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tion material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7초

중.고등학교 수학의 시각화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Middle & High School Mathematics)

  • 문광호;우정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35-15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role of the visualization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bstracted mathematics, to analyze visual materials in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and to suggest various visualized materials for teaching mathematics effectively. Though formal, symbolic and analytical teaching method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th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understand through intuition and insight,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progressively. Especially the sigh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s of cognition for intuition and insight. Therefore, suggesting mathematical contents through the visual method makes the students understand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more easily.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 of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And, we discussed about the four roles of visualiz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confirmation and memorization of the mathematical truth, proving theorem and solving problem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teach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roles of visualization, we analyzed visual materials currently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suggested various visual materials useful in teaching mathematics. The investigated fields are algebra where visual materials are little used, and geometry where they are use the most. The paper-made-textbook can't show moving animation vigorously. Hence we suggested visual materials made by GSP and applets in IES .

  • PDF

조선기생 및 평양기생학교에 관한 전통문화의 디지털콘텐츠 창작소재에 관한 연구 (Study on Creative Materials of Digital Contents Using Traditional Culture of Art School of PyongYang Ki-Saeng and Ki-Saeng of Chosun Age)

  • 주정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45-52
    • /
    • 2005
  • 조선시대의 기생의 기원과 제도, 기생의 역할, 평양기생학교를 통한 기생의 원래의 의미인 전통적인 조선시대의 아티스트(Artist)임을 재조명하고, 기생학교의 제도와 규칙, 교육과정, 수업시간표, 졸업 앨범, 각종 사진첩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기생의 역할과 평양기생학교 등의 재조명 및 분석을 통하여 전통적인 문화를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소재로 발굴하므로 이를 디지털콘텐츠인 게임콘텐츠, 디지털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화 할 수 있도록 소재화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조선의 기생의 아름다움과 아트적인 재능, 사회제도 및 기생학교 등을 발굴하여 원화기획(컨셉 디자인) 및 디지털시나리오 화하므로 경제성이 강한 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키며, 평양기생학교의 교육시스템, 교육내용, 학생 현황 등을 발굴하여 육성 및 경영시뮬레이션 게임의 제작 컨셉 도출 및 게임제작, 애니메이션 및 TV드라마, 디지털 애니메이션 및 영화 제작의 문화콘텐츠의 창작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PDF

Study on utilization status of internet and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Ahn, Yun;Kim, Kyu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41-348
    • /
    • 200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tilization status of internet, health/nutrition websites among children, and to assess the needs for developing nutrition websit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6th grade students (n=434) at two elementary schools. About 32% used the internet every day while 19.5% used it whenever they neede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by gender (p<0.01). Although the subjects used the internet frequently, those who used health/nutrition websites were 23.3%. The purpose of using these sites were mainly 'to obtain health/nutrition information' (55%), 'to get information regarding weight control' (17%). Fifty-six percent of the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nutrition websites, but only 30% said that they were helpful. The preferred topics in developing nutrition websites were assessment of obesity, exercise methods, weight control methods, nutrition information (e.g., diet for stature growth), dietary assessment and food hygiene. Girls showed more interest in these topics than boys (p<0.05). For school nutrition education, girls showed more interest than boys in topics for cooking snacks (p<0.001) and selecting snacks (p<0.05). In nutrition websites, subjects wanted to have information and game/quiz, as well as getting information using Flash animation. The favorite colors for screen and text were slightly different by gender (p<0.01). In school nutrition education, 89.5% of subjects liked to have activities (e.g., cooking, exercise, game). They also liked materials using computers, video and internet than printed materials. If nutrition education was done at schools, subjects wanted to receive 5.7 times of education per semester on average (mean length: 42.6 min/s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websit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include the topics such as assessment of obesity or diet, weight control and special information (e.g., diet for growth) as well as general information. In designing nutrition websites and programs, methods including game, quiz, Flash animation and activities (cooking, exercise) could be appropriately used to induce the interest and involvement of children.

스크린 영어 학습 자료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 연구 (A Study of Learners' Preference of English Screen Materials)

  • 심재황;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9-295
    • /
    • 2020
  • 본 논문은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대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하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학습자 변인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즉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한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학습을 진행한 후에 학습 전, 학습 중, 학습 후의 학습 활동 선호도를 학습자의 성별과 영상 학습 관심 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 정도와 각 문항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를 보면,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서 수업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영상 학습 활동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학습자들의 영상 수업에 대한 선호도에 따른 비교에서 하위 그룹 학습자들은 대체로 수업 전 활동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상위 그룹은 수업 중과 수업 후 활동에 비중을 보이고 있다. 학습 활동 문항과 각 그룹 간의 상관관계에서 단어 추론, 내용 토론, 그리고 단어 복습 문항에서 각 그룹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애니메이션 영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어 학습을 위한 학습 자료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이러한 학습자 요인에 대한 결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 수학 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Java 프로그래밍 설계 연구 (A Study of a Java Programming Pla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Learning Materials of Middle School)

  • 장진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81-195
    • /
    • 1999
  • This research is produced as a applet of learning materials, and is made with the internet languages HTML, Java, and NamoWebeditor. It contains "Greatest Common Divisor and Least Common Multiple", "Parallel translation of function of second order", "Pythagoras Theorem", which is the current middle school mathmatics textbook for third graders. The keynot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tudents can study individually through logging into the internet on their own computers; the program is made using graphics and animation on order to develop the learners′ interest in mathematics. I hope that this research can supplement our currently insufficient internet educational data.

  • PDF

수학 교과 재량활동에 대한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8-가 단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Material for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 Focused on 8-ga Grade -)

  • 유희식;박달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71-82
    • /
    • 2002
  •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optional activities of mathematics, apply them to the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 on the learner's interest and attitude to mathematic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units of grade 8-Ga and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of the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were inputted in two classes for 18 units after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received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nterest in the mathematics. After that,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nterest in the mathematics and the examination regarding the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di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 First The learning materials applied exciting games for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aroused interest in mathematics and made the learners have confidence in mathematics learning. Second, There was affirmative change in the interest and attitude to the mathematics learn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s optional learning materials. Third The leaning materials of the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made the learners think mathematical questions connected with the real life and try various ways to solve the questions. Here are some suggestion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such as story, game, quiz and craft.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learning materials applied the games or the real life matters connected with mathematics for all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use them in the mathematics optional activities. Second, many students feel a great interest in animation. moving picture, sound graphic, etc. If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cluded the real life matters or the games are developed, the learners will feel more interest in mathematics. Third, the systematic and economical support is continuously needed in order that teachers are given much time to study and the opportunity to attend the training cours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learning materials.

  • PDF

고등학교 공통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구축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of Multimedia for General Science Instruction of High School)

  • 김재현;이희복;김현섭;김희수;박종욱;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9-257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공통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구축하는데그 목적을 두었다.공통과학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문자 자료, 도표, 그림, 사진,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음성 자료 등을 HTML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구성은 내용, 용어사전, 과학이야기, 영상자료, 그리고 질문의 다섯 분야로 나뉜다. 개발된 멀티미디어 자료는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홈페이지 (http://science.kongju.ac.kr)에 올려놓았으며, 또한 CR-ROM으로 제공된다.

  • PDF

동요방송을 활용한 창의적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eative activities using multimedia materials of children's songs to personality in elementary school)

  • 허정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55-61
    • /
    • 2019
  • 본 연구는 올바른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동요지도를 멀티미디어 자료로 개발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함양에 적합한 동요를 선별하고, 애니메이션이나 다큐멘터리, 합창이나 무용 공연, 인터뷰 등 다양한 영상 자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자료를 초등학교에서 동요방송으로 운영하였다. 무엇보다,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요를 쉽게 지도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안과 활동지를 프로그램으로 고안하여 재량활동 시간을 통해 '창의적인 교수 학습 활동안'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학급 홈페이지를 통해 가정에서도 연계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요방송을 통해 초등학생의 인성변화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 시기에 가장 강조되어야 할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통합적인 접근방법에서 논의하고자 했다.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네칸만화 구조와 수사법 연구: 경향신문 <장도리>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4 Panel Comic Strips and Rhetoric Expression for the Education of Comic Contents: with of Kyunghyangsinmoon)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17-35
    • /
    • 2010
  • 대학의 만화교육과정에는 이론 및 실기로 가르쳐야할 전공으로 카툰, 만평, 네칸만화, 서사만화, 웹툰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네칸만화의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네칸만화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네칸만화는 소재에 따라 크게 인간의 희로애락을 다루는 '순수만화'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문제의식을 풍자와 해학으로 드러내는'시사만화'가 있다. 한정된 시간 속에서 네칸만화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폭넓은 소재의 순수 네칸만화보다 시사로 한정되는 시사 네칸만화의 구조를 분석해 보는 것이 용이하다 판단하여, 신문에 연재되는 네칸만화 중 경향신문의 <장도리>를 중심으로 기승전결에 따른 구조와 수사법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네칸만화의 구조와 수사법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네칸만화의 장르를 이해하고 나아가 네칸만화를 창작할 수 있는 전공 지식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데 있다. 순수 네칸만화까지 접근하지 못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만화교육과정에서 네칸만화의 교육을 필요로 하는 곳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PDF

발달장애 어머니 대상의 <포토툰 수업> 사례연구 (Photo Comics Courses targeting Mother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 Case Study)

  • 권경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131-151
    • /
    • 2018
  • 만화는 그 고유의 특성으로 질적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시각적 담론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질적 연구 분야에서 만화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만화 기반의 질적 연구에서 어떠한 종류의 만화자료가 활용될 것인지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적 연구를 위한 만화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기존 만화자료, 연구자 생성만화, 참여자 생성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참여자 생성만화의 한 종류로서 <포토툰> 제작을 실시하여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은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교수법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장애아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주로 개인의 심리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거나 현상학적 수준에서 부모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으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과정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바르게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화 콘텐츠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구로서 충분한 기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10주간 만화교육을 실시하여 만화의 기초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고 최종적으로 본인의 자녀들의 사진을 활용하여 포토툰을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본인의 자녀를 소재로 한 포토툰 제작 과정을 통해 만화의 효용성을 경험하며, 스스로 인식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효과 및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