCS groups showed that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triglycerides in serum. In the case of liver weight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volume, the inhibitory effect of adipogenesis was shown in the 200 μA and 400 μA groups. To elucid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MCS, β-catenin, C/EBPα and FAS protein expression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β-catenin expression was upregulated, C/EBPα and FAS expression were down-regulated in the relatively high-intensity groups(200 μA and 400 μA). Thus, the 200 μA and 400 μA for the intensity of MCS were chosen for cell experiments. In the 3T3-L1 cell line, Wnt/β-catenin pathway including Wnt10b, Wnt3a, β-catenin and Cyclin D1 was activated in all MCS groups. Accordingly, the expression level of C/EBPα was decreas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lipid drople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il red O staining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nt/β-catenin signaling might be activated by MCS with current intensities between 200-400 μA and it may lead to anti-obesity effects.

VigiAccess를 통한 WHO의 약물 이상사례 보고 현황 검색과 그 활용 가능성 탐색 : 비만 치료제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Status of WHO VigiAccess Adverse Drug Event Reporting and Exploring its Potential for Application Using Anti-Obesity Agents as Examples)

  • 김미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5-74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adverse event (AE) reporting in VigiAccess using anti-obesity agents as example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ts use and future challenges. Methods: AE reports related to some representative drugs among herbal medicines (HMs), complex HM prescriptions, ingredients of supplements, and over-the-counter and prescription medicines were investigated using VigiAccess on February 1, 2024. Results: AE reports on prescription drugs were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ose on HMs or supplements. Although most reports were submitted from North America, reports on Ephedra sinica and green tea extract (GTE) were more from Asia and Europe, respectively. The female population reported more, and the difference in the sex ratio was the smallest for Ephedra spp. The age group was concentrated on young adults, but many older patients reported GLP-1 receptor agonist-related AEs. Symptoms related to the gastrointestinal and nervous systems were most commonly reported, but mental and cardiac disorders were common in Ephedra-type HMs. Hepatobiliary disorders are also commonly found in GTE-related reports. Conclusions: VigiAccess was useful for easily checking the global status of AE reporting for prescription drugs.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observed in using VigiAccess for HMs because of the few reports.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ports by education and to promote AE reporting among HM prescribers and users. The full range of HMs should be included in the pharmacovigilance system, and the coding and classification of HMs should be revised.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무청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radish leaf extracts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mice)

  • 이윤성;서영호;김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7-3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MU-C와 MU-CA에 대해 3T3-L1 세포를 이용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와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3T3-L1 세포를 adipocyte로 분화 시키면서 무청 추출액을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을 통하여 지방축적을 비교해 본 결과 Control 대비 MU-C와 MU-CA 처리군에서 세포 지방 축적이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MU-C 처리군이 MU-CA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주간의 동물실험을 통한 무청 추출액 투여 후 체중 측정 결과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며, 시료 투여 4주차부터 HFD군에 비해 시료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지방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종료 후 간 무게와 지방무게를 측정한 결과 절대 장기 무게와 상대 장기 무게 모두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게가 감소하였다. 혈중 TG, TC 함량 측정 및 동맥경화지수와 심장위험도 지수 계산 결과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며, 혈청 내 간 기능 효소(ALT, AST) 측정 결과 또한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병리조직학적 분석 결과 HFD군의 경우 지방축적 정도 심하였고, 일부에서 염증과 풍선도를 볼 수 있었다. MU-C군과 MU-CA군에서는 일부 간세포에 염증과 지방이 침착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HFD군에 비해 간세포가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고 지방 축적 정도는 감소된 모습을 관찰하였다. 지방세포의 경우도 대체적으로 균일한 크기에 지방세포를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HFD군 비해 MU-C군과 MU-CA군 순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체중 변화, 지방무게, 혈중지질, ALT, AST 수치에서 열수 추출한 MU-C군이 MU-CA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MU-C군이 항비만 효과에 더 효과적인 물질로 확인된다. 이는 유기산 첨가 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가 분리되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증가에 따른 성분 차이로 판단되며(Kim, 2011), 가수분해를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 수율 증가로 인해 MU-C군이 비만 예방 효과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액리놀레산 함유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의 rat에 대한 단회 경구투여독성 및 항비만 효과 (Acute Oral Toxic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Diglyceride Preparation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in Rat)

  • 홍순기;박채규;이미자;정신교;이영호;현선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5
    • /
    • 2009
  • 단회 경구 투여 독성 평가를 위해 암 수 rat을 이용하여 시험물질 2,000 mg/kg과 5,000 mg/kg을 투여한 후 14일 동안 관찰한 결과, 투여에 기인한 사망례 및 체중변화, 특이한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대조군 및 시험물질 2,000 mg/kg 투여군에서 투여 1일에 연변외 점액변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투여에 기인한 일시적인 변화로 사료된다. 투여 2일부터는 암컷 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특이한 일반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 시 암컷 대조군 및 암 수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투여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육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 대조군 1례의 부검결과, 부고환, 정낭 및 양측 고환에서 소형 소견 관찰되어,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부고환, 정낭 및 고환의 위축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자연 발생적인 소견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을 rat에 단회 경구투여한 결과, $LD_50$값이 rat kg당 5,000 mg 이상으로 판단되며, 단회 경구 투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obese Zucker rat에 saline, soybean oil, DG, DG+CLA를 8주간 투여한 후 효과를 비교하였다. 체중변화의 경우 DG+CLA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투여 후 3주째부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체중 감소를 나타냈다. 1일 식이효율측정의 결과,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1일 식이 효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혈중지질분석의 결과,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중성지방 수치는 soybean oil 및 DG 투여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지방조직무게 측정 결과, DG+CLA 투여군은 신장주위지방무게를 제외한 부고 환주위지방, 갈색지방 및 내장지방무게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지방조직무게가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obese Zucker rat에 대한 5 mL/kg의 DG+CLA 경구투여는 CLA의 주요 이성질체인 c9, t11-CLA와 t10, c12-CLA가 hormone sensitive lipase와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지방 분해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의 축적을 막으며,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 대사에 영향을 주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Extract in 3T3-L1 Adipocytes and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35-12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청국장에 사용하는 대두보다 많은 양의 isoflavone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검은콩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추출 농축 하여 청국장이 갖는 생리활성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SC_{50}$값으로 나타내었을 때 각각 $162.7{\pm}2.8$ ppm와 $205.62{\pm}3.6$ ppm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3T3-L1 지방세포에 처리하였다.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한 결과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4,000 ppm 처리 시 최대 17.1%의 지방 감소를 보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부고환, 복막 후, 장간막 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와 렙틴 농도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에 일반식이를 급여한 일반식이군(ND),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HFD)과 고지방식이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분말 5%를 급여한 군(HFC-BBCE군)으로 나누어 7주간 실험하였다. 고지방식이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청 지질 수준,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에 의해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이 고지방 식이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고지방식이 급여로 증가된 체중 및 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앞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능성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기자 추출물의 항비만 및 혈당강하 효과 (Study on Anti-obesity and Hypoglycemic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Extracts)

  • 황은영;홍정희;최준혁;이은정;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28-1534
    • /
    • 2009
  • 구기자는 식용가능하고 제2형 당뇨병 합병증인 지방간분해, 고혈압 및 고혈당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 대사 및 지질 대사에 작용하는 정확한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기에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의 저해활성 및 정상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 효과와 3T3-L1 adipocyte를 통하여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보았다. 구기자 추출은 80% MeOH, 70% EtOH 및 열수추출하였으며 이들 중 ${\alpha}$-amylase 50% 저해 활성($IC_{50}$)은 saliva ${\alpha}$-amylase에서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7.04, 3.19, 3.20, 3.66 mg/mL), pacreas ${\alpha}$-amylase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10.97, 4.16, 3.07, 3.55 mg/mL)로 saliva ${\alpha}$-amylase에선 acarbose보다 80% MeOH,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_{50}$값을 나타냈고 pacreas ${\alpha}$-amylase에서는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_{50}$값을 나타냈다. 또한 10 ${\mu}g/mL$ 농도에서 yeast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IC_{50}$값은 80% MeOH, 70% EtOH, aqueous(5.01, 4.98, 4.80 ${\mu}g/mL$)로 구기자 추출물 모두 acarbose(5.05)보다 우수한 $IC_{50}$값을 나타냈다. 정상생쥐에게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70% EtOH 추출물을 전분과 함께 경구투여 한 후 내당능을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100, 200 mg/kg body weight를 경구투여 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투여 후 30, 60, 90, 120분에 혈당 증가가 낮았다. 또한 추출물을 100 mg보다 200 mg 투여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 및 40%씩 저하되었으며, 120분에는 대조군 수준이 되었다. 그리고 3T3-L1 adipocyte에서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70% EtOH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eptin,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고 유리지방산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구기자 추출물 중 70% EtOH는 acarbose보다 높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정상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GLUT4 발현 역시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구기자 추출물이 지방축적 억제와 인슐린 저항성 억제 및 혈당강하 기전을 확인하여 제2형 당뇨병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 추후 더 연구하여 보다 더 정확한 성분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